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내용 요약
한글 요약
이 동영상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미국-캐나다 무역 갈등, 그리고 주식시장의 변동성에 관한 내용입니다. 주요 내용:
- 미국의 관세 압박과 무역 갈등:
- 백악관이 일본의 쌀 관세(700%)와 한국의 소고기 수입 제한에 문제 제기
- 캐나다와의 관세 전쟁 격화: 트럼프는 캐나다산 철강·알루미늄 관세를 50%로 인상하겠다고 위협
- 캐나다는 미국 동부로 수출하는 전기에 25% 추가 요금 부과로 대응
- 트럼프는 캐나다를 "비열하다"고 비난하며, 자동차 관세를 통해 "캐나다 자동차 사업을 영구적으로 중단시키겠다"고 위협
- 관세에 대한 오해:
- 백악관 대변인 리빗이 "관세는 외국에 대한 세금 인상이고 미국 국민에 대한 세금 인하"라고 주장
- 실제로는 관세가 미국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세금이라는 점을 기자들이 지적
- 나스닥 주가 하락과 정부의 대응:
- 나스닥이 2만에서 18,000으로 하락
- 트럼프 행정부 인사들은 "바이든이 만든 혼란", "전환기에 있는 것", "단기 변동에 집중하지 말고 장기적 관점에서 보라"는 등의 설명 제시
- "주식시장은 실제로 있는 마켓이 아니다"라며 장기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
- 미국 정부 셧다운 위기와 해결:
- 트럼프가 민주당 상원 대표 척 슈머를 "팔레스타인인 같은 놈"이라고 비난
- 민주당은 셧다운 시 도지(정부효율부서)가 연방정부 감축에 나설 것을 우려해 공화당 예산안 통과에 동의
- 민주당 내부에서 상원과 하원 간 의견 충돌 발생
English Summary
This video discusses the Trump administration's tariff policies, US-Canada trade tensions, and stock market volatility. Key points:
- US Tariff Pressure and Trade Conflicts:
- The White House criticized Japan's rice tariffs (700%) and South Korea's beef import restrictions
- Escalating tariff war with Canada: Trump threatened to raise tariffs on Canadian steel and aluminum to 50%
- Canada retaliated by announcing a 25% surcharge on electricity exported to the US East Coast
- Trump called Canada "disgraceful" and threatened to "permanently end Canadian auto manufacturing" through tariffs
- Misunderstanding About Tariffs:
- White House spokesperson Karine Jean-Pierre claimed "tariffs are tax increases on foreign countries and tax cuts for American citizens"
- Journalists pointed out that tariffs are actually taxes paid by American consumers, not foreign countries
- Nasdaq Stock Decline and Government Response:
- Nasdaq fell from 20,000 to 18,000
- Trump administration officials attributed the decline to "chaos created by Biden," claimed it was a "transition period," and advised looking at the long-term perspective
- Trump stated "the stock market is not a real market" and urged a long-term view like "China's 100-year plan"
- US Government Shutdown Crisis and Resolution:
- Trump called Democratic Senate leader Chuck Schumer "like a Palestinian"
- Democrats agreed to pass the Republican budget proposal fearing that a shutdown would enable DOGE (Department of Government Efficiency) to implement more severe federal government cuts
- Internal conflict emerged within the Democratic Party between the Senate and House representatives
"혹시 백악관에서 단체로 숏 친거 아닌가요?"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OUy9wBWHyIs
Transcript:
(00:08) 여러분들이 다 설왕설래 하시는 나스닥 얘기 한번 해보겠습니다 내일 밤도 걱정이 좀 돼요 내일 밤도 요즘 어떻게 이렇게 날마다 작두 탄 것처럼 마음이 두근두근해 이게 내려가는 것도 봉이 크고 올라가는 것도 봉이 크니까 하루에 2%씩 움직이잖아요 2만 찍었던 나스닥이 18,000 가기 때문에 많이 빠졌죠 나스닥이 지금 마음을 심쿵심쿵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 얘기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일단 관세 얘기를 안 할 수가 없는데 3월 12일 날 백악관은 일본의 쌀 관세 문제를 콕 집어 언급했습니다 백악관 리빗이 무려 자료까지 갖고 와서 700% 이러면서 흔들었어요 일본을 보십시오 미국 쌀에 무려 700% 관세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라고 흔들었단 말이에요 근데 그게 남의 일 같지가 않은 게 우리나라도 쌀은 물론 단계적으로 열고 있지 옛날에 우리랑 FTA 맺으면서 다 했잖아 다 했는데 지금 와서 그래요 우리도 물론 500% 정도 관세를 하는데 쌀은 했는데 이걸 또 콕 갖고 와서 막 흔드니까 일본도 이것 때문에 발칵했어요 막 흥분하기도 하고 니들 쌀은 봐주기로 했으면서
(01:12) 니들 그래갖고 어떡하냐 흥분했는데 우리도 마음이 조용히 있지만 왠지 심쿵심쿵하고 다행인 거는 한국이 우리가 일본보다 조금 관세가 낮아서 백악관 대변인 리빗이 한국을 안 흔들고 일본을 흔들었다는 게 다행인 게 우리가 만약에 800%였다 일본보다 높았다 그러면 한국을 흔들었을 거 아니에요 그런데 다행히 일본이 가서 먼저 맞고 왔고요 하지만 우리는 안 맞았냐 일본만 맞고 아니죠 한국에 대해서는 뭐라고 얘기했냐 3월 11일 날 전미소고기협회가 한국의 소고기 수입 제한 풀어라 이렇게 얘기했어요 아니 그런데 우리나라 미국 소고기 엄청나게 수입하거든요 놀랍게도 미국 소고기 수입 1위 국가예요 뭘 풀라는 거야 30개월 풀어라 다 풀라는 거지 아예 제한을 없애라 근데 이 선적 가격 기준으로 대한민국이 미국 소고기 최대 수입국입니다 이거 물론 왔다 갔다 해요 왔다 갔다 하는데 일본 보다 많이 수입했거든 우리가 한우가 맛있긴 하지만 가격이 조금 부담되니까 물론 한우가 최고지 한우가 짱인데 요거 요거 값싼 맛으로 좀 호로록짭짭 해줬더니 야 근데 우리가 최대 수입국인데 우리가 협박을 해야지
(02:17) 니들이 협박질을 참 그런 상황이고요 그래서 30개월도 수입하라고? 미국 소고기 우리 충분히 많이 수입하는 것 같은데 더하라고? 뭐 그럴 수도 있겠죠 그렇게 또 우리도 갖고 흔들었고요 근데 사실은 우리만 뜨끔할 필요가 없는 게 얘들은 동시다발적으로 흔들고 있어서 지네들이 어디 흔드는지 잘 모를 거야 대한민국 소고기만 얘기했으면 우리가 빠싹 긴장을 해야 되는데 하도 동시사발적으로 얘기하니까 지들도 뭘 얘기했는지 헷갈릴걸? 독일 자동차 관세 얘기하고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려면 모두 공평하게 때려야 될 거 아니냐 일본, 한국, 독일 공평하게 때리겠다 이런 얘기하다 보니까 정신 없을걸 제 생각에 정신 없을 것 같은데 이 와중에 우리도 맞고 일본도 맞고 다 맞고 있죠 가장 크게 맞는 게 어디냐 캐나다입니다 3월 12일 날 미국 상무부 장관 러트닉이 이렇게 얘기했어요 캐나다는 우크라이나 같다 어떻게 이렇게 떼를 쓰냐 우리한테 캐나다는 미국한테 어떻게 해야 돼요 Just say thank you 그저 감사하게 감사합니다 라고 말해야지 자꾸 떼를 써
(03:20) 아니 캐나다는 미국한테 감사하다고 얘기해야 되는 거 아니냐 왜? 아니 당연한 거 아닙니까? 캐나다는 미국 옆에 있잖아 그래서 미국에 엄청나게 많은 수출을 해요 그래서 먹고 살고 있잖아 캐나다 안보 누가 책임져줘 미국과 NATO가 하는 게 아니야 그거 누가 냅니까? NATO에 내는 비용 미국이 내잖아 그럼 뭐라고 해야 돼요? 니들이 입을 열면 가장 먼저 해야 될 그 단어 땡큐 따라 해보세요 Just say thank you를 해야 되는데 아니 이것들이 떼를 써요 떼를 써 관세 내라고 그러면 내고 51번째 주라고 하면 주라고 하고 감사합니다 하고 그저 무릎 꿇고 땡큐 땡큐 해야 되는데 아 우크라이나 같구만 이라고 얘기를 한다는 거죠 요즘에 보면 미국은 거의 모든 나라한테 감사하라고 얘기하는 게 아까도 폴란드도 얘기했잖아요 폴란드한테도 감사하라고 얘기해라 우리 아니었으면 러시아가 니들 후루룩짭짭할 수 있는데 스타링크 해서 우크라이나가 싸우고 있으니까 폴란드도 감사하고 우크라이나도 감사하고 당연히 캐나다도 감사하고 땡큐하다고 해야지 이것들이 감사하다는 말을 안해요 라고 얘기를 했죠
(04:24) 놀랍게도 캐나다한테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캐나다 바로 옆에 세계 초강대국의 무역 파트너가 있다면 제가 이거 마음대로 적은 거 아니에요 여기 있는 단어 그대로 적어온 거예요 근데 웃긴 게 헤아릴 수 없는 은혜 immeasurable respect 그렇죠? 헤아릴 수 없는 은혜에 감사의 뜻부터 immeasurable한 그 리스펙트를 보여야 되는 거 아니냐 옆에 말이야 이런 세계 초강대, 대국이 너희를 위해 이렇게 해주고 있는데 근데 헤아릴 수 없는 은혜는 스승의 은혜도 아니고 정말 오랜만에 본 것 같은데 이거 스승의 은혜 때나 나오는 단어인데 그런 걸 보여야지 말이야 다시 한 번 얘기했습니다 러트닉이 Say thank you 따라 해보세요 Say thank you 그 말을 하고 모든 걸 시작을 하자고 얘기를 했죠 그런데 캐나다 입장에선 캐나다가 땅 넓이로 세계 2위인가? 그렇잖아요 러시아 다음인가 제 기억에 그런데 그런 국가인데 저런 소리를 하니까 정말 안하무인이죠 안하무인이니까 캐나다인들이 반미 감정이 확 올라가면서 트뤼도 총리가 이끄는 캐나다 자유당 지지율이 촥 올라갑니다
(05:31) 미국과 맞서는 당의 지지율이 촥 올라가요 정말 극적으로 캐나다 경제 간다 해서 정말 내려가고 있다가 쭉 올라가 근데 문제는 조금 늦게 올렸어 이거 좀 빨리 올렸어야 살려주는데 누구를? 이미 가셨습니다 이미 가셨어요 이미 이미 그 그쵸 죽은 누구 뭐 만지기라고 이미 가셨습니다 자유당의 트뤼도 지금 캐나다 총리가 3월 9일 눈물의 고별사를 진행했습니다 그만두시는 거죠 캐나다 총리로서 마지막 발언이에요 거기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캐나다인들은 미국으로부터 존재적 도전의 직면에 있다 우리 모두 힘을 합쳐서 이걸 이겨야 된다 다 좋은데 트뤼도가 화제가 된 게 있었는데 그러면서 퇴장할 때 하원에 있는 자신의 의자를 가지고 퇴장을 했는데 이게 세계적인 화제가 됐어요 누가 사진을 찍는 것 같으니까 표정을 이렇게 지었어 아니 무슨 마지막 어쩌고 하면서 여러분 잘하세요 여러분 사랑합니다 그동안 감사했습니다 미국의 존재적 뭐에 대해서 싸워서 이기세요 하더니 뒤돌고 가더니 야 이거 뭐야
(06:33) 야 하원에 가서 이거 뭐라는 거야 놀리는 거야 지금 야 너희 새 됐다 뭐 이런 얘기하는 것 같고 야 나는 간다 얘들아 잘해봐라 화이팅 이런 느낌이 있어서 이게 서구에서도 가서 보면 언론들이 설왕설래하고 있어요 이게 무슨 뜻이지? 잘해보라는 뜻인가? 니들 망했다라는 뜻인가 아니면 뭐 나는 즐겁다라는 뜻인가? 뭐 설왕설래하는데 개인적으로는 백악관을 떠난 다음에 바이든의 표정과 비슷한 것 같아요 바이든 어르신도 요즘에 가끔 올려 자기 트위터 이런 거 올립니다 엑스에 올리는데 보면 밝아지셨어 행복 이러고 있어요 길에서 셀카 하나 찍으셨어요 여러분 사랑합니다 We love you America 행복 이렇게 올리셨는데 근데 저렇게 온화한 표정이나 올리지? 조금 그렇긴 하지만 뜻은 비슷한 게 아닌가 생각이 되고요 트뤼도 총리 다음에 신임 총리로 올라온 인물은 마크 카니라는 인물입니다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 영국 중앙은행 총재 그리고 이번에 캐나다 총리까지 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후임 총리가 이렇게 얘기했어요
(07:35) 미국이 캐나다에 존중심을 보일 때까지 미국의 보복관세를 유지하겠다 캐나다는 트럼프에 맞서 싸울 것이다 트럼프의 위협에 굴하지 않고 보복관세를 유지하겠다 그래서 유지하는구나 트럼프하고 진짜 싸우는구나 그 다음 말이 국민 여러분 무역과 아이스하키만큼은 꼭 미국에 이기겠습니다 이렇게 얘기했어요 그래서 아 무역이 이기겠습니다는 좋은데 아이스하키는 얘네가 아이스하키 좋아하긴 좋아하는구나 그 중요한 중차대한 자기 신임 총리 연설에서 아이스하키 얘기를 하네 아니 경제를 논하는데 파리도 아니고 파리보다 중요한가 보죠 아이스하키가 얼마나 중요한지 캐나다의 국기 그 자체죠 무역과 하키에서 모두 캐나다가 이길 것입니다 여러분 이라고 얘기했는데 이유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겨야 돼요 최근에 자주 붙거든요 자주 붙는데 아이스하키 4개국 게임 결승 우린 관심이 없지만 뭐 이런 거 합니다 미국과 캐나다 실제로 붙었어요 캐나다 이겼거든 우리 아이스하키도 이겼단 말이야 무역만 이기면 되는 거잖아 아이스하키도 이겼기 때문에 무역만 이기면 됩니다 여러분 이 얘기를 한 건데
(08:35) 이 경기를 보신 분들은 거의 없겠지만 저도 나중에 이 자료 만들면서 하이라이트로 봤는데 얘들은 아이스하키를 하는 게 아니라 UFC를 하던데 원래 아이스하키는 선수끼리 공식적으로 싸워요 다 아시죠? 무슨 소리냐? 선수가 이렇게 싸울 포즈를 취하면 심판들이 주변에 UFC 심판처럼 둘러싸 안 말려요 승부가 날 때까지 한 명이 때려서 넘어질 때까지 안 말려 싸우는 게 룰이야 원래 싸워도 돼 게다가 놀랍게도 여러분들 아시겠지만 싸움 전문꾼도 있죠 보시면 알겠지만 얘는 우리 팀에 하키도 잘하는데 이걸 잘해 그럼 우리 팀 주먹이야 주먹이 있어요 싸울 것 같으면 걔가 우리편 주먹이 그래서 아이스하키장에서 툭하면 멱살 잡고 싸우잖아요 보고 그렇긴 하지만 자 이번에 이런 상황에서 국민 감정이 안 좋은데 캐나다와 미국이 결승에서 붙었습니다 그래서 둘이 싸울 건 당연히 예상했는데 놀랍게도 한창 경기 하다가 싸운 게 아니라 경기 시작 0초만에 싸웠어요 그럴 바엔 UFC를 하지 0초만에
(09:37) 제가 보여드릴 텐데 아니 그 0초는 좀 자 이겁니다 자 경기 시작됩니다 자 경기 시작 뿌우우우우 부르더니 벌써 벗었죠? 벌써 벗었죠? 이 친구 벌써 벗었어요 시작하자마자 일단 벗었어 벗었어 야 경기도 안하고 저거 벗고 일단 심판들 보고 있죠? 심판들 보고 있죠 아 물론 하키채로 때리면 안됩니다 막고 있잖아요x2 조금 있다가 다시 보여드리고요 경기를 해야지 말이야, 경기를 해야지 근데 저게 뭐 아이스하키는 원래 저러는 거니까 감정이 좀 실리긴 했죠 자 근데 아이스하키 경기보다 더 중요한 게 있었죠 뭡니까? 이겨야지 지금 미국 캐나다 국민 감정이 이런데 캐나다 선수는 여기서 지면 야 경기는 져도 그건 이겨야지 놀랍게도 그래서 주먹질에서 이겼습니다 저 선수가 끝까지 안 보여드렸지만 결국 줘패서 미국 선수가 깔렸어요 업어치기 했거든요? 업어치기 해서 깔려서 넘어지는 순간 말립니다 넘어지는 순간
(10:39) 여기까지 그리고 놀랍게도 관중들이 야 우리가 이겼다 야야 좋았어 줘팼어x2 이러면서 손을 흔드는데 손 흔드는 장면 한번 보여드리겠습니다 우리가 미국을 줘팼다 이 선수 내가 이겼다니까 하여튼 국민적 감정이 있으니까 그래서 결국 경기를 시작합니다 경기를 시작하는데 더 놀라운 건 0초만에 한번 싸워서 이겼으니까 경기를 해야 되는데 3초만에 이번에는, 경기 시작 3초 아까 걔들 아닙니다, 다른 애들이에요 3초만에 또 다른 놈들이 이걸 벗더니 야 이걸 다시 때리는데 경기하자 경기 왜 두 번째 싸움이야 3초만에 또 벗었어, 3초에 뭐 트러블이 있어 그냥 처음부터 싸우고 싶었어 3초만에 보자마자 일단 벗고 주먹부터 날리는데 보시면 알겠지만 이번에 까만색이 이겼죠? 미국 선수가 이겼어요 둘이 이제 잽싸게 가서 말리는데 3초만에 이긴 것도 보여드려야 되나? 궁금하실까 봐
(11:42) 보여드리겠습니다 자 1차전 끝났으니까 경기 하시지요 하고 19분 57초죠? 19분 57초인데 갑자기 또 내려놓고 시작하죠? 여기 선수 보셨죠? 던지고 아니 멀리 있는데 뭐 벌써부터 던지고 가? 던지고 이 선수 아니까 이미 던졌습니다 와서 또 시작되는 겁니다 예... 뭐 경기할 생각이 없는 거죠 이 정도면 경기할 생각이 없는데 처음부터 작정을 하고 나온 거니까 자 그렇게 해서 이번에는 미국이 승리해서 끝났습니다 놀랍게도 각자 벤치에서 잘 싸웠다고 둘이 싸운 선수들이에요 싸운 선수들, 둘이 서로 다독이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주먹이죠 주먹 팀의 공식 주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먹들이 모여있구요 자 그렇게 해서 끝난 줄 알았는데 경기 재개 6초만에 세 번째 주먹질을 했죠 그만하자 야 그것도 3번 하면 나 두 번째까지는 이해하려고 그랬어 경기할 생각이 없어 19분 51초야 이거 20분이에요 20분 퍼스트 쿼터가 20분인데 0초에 한 번
(12:44) 3초에 한 번 9초에 한 번 아마 감독님이 처음부터 아이스하키 잘하는 애보다 주먹질 잘하는 애 위주로 스쿼드를 짠 게 아닌가 생각이 되고 자 이 모습도 있는데 그거는 이제 보여드리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이건 어떻게 됐냐 넘어지기 전에 심판이 말렸어요 개인적으로는 1승 1무 1패가 아닌가 아마 보고 있는 관중들은 좀 시원했을 겁니다 돈 값 했죠? 미국의 안면에 주먹을 날렸으면 돈 값 한 게 아닌가 생각이 되고 그거면 됐지 네 연봉값 했다 연봉값 그거면 됐지 않나 생각이 되고 그래서 하키도 이기고 이제 무역 분쟁만 이기면 되는 거죠 무역 분쟁을 이기기 위해서 캐나다는 지금 미국에 200억 달러 이상의 보복관세를 선언을 했습니다 3월 20일이니까 며칠 안 남았어요 이번 주 목요일부터 캐나다의 미국에 대한 보복관세가 발효가 됩니다 그리고 이게 끝이 아니라 여러분 아마 뉴스로 보셨겠지만 캐나다의 회심의 반격이 있었는데 캐나다가 미국 동부로 보내는 수출 전기에 25% 추가 요금을 매기겠다 라고 선언을 했어요 캐나다 온타리오 주지사가 이 아래 뉴욕, 미네소타, 미시간 이런 데로 가는 전기에
(13:48) 25% 추가 요금을 부과하겠다 3월 10일 다음 주 다음 주 3월 10일 날 얘기를 했으니까 언제부터 부과될지 모르겠는데 이것도 만약 목요일날부터 부과되면 다음 주부터 미국 동부에 있는 주민들은 전기료가 확 올라갑니다 물론 민주당 출신 미시간 주지사한테는 사과했대요 여기 민주당이 야 나는 왜 그러니까 미안하다 다 하는 거니까 어쩔 수 없었다 라고 사과했다고 하는데 문제는 전기료 25% 인상 크단 말이에요 이건 물가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고 저걸 들은 트럼프가 뭐라고 얘기했냐?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나는 러트닉 상무부 장관한테 캐나다에서 들어오는 모든 철강, 알루미늄 관세를 지금 25% 얘기했거든요 노 50%로 올리라고 지시했다 그리고 이렇게 캐나다를 비난했어요 이렇게 비열해질 수 있는 걸 여러분들은 상상할 수 있었습니까? 캐나다는 비열하기 그지없습니다 캐나다가 무고한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기를 말이야 그런데 다가 관세 이런 걸 매겨 갖고 말이야 세금 매기고 위협으로 사용하고 있는 거 아닙니까? 정말 비열하기 그지없군요
(14:45) 물론 일본 쌀, 한국산 소고기도 있지만 그건 상관없고 무고한 사람의 삶에 전기는 얼마나 크게 영향을 미치는데 그런 거에 관세를 때리고 나는 국가적 전기 비상사태를 선포할 겁니다 캐나다 정말 썩어문드러졌군요 라고 얘기를 했죠 그러면서 이렇게 협박을 했습니다 나는 4월 2일부터 캐나다에서 오는 자동차 관세도 아주 높게 인상하겠습니다 이번 자동차 관세는 캐나다의 자동차 제조 사업을 영구적으로 중단시킬 것입니다 영구적으로 망하게 만들겠다는 거죠 영구적으로 왜냐하면 그런 자동차들 캐나다에서 만들 필요 없습니다 미국에서 만들면 되겠죠 캐나다 자동차 사업 내가 영구적으로 말아먹게 만들겠습니다 라고 얘기를 하면서 둘의 싸움이 극단으로 가는데 문제는 여러분도 잘 아시지만 캐나다는 미국의 자원 창고잖아요 미국의 철강, 알루미늄 최대 수출국입니다 미국이 수입하는 알루미늄의 41% 수입 철강의 25%, 목재, 원유 등등이 캐나다에서 정말 많이 와요 둘이 저렇게 관세전쟁으로 싸우면 미국 입장에서 당연히 타격이 있을 수밖에 없고 캐나다는 국민적 감정이 안 좋으니까
(15:45) 주먹만 날린 게 아니라 다른 것도 날리는데 EU 가입 검토를 하겠다 캐나다 대서양 건너편인데 북미하고 안 어울릴래 난 유럽하고 어울릴래 EU를 가입한다고 근데 그래도 되나 그러면 우린 안 되나 인도양 건너편에 있지만 캐나다도 가입하는 판에 우리도 유럽 우리도 EU 안 되나 가입을 하겠다 안 하겠다 이런 얘기를 하고 있고 미국은 미국대로 또 강수를 날리는데 백악관 대변인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캐나다는 더 이상 미국의 동맹이 아닐 수도 있네요 캐나다는 항상 미국의 동맹이라고 생각해 왔는데 최근 캐나다가 말하는 걸 보니까 점점 경쟁자가 되는 것 같습니다 캐나다는 어떻게 이렇게 비열할 수 있습니까? 이거 동맹이어야지 세금 내라고 하면 내고 51번 째주라고 하면 주고 그러는 거지 미국한테 덤비는 걸 보니까 점점 경쟁자가 되고 있는 것 같네요 라고 얘기를 했죠 근데 물론 이 두 나라가 싸우는 게 우리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이게 마음이 심란할 수밖에 없는 게 지금 나스닥이 2만 찍다가 18,000 찍었잖아요
(16:48) 미국이 잘 나가야 주가도 오르고 우리 마음도 좀 올라가고 벌고 그래야 되는데 우리만 심란한가 봐 트럼프는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앞으로 더 재밌어질 거다 따야 재밌지 따야 재밌어 따야 잃으면 누가 재밌어 안 건 사람은 재밌을 수도 있는데 야 그건 안 건 사람이고 옆에서 보면은 그래 뭐 안 걸고 보면은 나는 너무 재밌다 나는 이 주식을 사지 않았기 때문이다 뭐 그럴 수도 있는데 하.. 트럼프는 재밌어질 거다 이렇게 얘기했어요 왜냐면 북중미 월드컵 하는데 멕시코, 캐나다, 미국 사이가 안 좋으니까 이번 월드컵 정말 재밌지 않겠냐 마치 일본과 사이가 안 좋아진다면 한일전 너무 재밌지 않겠냐 중국과 사이가 안 좋아진다면 한중전 야 재밌겠는데 뭐 이거하고 얘기하는 거 비슷하게 미국 멕시코전 미국 캐나다전 정말 흥미진진하겠는데? 거기서도 이거 하나? 축구는 하면 안 되잖아 하여튼 이렇게 얘기하면서 재미지다 라고 얘기를 했죠 이 와중에 오늘의 주제인데요 백악관 브리핑을 리빗 백악관 대변인이 진행을 했습니다 이런 얘기가 나왔어요 리빗이 이렇게 얘기했어요
(17:51) 관세는 외국에 대한 세금 인상이고 미국 국민에 대한 세금 인합니다 라고 얘기를 했어요 관세 들어오는 물건에 세금을 매기니까 우리는 외국에 대해서 세금을 매긴 거야 걔들 세금 인상이고 미국 국민은 관세 들어와서 세금 안 내니까 세금이 인하인 거야 우리는 외국에서 돈을 받았어 이런 얘기를 했습니다 듣고 있던 기자가 이렇게 얘기했어요 아니 관세 몰라요? 관세 내본 적이 있어요? 외국 국가들이 관세를 내는 게 아니에요 외국 국가들한테 세금 인상이라니 외국 국가는 미국에 세금 안 내요 관세는 우리가 내요 이렇게 얘기했어요 그랬더니 듣고 있던 리빗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뭔 소리? 그런 모욕적인 말 하지 마라 내 경제학적 지식을 시험하려는 그런 거 모욕적인 일이야 내가 잘 모를 거라고 그렇게 얘기하나본데 난 다 알고 있어 관세는 외국에 대한 세금이고 미국 국민에 대한 세금 인하지 어떻게 네가 그렇게 얘기하냐 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런데 이거 보면서 한참 웃었는데 내 상식과는 다른가? 관세는 누가 냅니까? 외국 국가나 외국 기업들 또는 외국 국민들이 관세를 내나요?
(18:52) 그래서 외국에 대한 세금 인상이야? 현대차가 자동차 수출할 때 관세가 부과되면 현대차나 대한민국 아니면 여러분들이 십시일반 모아서 그 관세를 내서 미국에 수출을 하나? 관세는 누가 내요? 당연히 미국인들이 내는 세금입니다 당연히 아니, 이걸 설명해야 된다는 게 웃긴데 아니, 무슨 소리를 하는 거야 3천만 원짜리 현대차를 수출을 해 거기에 천만 원 관세를 붙여서 미국에 가니까 4천만 원이 됐어 그렇죠? 그럼 이 천만 원 관세 누가 내는 겁니까? 현대차가 들어갈 때 천만 원 내고 들어가나? 미국인들이 4천만 원에 사는 거예요 이거 이거 하면서 내 상식이 약간 부정되는 것 같은데 잠깐만 현대차가 천만 원을 내고 들어간다? 잠깐만 이게 무슨 소리야? 미국인들이 사잖아 관세 붙은 거 아니 우리가 예를 들면 중국 물건이나 아니면 일본에서 물건 들어갈 때 관세 붙으면 그 비싼 가격 누가 냅니까? 현대차가 천만 원 내주고 미국인들은 3천만 원짜리로 사요? 미국인들이 4천만 원짜리로 사잖아 당연히 미국인들이 내는 세금입니다 물론 현대차가 가격이 올라가니까
(19:53) 가격 경쟁으로 덜 팔릴 가능성이 있고 차 값 올라가면 미국 내에서 만드는 차하고 가격 경쟁이 안 될 수도 있으니까 현대차가 덜 팔리거나 미국 내 차가 잘 팔릴 수 있죠 그런 건 있는데 돈을 현대차가 천만 원씩 내고 들어가진 않지 관세를 이상하네 내가 잘못 이해하고 잠깐만 상식이 부정되는 그런 느낌인데 말하는 게 소득세를 없애고 관세를 늘리겠다는 말은 무슨 말입니까? 미국인들의 세금을 없애고 외국에서 받는 세금으로 자기들이 잘 살겠다는 뜻인가요? 외국인들이 내는 돈이 아니에요 소득에 따른 누진 세금을 없애고 관세는 모든 사람이 공평하게 부담하잖아 모든 사람에게 부과하는 세금을 올리겠다는 말과 똑같습니다 모든 미국인 소득세를 없애고 관세를 늘리겠다는 게 외국인들이 미국인들의 소득세를 대신 준다는 말이 아니라 소득이 많은 사람들이 내는 누진 세금을 없애고 모든 사람에게 부과되는 자기 미국인들의 세금을 걷겠다는 말과 똑같은 말이죠 아 나 웃기네 뭐라고 얘기해야 될지 하여튼 그런데 그러니까 좀 복잡하게 써 이걸 복잡하게 쓴다는 게 웃긴데
(20:54) 백악관 대변인이 말한 관세가 미국 국민한테 세금 인하다 이걸 만약에 소득세 인하까지 이 사람이 생각해서 얘기했다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게 미국 국민들이 내는데 소득세 인하를 해 그럼 당연히 고소득자들의 세금 줄어들죠 근데 관세를 올렸어 그럼 저소득자의 세금은 늘어납니다 미국 국민에 대한 세금 인하다 그건 맞긴 맞아 고소득자들에 대한 세금 인하죠 저소득자들에 대한 세금 인상이고 그런 겁니다x2 나중에 다시 보면 이해가 될 거예요 한마디로 관세는 미국인들의 세금을 감면하고 외국인들이 미국인의 세금을 대신 내주는 게 아니죠 돈을 내는 주체가 미국인들 내에서 주체가 달라졌을 뿐입니다 그래서 어떤 신문 기사 이렇게 썼어요 리빗이 정말로 관세가 미국인들에 대한 세금 감면이라고 믿는다면 그렇게 안 보이던데 정말 그렇게 믿는 건 아니겠지 설마 트럼프도 그렇게 믿는 건 아니겠지 관세를 때려서 저 나라 국민들이 미국을 위해서 세금을 내준다고 생각하진 않겠지 근데 트럼프도 이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살짝 들긴 합니다 설마x2 나중에 트럼프가 아차 우리가 내는 거구나 하고
(21:58) 아니겠지x2 ㅎㅎ 모르겠어요 약간 이상한데 하여튼 문제는 관세정책이 왔다 갔다 해요 왔다 갔다 하니까 불확실성이고 주식은 불확실성을 싫어하잖아요 당연히 주식도 왔다 갔다 합니다 그러니까 미국 원로들도 좀 불안하죠 주식이 또 빠지니까 하필이면 전 미국 재무부 장관 래리 서머스 유명한 아저씨죠 CNN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경기 침체가 이렇게 불확실성이 계속되면 경기 침체가 실제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관세를 매기건 안 매기건 떠나서 불확실성을 없애라 3월에 한다 그랬다가 4월에 한다 그랬다가 안 한다 그랬다가 25%를 했다가 30%를 했다가 봐준다 그랬다가 계속 그러니까 지금 캐나다 하는 것도 계속 왔다 갔다 해요 봐준다 그러고 안 봐준다 그러고 자동차도 그러고 망하게 한다 그러고 갑자기 친구라 그러고 뭔가 좀 확실하게 해야 뭐가 되지 않겠냐 했더니 트럼프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변화와 조정이 있을 거다 더 재밌겠네요 슈카월드는 더 타오를 예정입니다 앞으로 더 많은 변화와 더 많은 조정이 있을 예정입니다 여러분 그래요 재미는 있을 것 같은데
(23:01) 기자가 이렇게 질문했습니다 혹시 2025년도 경기 침체를 예상하십니까? 트럼프가 이렇게 얘기했어요 저는 그런 걸 예측하기 싫어요 그러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모든 일에는 전환기가 있습니다 우리는 대단히 큰 일을 하고 있기 때문이죠 우리는 미국으로 부를 되돌려오고 있습니다 그럼 전환기가 있기 때문에 전환기 동안에 경기가 침체된단 말이냐 그랬더니 이렇게 얘기했어요 그거 누가 알겠어요? 누가 알겠어요? 알아? 너 알아? 모르지? 내가 알아? 모르지? 올지 안 올지 그거 who know? 누가 알겠어? 우리는 모르는 일이야 경기 침체 올지 안 올지 다만 우리는 관세로 수억 달러를 받을 것이고 말하는 거 보니까 이거 외국한테 받는다고 생각하는 것 같네 오 그래 그 돈을 어디에 써야 할지 모를 정도로 부자가 될 것입니다 미국인들은 앞으로 부자 될 거예요 잠깐만 뭐 이상한데? 하여튼 그렇게 얘기했습니다 who know? 뭐 그랬고요 그리고 지난주에 나왔던 거 관세정책으로 인한 약간의 혼란은 발생할 수 있지만 우리는 괜찮다 그 정도 혼란 나스닥 조금 빠진 거 이런 거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마라
(24:05) 이런 거 비슷하고요 그리고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국가경제위원회장 케빈이 이렇게 얘기했어요 이번에 1분기 GDP가 미국 GDP가 마이너스 성장을 할 수 있다는 예측이 애틀랜타 은행인가 나왔잖아요 거기에 대해 물어보니까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무슨 말이냐 앞으로 미국 경제는 매우 강세를 보일 만한 이유가 아주 많아 앞으로 강세가 갈 거야 하지만 아까 전환기라고 그랬죠 이번 1분기 데이터 그거에 약간의 변화가 있어 그럼 1분기는 왜 변화가 있습니까? 왜 안 좋습니까? 그거 바이든 때문이야 바이든이 지난 4년간 개판을 쳐놨기 때문에 이번 1분기 데이터에 그게 그 마이너스가 뜨네 우리 이제 막 받았잖아 1분기는 우리 잘못이 아니라 바이든이 말이야 개판을 쳐놔서 1분기는 조금 어쩔 수 없을 것 같다 하지만 2분기부터는 아마 좋아지지 않을까 생각을 하고요 매우 일시적이다 오랜만에 듣습니다x2 매우 일시적이다 템포러리 할 거다 매우 일시적이다 그리고 이번에 투자가 잘 안 되는데 그거 원래 대선 같은 거에서 큰 성공하면 역사적 경향으로 투자를 잘 안 해 불확실 때문에 나중에 할 거니까
(25:04) 이번 달만 지나면 아마 좋아지지 않을까 그렇죠 바이든 개판쳐가지고 말이야 할아버지가 그게 문제가 아닐까 라고 얘기를 했고요 또 2만을 찍던 나스닥이 18,000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때 리빗한테 물었더니 이렇게 얘기했어 그거 바이든 때문이야 ㅎㅎㅎㅎ 바이든 때문이야 우리는 바이든이 만든 혼란 때문에 현재의 전환기에 있어 아니 개판을 쳤기 때문에 그걸 정상으로 만들다 보니까 전환기에 있고 그래서 지금 빠지고 있는데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물러난 경제적 악몽 economic nightmare가 지금 이 꼴을 만들고 있는 거야 이 문제가 있는 거 아니냐 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때 그 말을 듣고 있던 폭스뉴스의 기자가 이렇게 얘기했죠 혹시 백악관 하는 거 보니까 단체로 숏 친 거 아닙니까? 물어봤어요 너희들 하는 거 보니까 2만에서 아주 다이나믹하게 가던데 이거 누가 숏 치고 이거 하는 거 아니여? 라고 질문을 했더니 혹시 백악관에서 다우 공매도한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확신하십니까? 너희들 공매도 친 거 아니야? 그랬더니 리빗 누나가 웃으면서
(26:01) 에이 설마 그렇지 않을 거예요 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공매도는 안 쳤겠지 공매도는 걱정 없고요 든든하다고 할 수 있고 3월 13일 날 베센트 재무장관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자꾸 주가 얘기를 하니까 우리는 단기 변동이 아닌 경제와 시장의 장기 건전성에 더 집중하고 있다 단기적인 거 얘기하지 마 어디 그런 차트 조금 꺾어진 거 이런 거 무슨 쌍바닥이라는 둥 쌍봉이라는 둥 10% 빠졌다 그런 단기적인 거 국가 경제를 논하는데 지금 그런 거 얘기하게 생겼습니까? 이렇게 얘기했죠 실물 경제를 봐라 차트 이런 거 좀 보지 마 유튜버냐 유튜버 그런 거 좀 보지 마 우리는 그런 3주 3주밖에 안 빠졌어요 이거 10%, 3주 그런 단기적인 거 그런 거 얘기하지 말고 30개월 뭐 이 정도는 돼야지 말이야 큰 거 봐라 큰 거 아마 시간이 지나서 충분히 좋아지면 가격은 반드시 올라갈 것입니다 라고 얘기를 했죠 아 그러니까 실물경제가 시간이 지나서 충분히 돈을 벌면 충분히 올라가지 않을까 시장이 모두 번영할 테니까 기다려라 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27:05) 그래서 우리는 그냥 기다리면 될 것 같아요 아마 기다리면 쫙 올라가는 날이 오지 않을까 금방 올 것 같습니다 생각이 되고요 그리고 트럼프한테도 물어봤습니다 주식시장 빠지는데 대책이 있습니까? 트럼프가 또 이렇게 얘기했어요 아 주식시장은 실제로 있는 마켓이 아니에요 왜 실제로 없는 걸 자꾸 쳐다보면서 그렇게 마음에 걱정을 하나 중국을 봐봐 100년의 계획을 가지고 가잖아 100년의 관점 아유 진짜 이 관점을 길게 봐야지 버드뷰 모릅니까? 버드뷰? 장기적으로 강력한 국가를 건설해야지 그 주식 조금 꼬꾸라지는 거 3주 동안 10%, 20% 빠지는 거 그런 거를 자꾸 신경 쓰고 말이야 길게 보세요 길게 100년의 계획 주식시장에 몰입하지 마 시장이란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하는 겁니다 나라를 재건하는 게 더 중요하지 않겠습니까 rebuild해야죠 strong country 그 오르고 내리고 그 참 답답하네 길게 길게 보면 강력한 메이크 아메리카 그레이트 어게인이 되지 않을까 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이렇게 얘기해서 아무런 걱정이 없긴 한데 제가 살짝 걱정이 드는 건
(28:09) 개인적인 생각인데 미국 주식시장이 2010년 이후로 10년, 15년 넘어간 다음에 쫙 올랐거든요 이게 왜 올라갔냐? 물론 돈도 찍고 양적완화가 되고 돈이 막 넘치고 그래서 그렇긴 한데 결정적인 이유는 제 생각에 미국 기업들이 글로벌 최고 기업이 됐잖아요 다 페이스북 쓰고 다 구글 쓰고 다 아마존 쓰고 다 애플 쓰고 뭐 다 그 M7 거 다 쓰고 MS 거 쓰고 다 쓰고 그러니까 미국 기업들의 시가총액이 그렇게 커질 수 있었다고 생각하거든요 저는 EU에서도 1등 아시아에서도 1등 남미에서도 1등 한마디로 뭐야 EU 시장 아시아 시장 남미 시장을 다 먹었어요 그러니까 그렇게 커질 수 있지 미국 시장만 다 먹어서 그렇게 커질 수 있나 옛날에 미국 1등이었으니까 자유무역이 본격적이 되기 전에 미국 1등이었으니까 시가총액이 작은데 세계 1등이 되면 세계 시장을 다 먹으면 당연히 그 시장의 가치를 미국 기업들이 가져가고 당연히 시가총액이 2천조, 3천조 갈 수 있었죠 그런데 정말로 미국 최우선주의, 미국 고립주의, 세계주의가 아니라 미국 고립주의, 보호무역, 관세무역 해서
(29:08) 시장을 만약에 분리시키면 지금 그 정도는 아닌 것 같지만 시장을 분리시켜서 미국 기업들이 유럽에서 외면 받고 아시아에서 외면 받고 어디서 배척 받고 만약 그렇게 되면 그렇게 안 되겠지만 시장이 분리되면 당연히 시가총액은 하락 할 수밖에 없죠 세계 1등이니까 세계 시장을 다 먹어서 커졌는데 그 나라들이 다 갈기갈기 찢어지면 어떡하나 거기를 같이 가야지 나만 가겠다고 딱 치고 고립주의로 가면 쉽지 않을 것 같은데 물론 여기도 다 똑똑하니까 시장을 분리시키지는 않겠죠 그렇게까지는 안 할 것 같은데 걱정이 되는 건 사실이라고 할 수 있고 그리고 월스트리트저널은 트럼프 침체를 경고했는데 음
(29:49) ... 아직은 모르겠습니다 아직은 이렇게 됐다 주식 좀 빠졌다고 침체를 얘기하기는 아직 한참 남은 것 같고 GDP 성장률이나 그런 거 봐야겠죠 우려가 된다는 거죠 관세 계획 이런 게 너무 흔들리니까 그래서 관세 계획을 보류해라 이렇게 사설로 얘기를 했는데 우려가 되는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요일 미국 시장은 상승세로 마무리했습니다 빠질 것 같은데 좀 올랐죠? 올라고 끝났어요 왜냐하면 여기서부터 다른 얘기인데 미국 정부 셧다운 얘기가 지난주 있었거든요 셧다운 가능성 때문에 내려갔다 얘기한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데 셧다운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금요일 증시가 오른 거 아니냐 그럼 미국 셧다운 가능성은 왜 사라졌냐 요 얘기를 잠깐만 드릴 텐데 트럼프식 해결 방안이 있습니다 이렇게 해결하면 돼요 셧다운이 뭐냐 미국 정부 셧다운은 맨날 얘기하죠 3월 들면 미국 정부 예산안이 항상 매년 이슈가 됩니다 매년 연례 행사예요 매년 정부 셧다운된다 그러고 미국 정부 예산안이 통과가 안 된다 그러고 미국 정부 돈 못 쓴다 그러고 미국 공무원들 월급도 안 준다 그러고 여기저기 셧다운되면서
(30:44) 뭐도 운영이 안 되고x2 그러면 경제가 엄청난 타격을 받고 그런 얘기들 급여도 못 주고 이런 게 맨날 반복이 되는데 그래서 3월 8일 날 미국 공화당이 미국에 임시 예산안을 제시했습니다 공개했어요 통과가 되면 되는데 하원이야 통과가 됐어요 하원이야 미국이 공화당이 다수니까 하원은 통과가 됐는데 문제는 상원은 공화당이 다수이긴 하지만 상원에서는 60표가 필요해요 공화당이 53석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민주당 의원 중에서 7표가 넘어와야 돼 아니면 통과가 안 돼요 예산안이 또 통과가 안 되면 미국 정부 셧다운 얘기가 또 나올 거 아니에요 그래서 통과가 안 될 수도 있다 라는 우려 때문에 주식이 흔들렸다 이런 얘기도 있어요 그리고 실제로 민주당 상원 대표가 척 슈머라는 민주당 상원의원입니다 상원의원 대표예요 민주당이 공화당 예산안의 진행을 막을 수 있다고 얘기를 했어요 그래서 이것 때문에 흔들리는 거 아니냐 이때 트럼프가 뭐라고 얘기했냐 보통 대통령님들이라면 저 상대방 당에 가서 조금 이렇게 어떤 의견을 제시한다든지 우리 편으로 끌어오려고 한다든지
(31:41) 뭔가 당근을 제시하는데 트럼프는 당근을 제시하는 인물이 아닙니다 이렇게 얘기했어요 척 슈머는 팔레스타인인 같은 놈이다 이 사람 보고 팔레스타인인처럼 떼 쓰는 거 아니냐 그런데 척 슈먼은 유대인입니다 ㅎㅎㅎㅎ 웃으면 안 되는데 유대인인데 팔레스타인인이다 잠깐만 지금 유대인인데 왜 그래요? 그랬더니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척 슈머는 네타냐후를 비난한 적이 있어요 네타냐후를 비난했으니까 이스라엘의 대표 네타냐후를 비난한 애는 자랑스러운 하마스 전사 아니냐 라고 비꼰 거죠 방금 얘기드렸듯이 척 슈머는 유대인이고 유대인 중에서도 미국에서 가장 높은 공직을 맡고 있는 유대인의 헤드 같은 사람이에요 근데 왜 나 팔레스타인인? 빠꾸 없는 분이라고 할 수 있고요 트럼프는 확실히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트럼프가 척 슈머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강제 이주 될 소말리아로 보내버려야 된다 이건 또 무슨 얘기냐? 이 가자지구에 있는 팔레스타인 주민들을 강제 이주하려고 지금 미국이 시도하고 있습니다 척 슈머도 같이 보내버려야 된다는 거죠? 웃기긴 한데
(32:46) 지금 현재 가자 주민을 소말리아에 강제 이주하겠다는 게 미국의 계획인데 잠깐만 딴 얘기를 드리면 놀랍게도 사실입니다 지금 현재 미국은 가자지구의 주민들을 강제 이주시킬 대상국과 협상 중이에요 협상 대상으로 알려진 국가들은 수단, 소말리아, 그리고 소말리아 분쟁지역 이런 데가 있습니다 참고로 트럼프는 가자지구 주민들을 아름다운 지역으로 보내주겠다고 얘기를 했거든요 죽음과 공포가 뒤덮인 가자지구를 떠나서 아름다운 지역에 팔레스타인인들을 보내주겠다 거기가 지금 수단이나 소말리아라는 거죠 아름다운 지역 참고로 수단은 현재 내전 국가입니다 1인당 GDP 2,100달러고요 내전이 현재 진행형인 국가고 소말리아는 한술 더 뜨는 국가인데 1991년부터 34년간 내전을 하고 있습니다 요긴 아예 지금 반정부 집단 주둔하고 있어요 나라가 갈라져 있어 아예 소말리아 랜드라고 영화 블랙호크 다운 거기에 보시면 미군 헬기 떨어지는 거 있죠 그게 소말리아 모가디슈에서 일어난 사건입니다 아직도 진행 중이에요 상당히 아름다운 나라들이라고 할 수 있는데 소말리아가 저렇게 내전하는 이유는 북쪽은 영국령이었고요
(33:51) 남쪽은 이탈리아령이었거든요 뭐 이런 이유가 있습니다 이런 어른의 사정이 있기 때문에 여전히 34년간 싸우고 있다 라고 할 수 있는데 그래서 가자지구에 있는 팔레스타인인들이 강제 이주가 될 거냐 될 수도 있을 것 같긴 한데 현재는 이 아름다운 나라들이 미국 요구를 거부하고 있고요 미국이 물론 자유를 보내서 강제로 보낼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 200만 명입니다 200만 명 가자지구에 있는 난민이 200만인데 보낼 수 있을까? 이게 처음에 가자지구 200만 명의 난민들을 강제 이주 협박이 협박 아닌가 했더니 진짜인 것 같아요 백악관은 실제로 자신의 비전을 고수 중이고 보내겠다 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놀랍게도 척 슈머도 보내버리겠다는 거죠 ㅎㅎㅎㅎ 하여튼 자 돌아와서 어쨌건 공화당이 통과를 안 시킬 분위기였는데 결론적으로 통과가 됐어요 왜 통과가 됐냐? 이런 일이 있었습니다 셧다운이 발생하면 책임은 민주당에 있다 라고 트럼프 얘기했죠 그건 당연한데 문제는 고민한 게 뭐냐 민주당 상원의원들이 고민한 게 이겁니다 만약에 셧다운이 돼 그러면 도지가 활개치는 거 아닐까?
(34:54) 셧다운이 돼서 돈을 정부 기관에 있는 직원들이 못 받잖아요 그럼 그 기회를 틈타서 없어도 국가가 돌아가는구만 걔들 잘라 그래 없어도 국가가 돌아가는구만 잘라x3 하는 게 아니냐 이거 셧다운을 핑계로 도지가 일부 기관을 아예 문을 닫아버리는 거 아니냐 안 그래도 보건부 닫고 뭐 닫고 그쵸? 교육부 닫고 뭐 닫고, 닫고 있는데 셧다운이 되면 얘가 다시 문 안 열까 봐 농담이 아니라 실화입니다 민주당 상원의원들이 고민한다는 셧다운이 되면 트럼프와 도지가 더욱 잔혹한 연방정부 감축에 나서는 거 아니냐 이 고민을 하다가 놀랍게도 저 척 슈머라는 민주당 상원의원 대표가 3월 13일 날 충격적인 발표를 하는데 공화당이 내놓은 안건 통과시켜주겠다 정부를 계속 운영하겠다 왜냐? 반대하고 싶은데 내가 반대를 하면 트럼프의 계략에 넘어가는 것 같아 트럼프는 의도적으로 셧다운을 시키고 스테로이드를 꼽은 도지가 탄생할 수 있다 도지가 스테로이드를 꼽은 다음에 저걸로 칼질을 하면 다 날아갈 수 있어서
(35:58) 어쩔 수 없다 이건 통과시킬 수밖에 없다 공화당이 아니지만 라고 얘기를 해서 눈물의 통과를 했다는 겁니다 나를 용서해라 어쩔 수 없었다 이 피해를 최소화했어야 됐다 정부기관이 문을 안 열 수도 있다 연방정부가 셧다운되지 않도록 투표를 하겠다 라고 고개를 숙였고요 트럼프식 해결 방안이죠 거 봐라 되잖아x2 하니까 되네 하니까 되네 거 봐 척 슈머는 옳은 일을 했구만 소말리아 안 가도 되겠네 자 자네는 소말리아는 봐주도록 하겠어 역시 유대인이구만 내가 그만 착각을 해서 팔레스타인인이라고 했는데 큰 용기를 낸 자네 칭찬하네 하고 실제로 통과가 됐습니다 물론 민주당 하원의원들은 극대노했죠 하원의원들은 우리들은 통과시켜 보냈는데 위에서 그거 하면 나는 뭐가 되냐 아니 우리는 통과했는데 상원의원들이 저딴 소리하면 나는 바보잖아 나는 뭐가 되냐 그래서 실제로 민주당 하원 대표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마틴 루터 킹은 남들과 상관없이 항상 옳은 일을 했다 그런 위협에 굴하면 어떡하냐
(37:02) 우리 민주당 하원의원은 항상 옳은 일을 할 것이다 상원은 안 옳다는 말입니까? 척 슈머는 배신자란 말입니까? 그랬더니 Next question이라고 얘기를 됐고요 다음 질문하세요 라고 넘어갔다는 그런 게 있습니다 놀랍게도 트럼프가 무슨 마법을 부렸는지 모르겠지만 공화당이 분열되는 게 아니라 민주당이 분열이 되는 게 지금 미국의 현실이라고 하고요 이야, 스테로이드를 꼽은 도지 엄청나구만 미국 상원의원들이 한 큐에 나가 떨어지면서 이야... 분열됐죠 도지 한방에 지금 민주당이 분열되고 있다고 합니다 러시아는 이렇게 얘기했대요 미국이 정상화되고 있다 오래 살고 봐야 돼 미국이 정상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럼프형. 우리는 좀 봐줘. (1) | 2025.04.15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쌉니다 기획재정마트 (0) | 2025.04.14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울라리는 듬직하기라도 했지 (1) | 2025.04.08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몽구스의 힘 (0) | 2025.04.06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나는 공산당이 싫어요 (1)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