미국의 25% 자동차 관세 부과에 관한 요약
한글 요약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조치는 예외 없이 2025년 4월 2일부터 즉시 시행됩니다.
이에 앞서 현대자동차 그룹은 백악관에서 2028년까지 미국에 31조 원(210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계획에는 자동차 생산능력 확대(12.5조 원), 루이지애나주 제철소 건설(9조 원), 로봇 및 AI 투자(9조 원) 등이 포함됩니다. 또한 미국산 LNG 구매(4조 원), 배터리 공장 건설 등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지화 전략으로 현대기아차는 미국 내 생산능력을 120만 대까지 확대할 예정이며, 이는 연간 미국 판매량 170만 대의 약 70%에 해당합니다. 이는 한국에서의 생산 감소와 산업 공동화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관세 발표는 한국뿐 아니라 일본, 캐나다, EU 등 주요 자동차 수출국들에게 큰 타격이 될 전망입니다. 일본은 "일본에는 관세가 적용되지 않기를" 요청했고, 캐나다는 "무역 협정 위반"이라며 보복 관세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미국 내에서는 소비자 물가 상승과 경기 침체 우려로 주식 시장이 하락했으나, 미국 자동차 노조(UAW)는 일자리 창출을 이유로 이 조치를 지지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자동차 가격은 오히려 내려갈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경제 전문가들은 부품과 완성차 모두에 관세가 부과되면 가격 상승은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습니다.
English Summary
President Trump has announced a 25% tariff on all cars not produced in the United States, with no exceptions, effective April 2, 2025.
Prior to this announcement, Hyundai Motor Group presented a $21 billion (31 trillion won) investment plan for the US at the White House. This includes expanding vehicle production capacity ($12.5 trillion won), building a steel mill in Louisiana (9 trillion won), and investing in robotics and AI (9 trillion won). They also plan to purchase American LNG (4 trillion won) and build battery factories.
With this localization strategy, Hyundai-Kia plans to increase their US production capacity to 1.2 million vehicles, covering about 70% of their annual US sales of 1.7 million. This has raised concerns about reduced production in Korea and industrial hollowing-out.
The tariff announcement will significantly impact major auto-exporting countries including Korea, Japan, Canada, and the EU. Japan has requested "exemption from the tariffs," while Canada called it a "violation of trade agreements" and is considering retaliatory tariffs.
In the US, stock markets have declined due to concerns about consumer price increases and economic downturn, but the United Auto Workers union (UAW) supports the measure, citing job creation. Trump claims "car prices will actually decrease," but economic experts believe price increases are inevitable when tariffs are applied to both parts and finished vehicles.
자동차 관세 25% 부과, 우리는 빼주나?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7GdpTN3fHlI
Transcript:
(00:07) 자, 세 번째 이야기 자동차 관세 얘기 한번 해보죠 트럼프가 드디어 발표를 했습니다 자동차 관세 25% 부과하겠다 그리고 그 다음에 한 말이 이거죠? 하지만 자동차 가격은 올리지 마라 그게 돼? 그게 되는 거면 말이 되네 나는 자동차 관세를 붙이겠지만 니들 가격은 올리지 마 그게 된단 말이야? 그게 이렇게 쉽게 되나? 그런 얘기를 했습니다 어떤 얘기인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3월 24일, 현대차 회장님이 백악관에 나타나셨습니다 나타나셔서 이렇게 얘기했죠? 24일 월요일 현대차 그룹은 백악관에서 210억 달러 우리나라 돈 31조 규모의 대규모 미국 투자를 발표했습니다 여기서 이렇게 얘기했었어요 정 회장님이 2028년까지 미국 내 생산 규모를 120만 대로 늘리겠다 거기에만 90억 달러니까 13조? 뭐 이렇게 돈을 넣겠다 그리고 현대차 공식 보도 자료를 보면 총 31조인데요 자동차 생산 능력 확대에만 아까 말씀드렸듯이 12.
(01:07) 5조 그 다음에 루이지에나주에 제철소를 짓는답니다 그게 9조 아마 현대건설이 짓거나 그렇죠 로봇, AI 이런 거에 투자하겠다 이게 9조예요 합쳐서 31조를 미국에 투자하겠다라고 발표를 했는데 자동차에 그렇다고 쳐도 가운데 있는 제철소가 굉장히 화제였습니다 왜냐하면 270만 톤 규모의 전기로 만드는 제철소 왜 만드냐? 왜 만들겠습니까? 현대차가 갑자기 제철소를 왜 만들어요? 제철소라 그래서 화제가 됐던 게 아니라 현대차가 제철소를 만드는 건 당연히 거기 나온 강판으로 자동차를 만들겠다는 거잖아요 그 말인즉슨 미국 안에서 모든 걸 다 해결하겠다 한국에서 부품을 가져가서 미국에 조립하는 그런 게 아니라 미국 안에서 철강까지 다 만들게 심지어 좀 이따가 보여주겠지만 전기까지 생산할게 천연가스도 미국 거 쓸게 그냥 미국 안에서 다 만들겠다라고 발표한 거랑 똑같습니다 아니 부품 공장도 아니고 제철소를 만든다니까요 제철소를 아예 거기서 그래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미국이 철강 제품에 25% 관세를 매기는데 우리가 철강을 예를 들면 포스코나 이런 데서 한국에서 가져오면
(02:10) 25% 관세를 매길 거 아니야 그러면 미국에서 생산하는 그 보람이 없지 그래서 아예 자동차형 철강 자동차형 부품 전기, 천연가스 전부 다 미국 안에서 만들어서 관세를 피하겠다라고 발표를 한 거죠 그래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미국의 제철소 포함 자동차 생산라인을 완전하게 구축하겠다 우리 역대 최대 규모의 투자의 핵심은 미국의 철강 자동차 부품 공급망을 강화할 60억 달러에 투자했다 더 자립적이고 안정적인 미국의 자동차 공급망이라는 얘기를 했죠 그런데 여기서 지금 말하는 루이지애나주 어디 있는 거냐 우리가 미국 지리를 알 필요 없지만 미국 동남쪽에 있습니다 멕시코만, 지금 미국만이라 그러죠 걸프 오브 멕시코 이쪽으로 빠지는 미시시피강과 바다가 만나는 물류의 요충지라고 하는데 이렇게 가면 뉴욕 미국 동부로 이어지는 옆에는 텍사스죠 텍사스, 멕시코 이렇게 갈 수 있는 요충지에 있습니다 그리고 지금 현대차나 기아차 공장들이 다 여기 있어요 여기에 몰려있기 때문에 이렇게 바다를 끼고 있는 루이지애나에 제철소를 만드는 건데 물론 다른 이유도 좀 있습니다 어떤 이유가 있냐면
(03:11) 어른의 이유가 있는데 이번에 백악관에서 현대차가 발표를 할 때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서있고 오른쪽에 서 있는 분이 루이지애나주 주지사고요 왼쪽에 서 있는 분이 트럼프 대통령 뭐 할 때 많이 보이죠 하원의장 마이크 존스입니다 그 왼쪽에 보이는 분이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 스컬리스예요 이 두 분은 왜 서 있냐 거기 이유가 있죠 현재 공화당 하원에서 투톱인데 원내대표 하원의장입니다 둘 다 루이지애나 출신 의원들이에요 어 뭐 일석이조를 보는 거죠 님도 보고 그것도 따고 하면 되니까 1석2조 하나의 돌로 두 개를 맞추는 효과가 있는 게 아니냐라고 생각이 되고요 현대기아차를 좀 보면 현대기아차는 현재 미국 동남부 지역에 엘라배마 공장이 있고 조지아 공장이 있어요 이쪽에 엘라배마 공장이 있고 여기가 미국 동부입니다 여기가 뉴욕 여기가 지금 올랜도 쪽 이쪽 이렇게 이렇게 돼 있는 거 여기가 멕시코 여기가 루이지애나 그렇죠 보면 플로리다 기아차 조지아 공장이 있고 그 옆에 현대차 엘라배마 공장이 있습니다
(04:15) 2005년, 2010년에 졌어요 30만 대씩 대충 만들어 연간 한 60만 대에서 70만 대가 나오는 공장입니다 그런데 현대 기아차가 한 2, 3년 전에 이미 착공을 해서 2025년 올해 올 3월에 완공한 공장이 있습니다 그게 바로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이에요 HMGMA 3년 만에 완공을 했는데 현재 30만 대 규모의 대규모 생산이 가능한 전기차 생산 공장입니다 부지 면적이 여의도 4배가 넘어요 테슬라를 따라가는 그런 전기차 생산 공장이 되겠다는 거죠 기가 팩토리 같이 이게 메타 플랜트 공장인데 완성을 했어요 그런데 30만 대면 아까 발표하고 다른데요 이번에 그 공장을 30만 대가 아니라 50만 대로 늘리겠다고 발표한 겁니다 20만 대를 추가로 늘리겠다 여기에 들어가는 돈만 12.
(05:02) 5조 원입니다 그러면 기존에 엘라배마 공장이 있고요 조지아 공장이 있고요 이번에 새로워진 메타플랜트 공장 조지아에 만들 거예요 역시 이 3개의 공장을 합치면 생산량이 연간 120만 대입니다 120만 대가 어느정도 규모냐 현대차가 미국에 1년에 170만 대 팔아요 그러면 120만대면 거의 70%? 70%에서 60% 이상은 미국 내에서 생산할 수 있는 규모라고 할 수 있고요 그러다 보니까 아까는 루이지애나 주지사가 입이 찢어지게 웃었죠 조지아주는 어떨까? 조지아주는 와... 기아차도 있는데 현대차 공장도 들어오고 배터리 공장도 들어옵니다 전기차니까 브라이언 캠프 조지아 주지사 이번에 아까 저 메타플랜트 공장 준공식에 참석을 했어요 참석을 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지금 리본 커팅 준공했다고 리본 자르고 박수치잖아요 어어 지금 그럴 때가 아니야 지금은 삽을 다시 떠야 할 때다 이렇게 얘기했어요 무슨 소리입니까? 30만 대 공장 완공됐다고 지금 박수쳤잖아요 에헤이 20만 대 추가로 짓는다며 12조 넣어서 삽 파야지 박수는 이따 치고
(06:05) 50만 다 되면 물론 지금도 좋긴 하지만 옆에 20만 대 공장 자 바로 진행합시다 그 12조 12조 콜 12조 콜 요거를 외쳤다 라고 할 수 있고요 입이 귀에 찢어지게 걸릴 수밖에 없는 게 조지아주 역사상 가장 큰 단일 투자라고 불립니다 126억 달러 와 부럽다 조지아에만 엄청난 규모의 공장이 배터리도 들어가고 부품 공장 들어가고 또 옆에 연구하는 공장들이 얼마나 많이 들어갈까 이런 공장들 하나 생기면 여기에 관련되는 밥도 해줘야 돼 공장 치워주는 사람도 있어야 돼 전기도 넣어줘야 돼 온갖 거 다 들어가잖아요 일자리가 4만 개 와... 직원 5천 명 넘은 대기업이에요 4만 개면 웬만한 대기업 8개 들어가면 이런 일자리를 창출할 걸로 예상이 되고요 게다가 끝난 거 아니죠? 아까 말씀드렸던 제철소 루이지애나 제철소 여기 그러면 삼각자동차공장 아래 아예 강판까지 가져다줄 제철소 여기는 9조입니다 그리고 제 생각엔 이건 제철소 때문에 수입한 게 아닌가 생각하는데 미국산 LNG는
(07:07) 30억 달러 4조 원을 구매하겠다 어디에 쓸지 정확하게 나오진 않은데 제 생각엔 전기로 제철소 이거 LNG로 돌리거든요 그러니까 아마 전기로 제철소에 사용되는 천연가스에 좀 많이 쓰려고 하는 게 아닐까 그리고 좀 이따 보여드리겠지만 발전소도 얘기하고 있어요 아예 발전까지 그리고 이게 제가 아마 생각이 맞을 거라고 생각하는 게 옛날에 2022년에 현대차가 울산 공장에 LNG 발전소 짓겠다 이런 얘기 했었거든요 대규모 친환경 액화 천연가스 LNG 열 병합 발전소를 지어서 자기들이 쓸 전기 자기들이 만들겠다 라고 얘기를 했었는데 70% 이상을 직접 공급하겠다 이거 안 됐습니다 왜냐하면 그때 당시에 환경단체와 노동조합이 반대했어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어요 환경단체는 RE100한다 그러면서 천연가스 발전소 하면 어떡하냐 이런 게 있었고 노동조합도 이유가 있었어요 LNG 발전소는 조합에 들어가느냐 그런 문제 있었겠죠 그래서 결국엔 2022년에 공식 중단됐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안 됐는데 미국에는 지금 드릴 베이비 드릴 한다는데 안 돼도 될 거였어요 가서 미국에는 아마 저거를 제 생각엔 그래
(08:11) 느낌엔 약간 그런 발전소나 LNG 쪽으로 아마 생각하지 않나 생각이 되고 그리고 현대차 물류자회사 현대글로비스는 이 타이밍에 LNG 해상운송사업에 뛰어들었어 글로비스도 이제 물류잖아요 120만 대를 미국에서 만든다는데 물류를 한국 내 물론 물류도 중요하지만 미국 내 물류가 얼마나 많을까 그거 해야 될 거 아니야 현대 글로비스트 미국으로 갑니다 본사가 다 가는 게 아니라 LNG 해상운송사업 미국 가서 해야 되죠 거기 있는 거 나르는 거 누가 나를 거예요 물론 미국 기업 쓸 수도 있지만 자회사 쓰고 싶겠죠 그럼 현대 글로비스트 같이 진출을 하겠죠 진출해서 해상운송사업에 속도를 올리겠다 이런 얘기를 한 거 보니까 이게 다 연관되는 게 아니냐 제 상상입니다 상상인데 그런 생각이 들고 그리고 제철소만 있냐 배터리 공장도 짓습니다 이건 이미 2022년부터 한 건데 LG엔솔과 손잡고 조지아에 만들었고요 SK온과 손잡고 애틀란타에 만들었습니다 아까 말씀드렸듯이 로봇 공장에서 일하는 게 사람들도 하지만 누가 일해요? 로봇 팔 같은 게 하죠 전기차 만드는데 그 로봇 어디서 쓰겠습니까?
(09:08) 현대차가 그래서 로봇에 투자하죠 돌아가는 프로그램 뭐 그런 게 있을 거 아니에요 AI에 투자하고요 아까 말한 발전소 현대 엔지니어링은 발전소 진출하겠다고 말하고 있고 현대 건설은 아예 소형 원자로 SMR까지 만들겠다 그러면은 그걸 다 더해보면은 여기서 로봇도 조달하고 강철도 조달하고 심지어 전기도 조달하고 뭐 AI도 조달하고 뭐야 이거 배터리도 조달하고 이거 뭐 다 만들겠다는 거죠 수직 계열화 그 자체 천연가스도 조달하고 그래서 이번에 정 회장님이 이 메타플랜트 공장 완공식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우리는 단순히 공장을 지으러 온 것이 아니다 여기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 왔다 2025년부터 2028년까지 미국에 31조를 투자하고 직접적인 정규직만 14,000개 부럽습니다 즉 간접적으로 10만 개 어마어마한 규모죠 어마어마한 규모 10만 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다 라고 얘기를 했죠 작년 현대기아차의 미국 내 판매량이 170만대입니다 앞으로 점점 늘겠죠 그런데 미국에서만 120만대의
(10:11)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되잖아요 그럼 이제 60%, 70% 아까 말씀드렸듯이 그걸 미국 내에서 소화가 가능할 것 같고 우리나라 자동차 미국 수출이 어떻게 될까 걱정을 안 할 수가 없죠 2024년 기준 한국의 자동차 대미 수출량이 143만대 현기차가 100만대 정도 했습니다 90몇만대 했는데 어... 이게 물론 미국 내에서 200만 대, 300만 대, 400만 대 팔아서 우리나라도 팍팍 수출하고 미국에서 다 돌아가고 다 좋아야 되는데 아주 걱정이 좀 되죠 그리고 자동차 산업이라는 게 엄청나게 큰 산업이잖아요 대한민국 수출 품목 2위가 자동차 부품입니다 1위가 반도체고 자동차 정말 잘 돼야 되는 우리나라 최고의 산업 중에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보다도 어떻게 보면 고용은 더 많이 할 수 있기 때문에 연관이 많잖아요 자동차는 부품 기업들이 엄청 많아요 물류 기업들, 부품 기업들 자동차는 등치도 크기 때문에 물류도 커요 들어가는 것도 굉장히 많고 하기 때문에 고용 인력이 엄청나게 많은 산업이어서 꼭 잘 돼야 되는데 오죽하면 연합뉴스를 갖고 왔는데요
(11:07) 옆나라 일본까지 여기서 한마디 했어요 아니 니네 자동차 지금 걱정이 많을 텐데 굳이 또 우리까지 그렇게 걱정해 주시네 그리고 따뜻한 마음씨 건전하게 받아들이도록 할게요 니키가 이렇게 썼습니다 한국이 미국에 공급망을 만드네? 그런데 한국 내 공동화 아니요? 라고 썼다는데 너희들이라고 뭐 다를 것 같지 않은데 야 뭐 좀 이따 보여드리겠습니다 뭐 그리 뭐 딴 얘기는 아닌데 하여튼 뭐 그래 뭐 걱정해주니까 감사하게 받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한국산업연구원이 분석했다는데 한국에서 생산대수는 저렇게 미국에서 생산을 늘리면 현재 20% 정도에 상당하는 연간 70만 대에서 90만 대가 줄어들 수 있지 않겠냐 라고 산업연구원이 걱정을 했다는데 미국에서 더 많이 팔려야 돼 170만 대가 아니라 200만 대 아니면 250만 대 이렇게 팔려갖고 우리나라 내수도 좋고 하면서 미국 산업이 다 잘 돼야 되는 그런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 장재훈 부회장님이 이렇게 얘기했어요 이번 메타플랜트 완공식에서 하는 말씀인데 메타플랜트 아메리카 공장은 현대차 그룹이 어떻게 나아갈지에
(12:08) 대한 방향을 보여준다 결국 현지화할 수밖에 없어 그 역량을 더 키워야 된다 미국에서 170만 대를 팔고 있는데 그중 절반은 여기에서 만든다고 생각한다 미국 생산 확대에 따른 국내 생산 영향이 있지 않겠습니까? 라고 얘기했더니 국내 생산이 저하되는 것보다는 미국 시장에서 공격적으로 일단 파이를 넓혀야 된다 170만 대가 아니라 200만 대, 250만 대 300만 대 팔면 미국에서 많이 생산하겠지만 국내 생산도 많이 되지 않겠냐? 더 확장적으로 생각해야 된다 미국에서 증량한다고 해도 국내에서 내수진작 또는 수출을 위해 생산을 늘려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두 개를 병행적으로 해서 상품성 개발을 하겠다라고 얘기를 했죠 그래서 현대차가 대규모 투자를 발표했고 그래서 트럼프가 활짝 웃었습니다 실제로 현대차 회장님 발표할 때 백악관에서 했죠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 매우 기쁜 발표를 하게 되었군요 아주 흥분됩니다 Very exciting 해요 Money is pouring in our country 미국에 돈이 쏟아져 들어오고 있습니다 거의 폭우처럼 내리고 있네요
(13:07) 오늘은 31조가 들어왔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게 얘기했어요 거 보세요 제가 뭐라고 그랬습니까? 관세로 하면 된다고 했습니까? 안 했습니까? 관세 얘기하니까 31조가 폭풍처럼 쏟아지고 있잖아요 바이든 있을 때는 상상도 못하던 일입니다 여러분 다 관세 덕분입니다 그리고 얼마나 감사했는지 참석했던 우리 한국 관계자 여러분들의 이름을 한 명 한 명 호명했습니다 이렇게 했어요 현대차 그룹 회장 정의선 시니어 프레지던트 장재훈 농담 아닙니다 현대 제스처 보여드릴게요 농담이 아니라 가장 제가 보기에는 한국인으로서는 눈에 띄는 장면이었는데 계속 읽는데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트럼프가 자기 인생에서
(14:10) 한국말 해보는 게 몇 번이나 되겠어요 몇 번이나 되겠어요 이번에 한번 해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서 강 현 이랬죠 제이 장 하면서 자기는 어려웠나봐요 저 다음 말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아우 어렵다 영어 이름이 훨씬 쉽군요 아닌데 자기 쉽대요 그러면서 이번에 부를 인물은 마이크 존슨 아 쉽다 마이크 그리고 스칼리스 스칼리스 아까 말한 원내대표 루이지애나 출신의 하원위원 두 명을 부르면서 영어 이름이 쉽구나 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트럼프의 말을 조금 더 보면 이렇게 얘기했어요 관세는 역시 위대하군요 오늘 발표한 현대차의 역대급 대미 투자를 보니까 역시 관세는 명확하게 효과가 있습니다 명백한 증거가 있지 않겠습니까? 그러면서 사실 이게 우리나라 대서 특필되었는데 현대차는 이제 관세가 없을 겁니다 이제 현대는 미국에서 강철부터 자동차까지 에너지까지 다 만드는군요 이제 관세는 없어요 모두가 다 알다시피 미국에서 제조하면 관세가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현대차가 이날 주가가 불을 뿜고 현대차 관세 없댄다 얘들아 라고 얘기를 했거든요 어...
(15:04) 좀 이따 보여드리겠지만 그 미국에서 제조한 차만 관세가 없다는 얘기였습니다 그럴 걸로 생각은 했지만 혹시나 했는데 어... 역시 나였고요 그리고 또 이런 말도 했습니다 앞으로 현대차는 말만 하세요 말만 미국에서 뭐 일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어떤 허가를 받는데 누가 안 내줘 내게 말해 즉시 해결해 주겠다 허허 서강현, 정의선 이러면서 바로 해결해 주겠다고 이제 얘기를 했죠 자 그래서 잠깐 기대를 했는데 라고 말한지 이틀 만에 오늘의 주제죠 자동차 관세 25%를 선언했습니다 물론 알고는 있었어 그래서 예상은 했지만 현대차... 빠지냐? 여기 여기 제외 목록 현대, 기아 뭐 써있나? 열심히 봤는데 이번 발표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예외는 없다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 우리는 예외를 줄 수 없다 이런 얘기를 했는데 유연성은 있어도 예외는 없다 예외 없대요 예외 없어서 주가가 올라갔다가 다시 돌아왔죠 야 씨 그래요 하여튼 그렇다고 하고
(16:07) 이 관세는 놀랍게도 내년에 발효되는 거 아니고요 올해 말에 발효되는 거 아니고요 다음 주에 발효됩니다 4월 2일, 내일모레 왜 4월 1일이 아닌지는 얘기했죠 만우절일까 봐 그래서 4월 1일은 봐주고 하루 봐줍니다 4월 2일부터 즉시 발효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 날은 트럼프가 말한 미국 해방의 날이죠 미국 해방의 날이기 때문에 미국 관세의 날이 눈앞에 왔다고 할 수 있고요 저기서 말한 미국에 생산된 모든 자동차 이건 미국에서 조립까지 다 해야 된다 미국산 부품 이런 게 아니라 미국에서 조립까지 다 해야 된다 미국에서 만약에 조립이 안 돼 미국산 부품을 사용했어 안 돼 그런 경우 관세야 한마디로 자기네 나라도 안 봐주겠다는 겁니다 이걸 왜 얘기하냐 한국 GM이 있어요 미국에서 조립까지 다 해야 된다 미국품 사용해도 안 된다 미국 기업도 안 된다 이거는 한국 GM 공장 우리나라 큽니다 40만 대 수출했어요 미국으로 현대기아 차가 100만 대 되죠 40만 대면 굉장히 큰데 게다가 생산량이 84% 이 중에서 90%를 미국으로 가요 근데 여기도 관세라는 거잖아
(17:09) 자기네 나라가 GM인데 GM 입장에서는 미국 공장도 있을 텐데 한국 GM은 지금 굉장히 뭐 걱정할 수밖에 없고 트럼프는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나는 관대하다 뭐가 관대하냐 여러분들은 놀라셨을 겁니다 뭘 놀라요? 낮은 관세를 보고 놀랐을 겁니다 모든 자동차 25%인데? 어허! 여러분들이 미국에 부과했던 거는 그보다 높았죠? 하지만 저는 관대하기 때문에 매우 관대한 조치로 25%만 하겠습니다 너희들은 30%, 40% 했잖아! 하지만 저는 25%로 봐줄 겁니다 그래서 여러분들은 아마 우리를 보면 놀랄 겁니다 기분 좋게 놀랄 거예요 야 관세가 25%밖에 안 되는구나 역시 트럼프야 대단한걸? 야 오늘 너무 놀라워 뭐 이렇게 하겠다는 거죠? 아닌 것 같은데 야 씨 야 누굴 놀리는 것도 아니고 아 아닌 것 같은데 25% 야 뭐 2.
(18:03) 5%면 내가 그러려고 그랬는데 25% 때리고 뭘 낫다고 하여튼 낫대 여기서 관대하다라고 얘기를 합니다 별로.. 아닌 것 같은데 그래서 아까 말씀드린 현대차 주식 아주 잘 알고 있죠? 왜냐하면 좀 있거든요 어째 잘 가더라 니들이 23만 원 갔어? 돌아왔습니다 기승전 그 가격입니다 어떤 거 하면 돼? 안올랐다 치면 사실은 빠진 건 없어요 미국에서 만든 차만 관세가 붙는 걸로 그리고 뭐 괜찮아요 왜냐하면 현대차만 빠진 게 아니라 기업들의 주가도 다 폭락했어 오를 것 같죠? 테슬라만 올랐어요 테슬라는 기가팩토리에 있으니까 미국 자동차 기업들 주가도 다 날라왔어요 왜 날라왔냐? 얘들 다 어디서 만듭니까? 거기가 왜 러스트벨트가 됐어요? 디트로이트 그런 데가 옛날에 만들다가 그래서 안 만들잖아요, 이제 지들도 지들도 가서 안 만들잖아요 멕시코에서 만들고 캐나다에서 만들고 한국에 와서 만들고 그런단 말이에요 그러니까 자기들도 관세 맞아 GM 주가가 7%가 빠졌어요
(19:06) 현대차가 더 많이 빠졌어 포드, 스텔란티스 다 빠졌는데 예를 들면 미국 자동차 수출 1위 국가가 어디냐 한국이냐 일본이냐 아닙니다 멕시코예요 이게 왜 멕시코겠습니까 멕시코에 대단한 자동차 기업들이 있어서 물론 있죠 근데 멕시코 국제기업은 당연히 아니잖아 당연히 미국 기업들이 다 여기에 있어요 일본 기업도 가 있고 기아도 가 있습니다 정작 미국 기업들은 이렇게 한단 말이야 관세 매긴다고 하니까 다 본인들도 관세 폭탄 맞았다고 하죠 캐나다도 마찬가지고 부품도 어디서 들어와요? 미국 자동차 부품들 미국에서 만들어요? 안 만들어요 캐나다에서 만들어서 들어와 멕시코에 만들어 들어오고 그거 다 관세니까 미국 자동차 기업들이 자기가 관세를 맞았어 근데 아까 말했듯이 가격 올리지 말래 그럼 주가가 빠지겠습니까? 오르겠습니까? 부품 가격 관세 맞고 자동차 가격 관세 맞았는데 나 가격 그럼 25% 올려야지 했더니 트럼프가 떼찌 떼찌한다고 쳐다보고 있으니까 하 뭐 그런 상황이라고 할 수 있고요 그래서 이 얘기 드리죠 정의석 회장님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우리 현지 투자 31조가 관세에
(20:07) 조금이라도 좋은 영향이 있다면 우리로서는 굉장히 노력한 보람이 있다고 생각한다 라고 현대차가 주장을 했으니까 관세에 조금이라도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했는데 뭐라도 있겠죠 그래도 우리도 크게 투자했으니까 뭐라도 있기를 기원해 보고요 그리고 지금 현재 산업통상자원부 우리나라 정부는 긴급 대책회의 중입니다 4월 중에 자동차 산업 비상대책을 마련하겠다 뭐가 나올지는 잘 모르겠어요 금리 좀 낮춰주고 그러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하여튼 비상대책입니다 자동차 왠지 취득세 그런 거 깎아줄 것 같은데 느낌상 제 느낌입니다 느낌 그런 거 깎아주지 않을까? 사실 분은 세금 아끼려면 지금 사셔도 좋지 않을까만 그런 게 나올 것 같아 느낌상 그리고 아까 전에 우리나라 산업 공동화 어쩌고 했던 우리 일본 좋습니다 우리 일본 그래 웃으면 안 되죠 어
(20:58) ... 우리만 그러지 마 우리나라보다 자동차 수출 많이 하는 나라가 일본입니다 비슷비슷해요 대미 자동차 수출액 2위야 멕시코 1위 일본이 2위 대한민국이 3위, 뭐 그렇잖아요 일본은 더 큰일 났어 일본 정부는 현재 이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관세에 대응하여 모든 옵션을 고려할 것이다 대응하겠다는 거죠 또 이게 아래 굉장히 대서특필 됐는데 우리는 미국의 25% 관세율이 일본에는 적용되지 않기를 강력히 요청하겠다 에이...되겠냐? 그게 될까? 일본만 빼달라 그러면은 뭐 아 설마 지난번에 이거 줘서 어 이거 줘서? 어 그래서 빼달라고? 뭐 그럴 수도 있죠 강력히 요청한다 일본은 빼달라 일본은 예외해달라 음 실제로 그렇게 얘기했습니다 우리는 미국에서 가장 큰 투자자다 1조 달러 투자 발표했죠 지난번에 물론 가장 큰 투자자 중에 한 명은 대한민국입니다 대한민국이 지금 2위인데 이거 특정 기간만 이렇게 잘라서 자기들이 1등이라 그랬는데 2위예요, 2위 대한민국이 1등이었는데 이렇게 얘기합니다 우리는 모든 국가를
(22:00) 같은 방식으로 대하는 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분명히 말해야 한다 모든 국가를 공평하게 대하면 안 돼 왜? 우리는 가장 큰 투자자 깎아줘야지 일본은 예외를 해줘야지 라고 얘기를 하는 거죠 그래, 그러면 가장 큰 투자자 일본하고 한국은 예외 그럼 인정 그럼 인정 두 나라 빼주면 인정해줄게 저 나라 우리도 그 저 뭐냐 갓 하나 갖다줄게 갓 하나 금으로 만든 거 줄 테니까 두 나라만 빼주면 뭐 그렇게 인정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본만 빼주면 안 되지 장난하는 것도 아니고 그것도 아니고 아니면 뭐 52번째 주인가 53번째 주 가든가 아니면 같이 내든가 해야 하는 거지 너희들만 빼주면 안 되죠 안 되죠 일본이 화내는 게 이유가 있어요 스트롱리하게 얘기했다 이런 표현을 쓰는데 일본 자동차는 대미 수출의 3분의 1 이상입니다 우리도 크죠 우리도 수출 두 번째 품명이 자동차인데 일본도 일본은 30%가 넘어요 도요다, 말이 필요 없잖아요 혼다 이런 데들 자동차 산업은 일본에서 558만 명을 고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부품까지 다 포함해서, 물류까지 다 해서 전체 노동력의 8.3% 어마어마하죠
(23:02) 정말 어마어마한 산업이기 때문에 일본이 난리치는 것도 이해가 되고 그리고 멕시코와 캐나다는 난리치는 걸 제가 안 갖고 왔는데 왜냐면 기절했어요 지금 누워있어요 혼수상태 혼수상태 어어어 다 뺄 거 아니에요 아까 한국 우리나라 GM 공장 뺀다고 걱정했는데 캐나다, 멕시코에 있는 공장들도 25% 관세면 트럼프가 그런 걸 노렸겠지만 빼려고 하지 않을까? 그 생각을 하니까 지금 이런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일본 같은 경우에는 자동차 생산량이 한 5.8% 줄 수 있다 대한민국도 몇 프로 줄 수 있다 그런 얘기가 나오잖아요 캐나다, 멕시코는 4분의 1이 날아갈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어요 그건 뭐 완전히 뭐 눕는 거죠 그래서 결론적으로 이번 관세 발표로 한국, 일본 캐나다, EU EU도 큽니다 EU 중에는 특히 독일 독일 3사 여기가 수출하기 때문에 대미 수출 기준으로 일본과 한국의 1위 품목들이 자동차, 자동차 부품 그게 많이 들어가요 한국 1위, 일본도 1위 캐나다는 전체 수출 품목의 2위가 자동차 부품입니다 미국으로 내려가는 거 유럽 자동차 업체들도
(23:58) 미국 수출을 400억 달러 이상 했어요 여기에 25%란 말이니까 어마어마한 얘기라고 할 수 있죠 그래서 캐나다 총리는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일본 총리 이시바는 아까 전에 격한 반응을 보였잖아요 캐나다도 격해요 미국, 멕시코, 캐나다가 협정을 하네 FT 협정 있죠? 협정을 위반한 직접적인 공격이다 캐나다는 보복 관세를 포함해 모든 대응 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트럼프의 징벌적 관세 관대하다고 얘기하지만 25%면 징벌적이라고 얘기해도 되죠 징벌적 관세가 동맹들을 스턴에 빠뜨렸다 동맹들을 기절시켰다 멕시코는 이거 한 번 안 받아보려고 군대를 동원해서 국정을 막아주고 마약 관련된 사람 다 보내주고 불법 이민자를 다 받아주고 했지만 소용이 없었고 한국의 현대차가 210억 달러 해준다고 미국 제조업 투자하고 미국에 다 만들게 하지만 소용이 없었고 일본 관리들은 사무라이 뭐 그 뭡니까 금으로 만든 모자 갖다 주고 1조 달러 투자 제안했지만 그 어떤 것도 소용이 없었고 모두가 기절하고 있다 라고 얘기를 했죠 자 그리고 우리만 기절하지 않습니다
(24:57) 그럼 또 누가 기절했는데 자기들도 기절했습니다 기절하고 있잖아요 월요일날 나스닥 걱정이 됩니다 지금 손발이 바들바들 떨리고 있어요 지난 금요일 날 장대 음봉 봐요, 장대 음봉 얼마 빠졌어? 2.7%가 빠졌어, 2.7% 이게 불안불안하잖아 누가 보더라도 이게 불안불안해요 지금 이렇게 와서 이렇게 하는 이런 느낌이 있으니까 자기들도 기절하고 있는데 여기 왜 기절하냐? 해방의 날이고 돈이 막 폭우처럼 쏟아지고 있다는데 왜냐하면 이렇게 생각하겠죠 여러분들도 혹시 관세로 물가 오르지 않을까? 물가가 오르는데 사람들이 안 써 경기 침체인데 관세가 오르고 경기도 침체되는 게 뭡니까? 스태그플레이션이잖아요 외부 충격발 스태그플레이션이니까 아니 수입하는 물건 가격 오르고 경기가 침체되면 야 이거 큰일 나는 거 아니냐 라고 걱정을 해서 빠지고 있는 거예요 지금 당장에 안 좋다는 말이 아니라 아직 관세가 시작된 건 아니니까 그래서 옛날에 많이 보여드렸던 연초 이후 수익률 미국 마이너스 10% 와 이런 날도 온다 중국 플러스 19% 오메 그 어딘가에 있는 한국은 항상 둘 더해서 나누기 2죠
(25:57) 놀라운 나라입니다 둘 더해서 나누기 2하면 보통 물론 조금 여기로 가중치지 여기로 가중치 가중치는 그때그때 좀 주면 되는데 우리나라는 야 이게 어디냐 이쪽이냐 이쪽이냐 지금 에메르송 에메르송 하면서 가운데에 서 있는데 그래서 이거 보면서 느꼈어요 역시 럼프형이다 정상화 시켰구만 음.. 하하 이렇게 붙이면 참.. 차트 보소 아름답기 그지없구만 그래 언제까지 그렇게 혼자 잘 먹고 살지 말고 나눠먹자는 큰 그림이 있는 거야 주식시장이 그렇게 가면 버블일 수도 있는데 버블로 한번 리먼 브라더스 같이 큰 거 맞고 싶어요? 미리미리 정상화 돼야 길 빼고 나중에 올라오면 되잖아 중국은 쭉 빠졌으니까 조금 올리고 차트가 아름답게 펼쳐지는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고요 미국 소비자들이 걱정을 하죠 물가 올라갈까 봐 여러분들이 많이 보셨던 거 이거 미국 컨퍼런스보드 소비자 심리지수 92.
(26:47) 9 쭉 내려가고 있죠 이거 뭐냐면 소비자 심리가 내려간다는 거예요 여기가 코로나입니다 굉장히 비관적으로 아직 관세가 시작 안 됐어요 시작이 안 됐는데 우려하는 거예요 물가 오를까 봐 내가 수입한 거 오를까 봐 내가 맨날 쓰는 가격 오를까 봐 물론 아까 말씀드렸듯이 현재가 나쁘지 않아요 어디서 많이 본 건데 현재는 나쁘지 않은데 기대가 내려가는 거 야 너희가 대한민국을 따라가는구나 경기선행지수랑 동행지수가 대한민국하고 똑같네 동행지수는 괜찮은데 기대가 쫙 없다는 거죠 앞으로 가는 거 아니냐라는 게 지금 미국인들이 걱정한다고 할 수 있고 또 하나만 더 보여드리면 많이 보는 거 미시간 소비자 심리 뉴스 이것도 있습니다 설문조사 하는 거예요 역시 급락하고 있죠 높은 인플레이션과 경기심체를 우려한다 예를 들면 가장 대표적인 주식이 월마트 정말 끝없이 올라갔거든요 긴 시간 동안 아주 꾸준하게 끝없이 올라가다가 관세 빔 앞에서는 고점 대비 마이너스 20% 찍었어요 걱정되겠지 들어오는 물건의 가격이 오르면 어떡해 가격이 오르면 매출에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고객들이 지출을 줄일 수 있죠
(27:49) 5달러 했으면 4개 살 거 10달러면 1개 밖에 안 살 수도 있어요 그럴 수도 있기 때문에 걱정이 있으니까 월마트는 이미 조정을 받고 있고 그랬더니 이번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에헤이 뭐 그런 걸 봐 그런 거 말고 현실을 봐 현생을 살아 그러면 소비자 신뢰도 데이터 이거 설문조사잖아 현재는 나쁘지 않아 왜 자꾸 기대 그런 거를 얘기해 실제 소비자 지출 나쁘지 않다 아까 봤죠? 나쁘지 않은 거 상관관계 이런 거 자꾸 생각하니까 그런데 진짜 이렇게 얘기했어요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이 밖에 나가서 현실을 봐 맨날 앉아서 맨날 모니터 안에 있는 거 보고 슈카월드 보고 그러니까 현실을 몰라 나가서 봐봐 사람들은 일상생활 하잖아 돈 쓰잖아 다 긁고 하더만 신용카드 긁고 현생을 살고 현생을 봐 왜 자꾸 안에서 나쁘다 나쁘다 그런 거만 보나 에헤이 경제는 앞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라고 얘기를 했는데 백악관의 경제자문위원장이 그래도 그런 말을 하면 되나 싶긴 하지만 그렇다고 했고요 그리고 뉴욕타임스가 이렇게 썼는데 관세가 오면 가격 상승이 걱정되냐
(28:52) 이걸 우리 지난번에 얘기했죠 관세를 누가 부담하냐 그런데 트럼프 정부는 분위기가 이렇게 믿는 것 같아요 자동차 제조업체가 추가 비용 관세를 흡수할 것이다라고 믿는 것 같다 왜냐? 전기차도 막아주고 외국 중국 기업도 막아주고 한국 기업도 막아주고 일본 기업도 막아주니까 돈 많이 벌 거 아니야 그러면 가격 내리지 않겠냐 라고 얘기하는 것 같아 물론 뉴욕타임스는 되겠냐라고 얘기하면서 자동차 가격은 오를 거다 그게 안 오르겠냐 아니, 부품 가격 다 올리고 관세 다 매겼는데 그거 안 오르겠냐 분명히 오를 건데 트럼프 정부만 그렇게 안 생각하는 것 같다 실제로 트럼프가 백악관에 미국 자동차 CEO들을 불러 모아놓고 경고를 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미국 자동차 CEO들을 다 부른 다음에 우리가 4월 2일부터 관세 들어가는데 자동차 가격 인상하지 마세요 만약에 인상을 할 경우에 백악관은 뭔지 모르지만 불편하게 볼 겁니다 아하 너희 기업은 우리한테 Unfavorably 하구나 우리한테 favor한 기업이 아니네라고 볼 테니까 자동차 가격 인상하지 마라 그러면서 아래 얘기를 했대요
(29:56) 참 이 말 좋아해 나한테 감사해라 뭘 항상 이렇게 감사를 받고 싶은지 모르겠는데 평상시에 감사 많이 안 받아보셨나 봐 자동차 업체 CEO들을 모아놓고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당신들은 나한테 감사해라 바이든이의 전기차 의무 내가 없애줬잖아 그래갖고 너희가 세이브한 돈이 얼마야? 너희 전기차 한다고 얼마 날렸어? 포드 얼마 날렸어? GM 얼마 날렸어? 전기차 팔려? 그거 공장 짓고 그러느라고 얼마 날렸는데 내가 그거 안 해도 되게 만들었잖아 그럼 돈은 많이 남았네 그럼 당연히 가격을 올리지 말아야지 나를 지지해주고 내가 하는 걸로 가야 내가 그런 거 의무 없애주고 너희도 잘 팔 거 아니야? 나한테 감사해라 가격 올리지 말고 이렇게 했다는데 어...
(30:36) 아 그렇다고 안 올릴까? 야 그렇다고 안 올릴까? 심지어 되게 믿는 거 같아요 이 말하는 걸 보면 트럼프 선생님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자동차 가격은 오히려 내려갈 것입니다 와... 어떻게? 가격이 내려가는 걸 보게 될 거야 그 다음에 아래 무슨 말 했는데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어 한마디로 우리가 지금 했잖아 걔네들 이렇게 해줬잖아 그렇게 해준 게 있으니까 충분히 벌었죠 그러면 내려야죠 우리가 하는 일을 지지해줄 거 아니에요 우리가 하는 일을 그들이 지지하고 우리가 하는 걸 자기네 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격이 내려갈 것이다 라고 얘기한 것 같은데 근데 내려갈까? 이거 안 내려갈 것 같은데 제 생각에 전기차 투자하지 않고 경쟁자를 줄여서 돈을 많이 벌었으니까 1만 대 팔릴 거 2만 대 팔렸으니까 박리다매 해라 박리다매 너희들은 미국에 내서 만들니까 관세 안 받으니까 너희들은 관세를 안 받고 외국 애들 없앴으니까 많이 팔면 박리다매 해도 된다 할까? 가격을 내려가라 이 말 같은데 근데 무관세 미국산 자동차라는 건 현재는 없습니다, 현재는 모든 부품이 미국산인 자동차는 없어요
(31:40) 현대차가 시도하는지는 모르겠는데 현대차도 일부분은 수입하겠지 다는 아니겠지 대부분 캐나다, 멕시코 등에서 만들어서 수입해요 아까 말씀드렸지만 캐나다의 미국 자동차 부품 공장들이 엄청 커요 여기 다 관세잖아 미국에 생산된 것만 쳐도 부품에 부과된 관세 때문에 4만 달러 기준으로 약 5천 달러가 발생한답니다 이거 얼마를 쓰길래 5천 달러야? 25%, 5천이면? 거의 뭐 2만 달러 이렇게 쓴다는 거죠 부품에 그렇기 때문에 아마 가격이 오를 거다라고 얘기를 한다는데 뉴욕타임스가 이렇게 썼어요 과연 자동차 가격은? 4월 2일에 이제 우리는 정답을 보게 됩니다 4월 2일부터 몇 달이나 한 1년 걸리겠죠 자동차 가격은 내려갈 거냐 올라갈 거냐 이야 미국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흥미진진한 주제예요 정말 트럼프 행정부가 얘기하듯이 우리가 경제학적 상식 말고 뭔가를 해서 자동차 가격이 내려가냐 아니면 그냥 저같이 일반적인 사람들이 생각하면 이거 올라가지 않을까? 라고 올라가냐 물론 뉴욕타임스는 아마 민주당 계열의 지지자여서 그럴지도 몰라도 이렇게 썼습니다 어떤 부품업체 사장한테 물어봤대
(32:40) 혹시 자동차 가격 내려가나요? 그랬더니 관세는 얼마가 붙더라도 우리가 흡수할 수는 없어 너라면 그거 흡수하겠냐? 이익을 줄여가면서 관세가 부과된다면 당연히 가격이 올라가고 아니면은 북미의 거의 모든 자동차 생산 라인에 차질이 일어날 거다 왜냐하면 가격을 올리면 판매가 잘 안 될 거 아니에요 월마트 주가가 그래서 내려가잖아요 그러면 자동차 생산량 자체가 줄을 수 있다 가격이 다 올라가서 자기가 생각하기에는 전체 생산의 30%가 감소할 수 있다 뉴욕타임스가 말하는 이 시나리오가 펼쳐지면 이건 아주 큰일입니다 왜냐하면 그게 뭐예요? 그게 흔히 말하는 공급망 붕괴에요 옛날에는 코로나 때문에 항구가 막혀서 가격이 올라서 공급망이 붕괴됐거든 그런데 이제 관세 때문에 똑같죠 가격 어차피 오르는 거니까 코로나 때문에 가격이 오르건 관세로 오르건 똑같은 건데 그래서 만약에 공급이 제대로 안 돼 수요가 줄어 그리고 공급망이 붕괴돼 그러면 2021년 코로나 당시 공급망 붕괴와 비슷한 현상이 올 수도 있는데 생산이 줄어들고 공급이 부족하고
(33:42) 만약 가격 상승을 인위적으로 막으면 공급이 잘 안 되겠죠 당연히 세상에서 단가가 올랐어 그런데 정부가 가격을 막아 그럼 공급을 잘 안 하죠 그런 현상이 올 수도 있고 만약 그렇게 되면 이건 CNN이 말한 건데 4월 3일은 미국 해방의 날이 아니라 종말의 날이 될 수도 있다 아 이거는 단기간에는 모르지 둠스데이라고 되는데 단기간에는 모르고 한 최소 6개월 길면 1년 이상 걸리지 않을까 생각이 되는데 양쪽 사람들이 서로 의견을 얘기하는 거죠 하지만 환호하는 곳도 있습니다 그건 어디냐? 전미 자동차 노조는 지금 환호해요 UAW 이거 누구냐면 숀 페인, 이분 옛날에 바이든 옆에서 미국 전미 자동차 노조 위원장입니다 트럼프의 관세 발표 전격 지지한다 너무너무 지지한다 이건 뭐 너무 좋은 거야 왜냐하면 숀 페인이 보기엔 이렇습니다 자유무역이라는 재앙을 종식시킨 것에 대해서 찬사를 보낸다 이 자유무역이라는 허울 때문에 지난 수십 년 동안 노동계층은 고통을 받았어 노동계층의 커뮤니티는 박살이 났어 우리 디트로이트 같은데 다 로스트 베이트했잖아
(34:44) 다 자유무역 때문인데 자유무역이라는 재앙을 종식시키는 것은 너무나 박수를 보낸다 그러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그럼 가격이 오르지 않나요? 에헤이 자동차를 왜 싸게 살려고 그래? 자동차 산업의 저가 경쟁을 종식시켜야지 정당한 가격을 받고 팔아야지 말이야 중국, 한국, 일본 그런 애들하고 저가 경쟁시키니까 우리가 자꾸 죽잖아 왜 자동차를 싸게 살려고 그래? 정당한 가격 Fair Price를 지불해야 될 거 아닙니까? 그럼 당연히 잘못된 무역 거래를 고쳐야 되고 이런 거 종식시키려면 자유무역 따위를 안 하면 정당한 가격을 주고 미국 소비자들이 살겠지 그럼 되는 거 아니야? 그렇기 때문에 트럼프 행정부는 오늘의 행동으로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와 하고 박수 쳤는데 야 씨 지들이 비싸게 사겠다는 말인데 하여튼 그런 말을 했고요 그런데 전미노조 자동차 노조 회장님 옛날에 해리스 지지했거든요 해리스 지지하네 분명히 민주당 지지하고 해리스 지지 선언을 했는데 야 정권 바뀌었다고 야 확 바뀌어도 되냐 되게 실제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35:46) 여기 입고 있는 티셔츠가 그거예요 트럼프는 파괴자 트럼프 꺼져라 이런 거 비슷한데 트럼프 오면 망한다 뭐 이런 티셔츠 입고 계속 해리스 뽑아라고 계속 억만장자 출신의 뭐 그랬는데 대선 딱 되고 되니까 역시 사람은 잘 타야 돼요 바꿨습니다 바뀔 수 있지 정견은 바뀔 수 있는 거야 오늘 A당이었지만 내일은 B당이 될 수도 있는 거죠 뭐 A당이나 B당이나 별로 다른 것도 없더만 내가 하면 되는 거지 소속이 뭐가 중요하냐 라고 이렇게 바뀌었다고 하고요 바뀐 걸 넘어서 원래 적으로 간 애들이 더 무서워 적으로 간 애들이 뭐라 그랬냐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완전히 반민주당이 됐어 하하하하하 간 사람이 더 무서워 간 사람이 왜냐하면 더 세게 까야 믿어줄 거 아니야 나를 적당히 까면은 이놈 이거 우리한테 박쥐 아니야? 이럴 테니까 이투더 리치는 뭐냐 아니 트럼프가 리치 중에 리치인데 그 트럼프 내각 밀리어네어도 아니고 빌리어네어 아닌 사람이 없거든요 트럼프 내각 이렇게 보면은 재산이 1조 이하가 몇 명 없어요 1조 이하가 그 천억 대 부자가 잘 없어 그냥 가난해 천억 정도면 먹고는 사나 싶은
(36:49) 뭐 그런 내각인데 뭐 하여튼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UAW 위원장이 민주당에 욕설이 섞인 경고를 내렸는데 저가 경쟁 말이야 이런 거 동맹을 위한다고 저가 경쟁 요런 거 시켜갖고 너희들 부유해지고 말이야 니들이 부자가 됐네 이거는 말도 안 되는 거다 트럼프처럼 막아갖고 이 블루 칼라들을 잘 살게 만들어야지 지들만 잘 먹고 잘 살면 되냐 그래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관세로 인해서 이제 몇 달 안에 미국 전역의 노동자 계층 지역에 수천 개의 고소득 블루칼라 자동차 일자리가 들어올 수 있다 그래 가격은 오를 수 있어 하지만 일자리가 들어오잖아 그럼 미국 입장에서는 그게 더 좋은 거 아니냐 아니 일자리가 들어오면 된 거지 옛날에 기업들은 자유무역 시키니까 어떤 짓을 했냐 멕시코에 가서 근로자들을 헐값에 착취를 했어요 한국 가서 말이야 GM 한국 공장 그런 데서 만들고 비싼 미국인 써야지 싼 캐나다인, 싼 멕시코 그런 데 가면 되냐 착취한 거 아니냐 조금 더 착취해 주지 지금 40만 대 만드는데 한국GM공장 조금 더 착취해서 100만 대를 만들었으면 하는 간절한 소원이 있는데
(37:49) 착취해 준다니까 우리 그렇게 걱정해 주시고 그러는데 미국의 전통의 3사들이 멕시코 와서 그런데 이제는 미국이 와서 미국인들을 구경하니까 일자리가 돌아온 거다라고 얘기를 했죠 물론 질문이 있습니다 그런데 관세는 저소득 노동자층한테 더 타격이 크다는데요 그거 관세로 가격이 오른 거 그거는 기업 탓이지 관세로 일자리가 들어오는 건 트럼프가 잘한 거고 물가가 오르면 기업 탓이지 왜? 트럼프 가격 올리지 말랬잖아 안 올리면 되지 안 올리면 아니 기업가 놈들이 욕심이 많아가지고 돈 많이 벌겠다고 지들이 가격 올리고 물가가 쳐 올랐는데 그거를 트럼프 욕하면 됩니까? 그거 기업 탓이지 안 올리면 되는 건데 그걸 올려갖고 말이야 요즘 관세가 미국 경제를 파괴할 거라고 말이 많아 하지만 그저 공정한 가격 저가 경쟁 이런 거 말고 공정한 그런 가격을 원할 뿐이지 미국 기업이 가격 올리면 당연히 미국 기업이 책임져야 되는 거 아닙니까? 올리지 말라고 그랬는데 공정하게 하면 되지 공정하게 좀 덜 벌면 되잖아 좀 덜 벌면 그 욕심을 부리고 참 사람들이 문제라고 얘기를 했죠 그러면 여기서도 의문이 듭니다
(38:51) 정말로 관세는 일자리를 창출하냐 관세는 누가 내냐라는 얘기를 했죠 가격은 오를 것 같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아 안 오를 거라고 생각하는 트럼프도 있지만 그러면 가격은 좀 오르더라도 일자리를 창출하면 된 거 아니냐 아까 전에 현대차 공장도 만 개 일자리 직간접 10만 개 이런 일자리 얘기하잖아요 일자리 해소가 된 거 아니야? 관세가 일자리를 차지하는 거대한 산업과 같다 나는 이걸 지지하는 거야 관세가 일자리를 창출하냐 미국 내로 들어오니까 이건 저 잘 모르겠는데 경제학자들은 이렇게 얘기합니다 궁극적으로는 그렇게 안 될 거다 무슨 말이냐면 관세로 이득을 보는 예를 들면 자동차 섹터 그래 거기 일자리는 늘겠지 그런데? 예를 들면 철강 관세를 얘기를 듣는데 그런데 그렇지 못한 쪽은 줄어들 거예요 왜냐하면 철강의 관세를 때려 무슨 말입니까? 미국 내 철강 가격이 오른다는 말이야 내 철강을 자동차만 쓰냐 다른 데도 써요 건설할 때도 쓰고 이거 해도 쓰고 저거 해도 철강은 다 쓴단 말이야 그럼 그쪽은 25%가 가격이 올랐어 그럼 거기는 당연히 산업이 줄겠죠
(39:56) 예를 들면 철강 관세를 때렸을 때 일자리가 늘어날 거라고 미국의 철강 기업들이 들어오면서 늘어날 거라고 생각했지만 반대로 철강을 사용하는 16만 8천 개의 일자리가 사라진 적이 있다 이걸 뭐라고 그러냐면 풍선효과 라고 합니다 실제로 일종의 풍선효과인데 실제로 일어날지는 모르겠어요 예를 들면 2018년 트럼프가 철강에 관세를 부과했을 때 일자리 8700개가 생겼다라고 홍보했는데 실제로는 철강을 사용하는 다른 업계 일자리는 7만 개 이상이 날라간 게 아니냐 이제 이런 말이 있죠 그래서 관세를 했을 때 과연 일자리가 정말로 늘어날 거냐 아니면 특정 산업만 지켜주고 전체는 피해를 볼 거냐 관세를 매긴 물건을 사용하는 어떤 기업들은 피해를 볼 거냐라는 문제가 있죠 이것도 재밌을 것 같아요 과연 어떻게 나올 건지 정말 사회실험입니다 일종의 경제실험을 해주고 있어 경제학자들이 책으로 머리로만 만든 거를 실제로 해주고 있어 아마 궁금해서 다 쳐다보고 있을 거야 어떻게 되나 출산율은 한국 거잖아요 망하나? 왜 안 망하나? 0.7 누가 해봤어?
(40:58) 못 해봤잖아 어떻게 되나? 여기서 안 해봤어 안 해봤는데? 해보는 거죠 경제학자들은 이렇게 얘기합니다 한마디로 말하자면 일자리가 옮겨간다 관세로 보호받는 업계는 일자리가 증가하지만 그것 때문에 비싸지면 업계는 일자리가 줄어들 거다라고 얘기를 하는데 한번 봅시다 물론 그건 있습니다 아니 그래도 보호받는 업계 일자리는 늘어나는 거 아니냐? 이거 개꿀 아니야? 그건 맞아요 보호받는 산업은 좋아요 좋을 수밖에 없지 라이센스 쳐준다는 거하고 똑같잖아요 이거 문턱을 높인다는 거 아니야? 여기 들어오는데 허들을 왕창 높여주면 당연히 좋지 워런버핏도 허들 높은 기업을 사는 게 유리하다 이런 소리 했었는데 허들을 알아서 높여주는 거잖아 라이센스 높여주고 유튜브 하려고 그러면 앞으로 하버드를 나오고 영어 1급, 코딩 1급, AI 1급 나오세요 뭐 그러면 좋지 좋기 때문에 그 산업은 좋지만 나머지 산업들이 이제 어려울 수 있다는 거고요 결론적으로 UAW가 트럼프 지지하는 거는 뭐 그럴 수 있고 이렇게 러스트벨트의 일자리를 다시 가져올 것이다 라고 얘기를 하니까
(42:00) 그 효과를 한번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실제로 과반수의 미국인들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지지한 이유가 바로 이겁니다 일자리가 보호될 것이다 내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다 나랑 경쟁하는 불법이민자를 쫓아내줘 그럼 내가 고용이 될 것이다 철강을 막아줘 그럼 내 제철소가 잘 되겠지 자동차에 관세를 매겨줘 내가 근무하는 자동차가 잘 되겠지 뭐를 막아줘 내 일자리가 늘어날 거다라고 생각하는 게 트럼프의 원동력이에요 제가 보기에 가격도 가격인데 당선의 원동력 가격이 좀 올라도 일자리를 과연 지켜줄 건지 한번 봅시다 그래서 아까 자유무역 실현했잖아요 UAW 대표가 실제로 공화당 지지층은 국제무역을 싫어합니다 국제무역을 하면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이다 옛날에 64%에서 47%까지 떨어졌어요 그냥 우리끼리 문 닫고 관세 많이 매기고 일자리, 좋은 일자리 우리끼리 나눠갖는 게 좋다라고 생각한다 그러고 그래서 공화당 지지층은 관세안을 지지합니다 압도적으로 멕시코의 25% 관세 부과해야 된다 공화당 지지자는 68%가 그래야 된다 라고 얘기를 하고 있죠 물론 자꾸 경제학적으로 얘기해서 죄송하지만
(43:00) 그냥 학문적으로 경제학 원론 정도의 수준으로는 당연히 당연히 윈윈이 아니라 루스루스입니다 이거 비교우위로 이런 거 있잖아요 당연히 자유무역이 보호무역보다 효용의 합계가 크죠 보호무역이 작고 우린 이렇게 배웠는데 실제로 이렇게 작동할지 한번 봐야 된다고 할 수 있고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예일대 교수 모건스테니 아시아 전 회장님이 연세가 많으신데 이렇게 얘기했어요 아이고 이거 문화대혁명의 초기 단계를 보는 것 같아 컬처럴 레볼루션이요 라고 얘기를 했다는데 문화대혁명 미국판 문화대혁명의 초기를 보는 것 같다 과연 이 모든 게 뒤집히고 있는 거잖아요 어떻게 될 것인가 그리고 우리 교수님 이렇게 얘기했어요 중국 문화대혁명은 그나마 중국이 문을 닫고 있어서 내부에만 그쳤거든요 그런데 우리는 전 세계가 하면 어떻게 될 건지를 알게 됩니다 왜냐하면 미국은 문을 열고 있잖아 미국에 연관 있는 데가 얼마나 많은데 전 세계가 같이 문화대혁명을 하면 어떤 모습을 보일지 어...
(44:02) 그걸 꼭 해야 되나 싶긴 한데 사회 실험 그 자체를 보고 있지 않나 생각을 합니다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혼밥의 매력 (0) | 2025.04.17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마! 내가 만만하나! (1) | 2025.04.16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쌉니다 기획재정마트 (0) | 2025.04.14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원래 다 그런겁니다 (4) | 2025.04.10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울라리는 듬직하기라도 했지 (1)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