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요약:
2025년 현재 독감이 심각하게 유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포인트:
1. 독감 환자가 4주 전보다 13.7배 증가했으며, 외래 환자 10명 중 1명이 독감 증세를 보임
2. 코로나19 기간 동안의 강력한 방역으로 인해 집단 면역이 약화되어 현재 수십 년 만의 최대 규모 독감 유행 발생
3. 7-18세 청소년층이 가장 많이 감염되고 있으며, 이는 집단생활 때문
4. 두 가지 유형의 독감이 동시 유행 중이라 한번 걸린 후에도 재감염 가능
5. 일본도 1999년 이후 최고 수준의 독감 유행을 겪고 있으며, 중국도 호흡기 질환이 급증
6. 미국에서는 최초로 조류독감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바이러스의 변이 가능성에 대한 우려 제기
English Summary:
In 2025, there's a severe flu outbreak with these key points:
1. Flu cases increased 13.7x in four weeks, with 1 in 10 outpatients showing flu symptoms
2. Weakened herd immunity due to strict COVID-19 prevention measures has led to the largest flu outbreak in decades
3. Highest infection rates among 7-18 year olds due to group activities
4. Two different flu strains are circulating simultaneously, making reinfection possible
5. Japan is experiencing its worst flu outbreak since 1999, while China reports surge in respiratory illnesses
6. The US reported its first human death from bird flu, raising concerns about possible virus mutations
Both summaries highlight the global nature of the current flu crisis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vaccination and preventive measures, especially before the Lunar New Year holiday.
환자 14배 증가, 더 강력해진 독감 유행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J9WClxV7DKI
Transcript:
(00:07) 오늘의 가장 중요한 주제일 수 있습니다 바로 이번 주제는 이겁니다 조심하십시오 독감 조심하세요 걸려보면 압니다 걸려보면 진짜 살려달라는 말이 저절로 나올 정도로 독감이 센데요 제가 이걸 어떻게 하냐 일단 1번 걸려봤었고요 2번 사무실 문을 열고 여러분 안녕하세요 들어오는데 갑자기 저기서 어허허 안..녕하세..요! 저쪽에서 어허...! 대표님.. 안녕핫..세요.. 그리고 제 옆에 앉으셔도 어허허...! 이러고 있어요 동시에 3, 4명이 갔어 한 명은 병가를 냈어요 이거 뭐야? 왜 이렇게 독감이 유행이지? 그리고 다급하게 뉴스를 검색해보니까 KBS에 이렇게 뉴스가 떴습니다 독감이 4주 전보다 13.
(00:45) 7배가 급증했다 이거는 독감 경보 아닌가? 독감에 대해서 얘기를 들을 텐데 혹시라도 아니 그거 다 큰 놈이 감기 좀 참지 말이야 독감과 감기는 다릅니다 감기는 적당히 진통제 먹고 참을 수도 있죠 타이레놀 먹고 참을 수 있어 독감은 참으면 죽을 수도 있습니다 농담이 아니라 죽을 수 있어요 이거 참으면 안 돼 참으면 안 돼 무조건 병원 가야 됩니다 감기랑은 달라요 바이러스 자체가 다르대 의사 선생님들이 감기 바이러스는 여러 가지 바이러스들에 감염되는데 리노바이러스 또는 아데노바이러스 이런 걸로 걸리는 거고 계절 구분 없이 걸리죠 컨디션 좀 안 좋으면 가장 많이 감기 걸릴 때는 일교차가 큰 날 봄 가을 환절기 이럴 때 많이 걸리는 게 감기고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겁니다 아예 달라요 아예 독한 감기가 아니야 이름을 기가 막히게 독감으로 지어서 독한 감기라고 지었는데 증상이 독한 감기지 다른 병입니다 A형, B형, C형이 있고 잘 아시죠? 엄청나게 심한 발열, 40도 넘어갑니다 그리고 왠지 죽을 것 같은 통증 온몸이 걸려보시지 말아요 어, 뭐지? 이거 못 움직이겠다
(01:48) 이런 게 있어요 등 통증, 다리 통증, 온몸이 부서질 것 같은 느낌 이게 독감이에요 그리고 주로 가을과 겨울에 유행되고 감기는 막 그렇게 대량 확산 이런 게 잘 안 되는데 물론 있긴 하지만 짧은 기간에 많은 사람들한테 대량으로 전염되는 게 독감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독감은 결론적으로 예방 접종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백신 이거 맞으면 70에서 90% 예방 효과 납니다 무조건 맞으셔야 되고요 그리고 죽을 수도 있어요 독감 걸리면 죽을 수도 있고 누가 맞아야 되냐 50세 이상은 예방 접종 권고고요 18세 이하 청소년도 예방 접종이 권장됩니다 넘거나 아래면은 다 맞으셔야 되고요 제가 옛날에 참아봤거든요 진짜 농담이 아니라 참아봤어요 왜냐면 독감인지 몰랐어 독감인지 모르고 감기인 줄 알고 한 이틀에서 3일을 참아봤는데 도저히 안 되겠어 도저히 안 돼가지고 병원에 갔더니 코에다가 이거 이거 이거 하시더니 두 줄입니다 그래서 두 줄? 뭔 두 줄이지 그렇게 하면 무슨 독감이라고 그때 뭐 C형이었나 기억도 안 나네 무슨 독감이여서 두 줄 나와서 약을 먹었는데
(02:48) 야 진짜 기술이 대단해 약을 먹고 놀랍게도 병원 문 앞을 나가고 걸어가는 와중에 몸이 약간 괜찮아지고 있는 그런 느낌 물론 기분 탓이긴 하지만 반나절도 안 돼서 살 것 같다 병원에 가십시오 반드시 진짜 아파요 진짜 아파요 병원에 가야 되고 자, 그럼 독감 얘길 다시 돌아오면 질병관리청은 이미 12월 19일에 독감 유행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인플루엔자 유행주의보 환자가 늘어날 수 있다 지금 얼마나 늘어났냐? 이런 상황입니다 99.8 그러니까 1000명 중에 100명이 독감 환자예요 지금 외래 환자 기준으로 외래 환자 10명 중 1명이 지금 인플루엔자 감염 증세 독감 감염 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게 얼마나 크게 늘어난 거냐? 과거 동기간과 비교했을 때 우리가 과거에 23년, 24년 평상시에 독감 유행하잖아요 그때에 비해서도 2배의 유행률입니다 어? 2021년, 2021년이 뭔가요? 이때는 걸린 사람이 거의 없네 거의 없죠 왜? 안 나갔어 마스크 쓰고 다니고 손 다 소독제 하고 비대면 하고 위력이 대단하긴 해 거의 안 걸려
(03:50) 이때 걸리신 분은 여름에 감기 걸리신 것과 비슷하게 운이 조금 없었던 분이고 거의 안 걸려 하지만 딱 풀리니까 늘어나기 시작했는데 2025년은 차원이 다른 유행이 지금 독감 유행이 덮치고 있다고 할 수 있고 이게 얼마나 심한 유행이냐면 현대적인 독감유행 감시 체계를 구축한 이래 최고 수준의 유행입니다 예년과 달라요 또 호들갑 떤다 아니요 호들갑이 아니에요 지금 우리가 이 호흡기 표본 감시 체제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구축한 게 2016년입니다 거의 10년 내 최고 수준이에요 제가 봤을 때 아마 수십 년 내 최고 수준일 겁니다 왜냐하면 옆 나라가 그렇거든요 옆 나라 얘기도 드릴 거예요 지금 몇십 년 내 최고 수준의 독감이 돌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과거 사례를 보면 1월 달이 지날 즈음에 유행의 정점이 지났는데 이때가 언제냐? 설입니다 갔다 오시면 또 갈 수 있어요 그러니까 2월로 지나가면은 어느 정도 유행이 정점이 지나겠지만 하여튼 지금은 엄청난 독감의 유행이 펼쳐지고 있다고 보면 되고요 누가 많이 걸리냐? 가장 많이 걸리는 나이대는 7에서 18세 사이입니다
(04:52) 청소년이 가장 많이 걸려요 아이나 어른일 것 같죠? 아니에요 청소년이 가장 많이 걸려 왜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걸릴까? 7세에서 18세 이유는 뭘까요? 간단합니다 이유는 몸이 건강하지 않아서? 애들이 면역력이 약해서? 걔들 우리보다 건강하죠? 건강해 우리보다 건강해 걔들 산 올라갈 때 속도 보면 다람쥐야 다람쥐 웬만한 병을 씹어 먹는 정도의 체력이 있죠 18세, 17세 고등학생들이 뭘 걸려 근데 저렇게 많이 걸리는 건? 집단 생활을 해요 그래서 이 아이들은 독감 예방 접종을 권장합니다 집단 생활을 해 가면 20명, 30명씩 모이잖아 이게 집단 생활이에요 그래서 여러분들도 집단 생활을 하는 회사원분들은 독감 예방 접종을 맞으셔야 됩니다 한 사무실에 30명이 모여 앉아서 투닥투닥 한다 그러면 맞으세요 100명이 모여서 뭐 한다 그러면 맞아야 돼요 그래서 여기가 독감 예방 접종이 권장되는 시기고요 7에서 12세 초등학생들 난리 났습니다 아주 12월 첫 주차 대비해서 10배가 늘었어요 독감 환자 비율이에요 그 아저씨는 난리 났다 이거 진짜 난리인데
(05:54) 제가 알고 있습니다 왜 진짜 난리냐 몸이 찌뿌둥해서 옆에 있는 소아과 가봤거든요 혹시 독감일까봐 야 못 들어갔어 우와 1시간 반에서 2시간을 기다렸어요 소아과, 이비인후과 개인적으로 들어가다가 흠칫했어요 내가 안 걸렸다면 저기 들어감으로써 내가 걸리는 게 아닐까? 일단 독감 환자들이 가득 차 있잖아 그 문을 호달달 호달달하고 잠깐 열었다가 한 40명 계시니까 안녕히계세요 나도 모르게 야 이거는 아니야 아니야 아닌 거 같아 문을 이렇게 살포시 닫게 되는데 진짜 장난 아니에요 환자분들이 엄청 많이 있다고 할 수 있고요 그리고 독감 예방 접종을 꼭 해야 되는 고위험군이 있습니다 누구냐 65세 이상 노인 말할 필요 없죠 어르신들이 위험합니다 뭐 합병증 폐렴으로 발전되고 이러면 진짜 위험해요 그리고 어르신들은 사실은 잘 맞으셔 본인들이 아셔 잘 챙겨 맞는데 다행이고요 그리고 생후 6개월 59개월 소아 여기서 또 엄마 아빠가 잘 챙겨 열 나면은 얼마나 걱정이 돼요
(06:58) 애 열 막 38-40도 넘어가면 응급실 가기 때문에 65세 이상 그리고 60개월 이하 5살 이하 소아는 당연히 맞죠 임신부와 만성질환자는 말할 필요 없고 근데 이걸 왜 갖고 왔냐? 놀랍게도 50에서 64세가 고위험군 우선 접종이에요 뭐야? 50에서 64세면 그렇게 어르신도 아니고 건강하신데? 건강해 근데 저기는 왜 우선 접종을 하라고 얘기를 하냐? 안 맞으셔요 안 맞아요 우리 형들 특징이야 제 주변 형들이 다 50대거든요 우리 형들 끝내줘 어쩜 그렇게 건강에 대한 자신감이 높은지 여기는 걸린다고 64세 어르신처럼 위험하진 않은데 만성질환 가능성이 있는 나이예요 하지만 나는 만성질환자라고 잘 생각을 안 해 아직은 건강해 아직은 저 어르신들은 나는 만성질환일 것 같아 하고 미리 대비를 하는데 이 정도면 되지 않나? 그리고 잘 맞으러 안 가 터프해 이게 그래요 나 아직 건강해 한창이야 감기 정도 참을 수 있지 이래서 일반 접종을 잘 안 하셔 그래서 맞이라고 많이 해요 그래서 그래서 50대도 우선 접종을 해야 되는게 만성 질환 가능성은 있는데
(08:01) 몸이 예전 같지 않은데 본인은 예전 같다고 생각하고 사실 40대도 비슷합니다 40대 중반 넘어가면 잘 안 맞아요 자 이게 자신이 있거든 약간 30대 같기도 하고 정도면은 뭐 왜 우리 흔히 사우나 한 다음에 거울 보면 이거 한번 해보고 옛날하고 비슷한데 어 등 괜찮냐 이걸 하기 때문에 약간 처진 거 같긴 한데 뭐 이 정도면 됐지 뭐 약간 이런 나이 때 이런 나이대여서 너무 안 맞아서 이쪽은 좀 맞으시는게 맞으시는게 옛날 같지 않다 보면 옛날 같지 않아요 만성질환 가서 있기 때문에 퍼져가지고 정말 폐렴 이런 거 가면 맞으셔라라는 거고요 그리고 올해 독감 특징이 있습니다 두 개의 유형이 동시에 유행 중이래요 이게 무슨 말이에요? 한 번 걸렸어도 또 걸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원래 한 번 걸리면 면역력이 생기잖아 거기에 대해서 뭐 일정 기간 동안 근데 이번엔 두 개가 유행이야 나 한번 죽을 거 같아 어 살았다 이제 안 걸리겠죠 뭐야 이거 뭐야 이거 형이 두 개가 있어 이거 아주 독한 baby들 독한 놈들이야, 독한 놈들 한 번만 오지 말이야 한 놈이 오더니, 그놈 동생이 와
(09:00) 뭐 깐데 똑 까는 것도 아니고 또 와서 그래서 예방 접종을 맞으면 두 개가 동시에 동시에 될 수 있으니까 걸렸다고 방치하면 안 돼 걸려도 맞아야 됩니다 걸려도 두 번 걸리면 정말 뒤로 넘어졌는데 코가 깨질 수가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되는 그런 상황이라고 할 수 있고요 자, 그러면 올해 갑자기 왜 이렇게 수십 년 만에 최고의 독감 유행이 왔냐 사실은 이유가 이거래요 코로나 이후에 강력한 방역을 해서 그렇다 무슨 소리에요? 방역하면 안 와야죠 방역을 강력하게 해서 집단의 면역력이 떨어졌다 우리 정재훈 교수님에 따르면 이렇게 얘기하셨어 인플루엔자 같은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병은 반복적으로 감염되면서 인구집단의 면역수준이 유지 돼 그러니까 걸렸다 안 걸렸다 하면서 전체 면역수준이 어느정도 유지 돼 걸려서 이기죠? 걸려서 이기는데 지난 우리 몇 년간 코로나 때문에 손 씻고 마스크하고 안 나가고 이러면서 감염병 유행이 별로 없었어요 4년 만에 처음 얘기하는 겁니다 이런 유행 얘기를 없었어! 그러니까 무슨 소리예요? 인구집단의 면역수준이 내려갔다 아까 보여드렸던 차트를 보여드리면
(10:01) 2021년에서 2022년에 인플루엔자 감염이 없었어요 거의 이때 걸려 갖고 많은 사람들이 걸리고 낫고 걸리고 낫고 하면서 면역력이 돼야 되는데 이때 안 걸린 게 한번에 언제 오는 거예요? 이때 이만큼 비웠던 게 빈 거 기다렸다가 요 위에 이렇게 쌓이는 거죠 똑같은 걸로 쌓여 갖고 지금 집단 면역이 감소해서 옛날에 안 했던 게 다시 무슨 소포도 아니고 다시 돌아오네 택배처럼 다시 온 게 2025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교수님에 따르면 이렇게 앞으로 최소 2주 동안 높은 수준의 환자가 예상되고 기존하고 다르다는 거죠 이번 절기는 지난 10년 사이에 가장 큰 규모의 유행이 예상된다 유행 정점 구간에 가장 높은 데 지금 도달하고 있다고 보여지지만 앞으로 2주간에도 방심하면 안 되는 겁니다 과거랑 다르게 더 높은 수준의 환자 발생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집단 면역이 약해져 있으면 독감만 약해져 있는 게 아니죠 무슨 말입니까? 호흡기 질환은 독감만 있는 게 아니에요 우리는 증세가 비슷해서 다 감기 독감을 생각하지만 바이러스 별로 되게 다양하게 있다고 합니다
(11:04) 의사 선생님이 그래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이건 뭐야 HRSV?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HMPV 뭐야 이거 대충 걸리면 독감스러운 것들 근데 바이러스랑 다르대요 그다음에 사람 코로나 바이러스 이거 코비드 19하고 좀 다르지만 코로나 유형의 바이러스 요것들도 다 같이 증가하고 있다 한마디로 독감만 유행이 아니야 다 유행이야 혹시라도 궁금하실까봐 여기 위에 있는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이거는 애들이 많이 걸리는 거 애들이 감기 아니면 고열로 응급실 가고 할 때 발열 기침 콧물 6개월 미만 영아는 밖에 나가면 안 되죠 지금 고위험군이라고 할 수 있고 감기랑 유사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냥 감기라고 생각을 하는 거라고 하고요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이건 뭐냐 지금 옆나라 중국이 이걸로 난린데 독감과 증세는 거의 비슷하대요 그래서 우리도 지금 비상입니다 중국에서 뭐가 넘어올까 봐 국내에는 아직은? 5.
(11:55) 3%래요 외래로 들어온 환자들 중에 5%가 저걸로 오는데 아직은 평년보다 크진 않지만 비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눈여겨보고 있는 바이러스라고 합니다 그리고 우린 몰랐지만 얼마 전까지 10월, 11월 그때 쯤에 우리나라를 최근 몇 년보다 훨씬 높은 폐렴이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갔다고 합니다 주변에 폐렴 환자가 굉장히 늘었을 수 있어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이러는데 우린 몰랐지만 폐렴이 또 한 차례 휩쓸고 지나갔고요 그래서 질병관리청장님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감염증의 복합유행 소위 말해 멀티 유행을 조심해야 된다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호흡기 세포융합 바이러스 사람메타뉴모 바이러스 이런 감염증도 동시에 증가할 수 있고요 게다가 올해 1월 말에 뭐가 있습니까? 설 연휴가 있어요 설 연휴가 있어 다 같이 집단생활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거든요 이때가 잘못하면 이때가 진짜 피크를 칠 수도 있는 마스크를 쓰던지 그때 전에 예방 접종을 꼭 맞고 가시는 거를 권장드리고요 그래서 지금이 어떤 때냐 경기도는 얼마 전에 마스크 착용을 아예 권고했습니다 65세 이상과 어린이는 인플루엔자
(12:57) 백신 접종을 권고했고요 서울시는 지금 마스크 자율 착용 캠페인을 하고 있어요 설 명절까지 1월 말까지 2주간 마스크 자율 착용하자 자 그리고 제가 지금까지 우리나라 얘기를 드렸는데 잘 생각해보면 코로나로 인한 집단 면역이 약해졌어 근데 그건 우리나라만의 문제가 아닐 거 아니에요? 전 세계적으로 다 코로나 왔는데 다 마스크 쓰고 다 비대면 하고 똑같지 않냐? 맞습니다 그래서 지금의 독감 유행은 우리나라의 문제가 아니에요 글로벌의 문제입니다 예를 들면 방금 말씀드렸지만 소독제, 마스크 한국만 하는 게 아니죠 집단 면역이 떨어져 있는 거 우리 옆 나라 일본은 현재 독감이 1999년 집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사실상 집계 이후 최고니까 그 전에는 모르는 거야 거의 수십 년 내에 최고 역사상 최고치의 독감이 일본을 강타하고 있어요 우리나라보다 더 심해 지금 상황이 일본의 독감 환자 수의 차트를 보면 와아아 이겁니다 올라가는데 얘네들은 1, 2월에 많이 걸리는데 이미 12월에 뚫었어 그러면 1, 2월에 어디까지 갈 거냐
(14:01) 뭐 이 정도까지 예상되잖아요 대충 여기 가장 높으니까 이렇게 내려올 텐데 이게 천장을 뚫는 거죠 일본의 독감 경보 기준은 의료기관 한 곳당 독감 환자 수인데 30이랍니다 지금 이미 64야 얘네도 이제 여기 어디 쯤 왔으니까 여기로 갈 텐데 2월까지는 뭐 비상 중의 비상이라고 할 수 있고, 일본의 숫자를 보면 얘네는 인구가 많잖아요 12월에 한 주 동안 일주일에 5천 곳의 병원을 조사했더니 31만 7,800명의 환자가 나왔다 그럼 전국에 있는 병원에 대입했더니 일주일에 확진자가 250만 명을 넘었다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일주일에 독감 환자가 250만 명이 등장해 와
(14:38) ...ㅎㅎㅎ 한 달에 천만 명씩 걸려, 천만 명씩 일본 전역이 일본 나라 전체가 콜록이고 있습니다 에헥헥헥 하면서 10주 연속 독감 환자가 증가 중에 있고요 일본에 사시는 분들은 알겠지만 1,800개의 학교가 전면 휴교 중이라고 합니다 독감 때문에 아까 LA는 산불나서 일본은 독감 때문에 전국 초등학교 1,200개 중학교 300개 고등학교 130개 1,838개 학교가 전면 휴교에 들어갔고요 심지어 일본 보건부에서는 이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진료소와 약국들은 독감약을 과도하게 주문하지 말아달라 최소한으로 주문해달라 독감약 왜냐? 품귀현상이 일어나고 있어요 수요가 너무 많아서 사방에서 약 주문이 오니까 제약사들이 약의 재고가 없어 그래서 주문을 해도 제품 배송이 안 돼요 독감약 품귀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독감약을 과도하게 주문하거나 사재기하지 얘기하지 말아달라 이게 일본 보건부 장관의 오피셜 언사라고 할 수 있고 실제로 일본에 보면 타미플루 아 이거 먹으면 저도 이거 먹었어요 타미플루 복제약 먹었는데 독감 걸리면 저거 먹으면 기가 막혀 기가 막혀
(15:40) 야 현대약이 좋아 저도 나중에 가서 뭐 먹었는지 봤더니 타미플루 복제약이던데 이걸 먹으면 독감이 확 낫는 그런 느낌이 있는데 일본 독감약의 25%를 차지하는 오셀타미비르 복제약입니다, 복제약 현재 출하가 중단됐대 너무 많은 사람들이 이걸 찾으니까 생산량을 풀로 돌려도 안 되기 때문에 지금 주문 받은 것만 해도 공급이 안 되는 거죠 현재 수요를 따라잡을 수 없을 정도로 일본에서 독감이 퍼지고 있고요 중국은 어떻게 돼 있냐? 중국은 잘 모릅니다 왜냐하면 공식 발표를 잘 안 해 그리고 발표한 걸 어디까지 믿을 수 있는지를 헷갈리는 나라여서 공식 발표라기보다는 나오는 뉴스들에 따르면 중국도 대유행하겠지, 안 보더라도 아까 얘기했던 메타뉴모바이러스가 지금 엄청난 유행을 하고 있대요 창궐하고 있다 이런 표현을 쓰고 있는데 우리가 알 길은 없으니까 소셜미디어 같은 데 나오면 이렇게 나오고 있답니다 호흡기 질환 환자가 중국 병원에 뒤덮여서 누워있는 영상들이 지금 넘치게 확산되고 있는데 만원이다 중국병원들이 만원이고 심지어 화장터도 만원이고 독감, HMPV, 폐렴
(16:42) 지금 뭐 때문에 정확한 숫자는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 어쨌건 만원이라고 할 수 있고 중국외교부 대변인한테 물어봤습니다 일본이 저렇게 수십년만에 독감으로 날리고 한국도 날리는데 중국은 어떻습니까 큰일 나지 않습니까 그랬더니 중국외교부 대변인이 어 그거는 한국과 일본의 문제죠 중국은 작년에 비해서 덜 심각하대요 더 작은 규모로 확산되고 있는 걸로 보이고 중국으로의 여행은 안전하다 우리집 안전합니다 안전한답니다 중국에 가도 안전하지만 중국 여행 가실 분들은 마스크하고 예방 접종 꼭 맞고 가시길 기대하고요 안전하다고 하시지만 우리집 안전해요 우리집 안전하다고 할 수 있고요 못된 서구 언론들은 루머를 퍼트리고 있어요 무슨 루머냐 혹시 쟤네 내부적으로 비상사태 아니냐? 라는 루머 제가 보면 루머인 것 같은데 공식 확인은 되지 않고 있다 너무 많이 걸려서 중국은 아까 말했지만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확대되고 있지만 새로운 바이러스는 아니니까 걱정할 건 없다 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서구 언론들이 자꾸 물어보는 거예요 혹시 새로운 거
(17:45) 새로운 거 아니야? 니들 독감 아니라며 혹시 코로'니' 바이러스? 아니야? 아니라고? 그래, 아니면 할 수 없지 하지만 새로운 거 아니야? 자꾸 물어보니까 새로운 거 아니야! 새로운 거 아니라는 건데 이것들이 말이야 옛날에도 다 있던 거 HMPV 저거니까 아무 걱정할 거 없습니다 라고 얘기하고 있고요 하지만 불안하게시리 뉴욕타임스에는 지금 중국은 원인 불명의 폐렴에 대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왜 그걸 모니터링까지 해야 되지? 잘해라, 잘할 수 있지? 잘해 실험실이 여러 사례를 보고하고 통제하는 절차 원인 불명의 폐렴이 왜 실험실에서 나오냐? 뭐 잘해, 이거 그거 아니지? 래버토리에서 이렇게 나와서 이렇게 되면 안 된다? 안 돼 안 돼 지금 마스크 벗은 지 언제 됐는데 안 되니까 잘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중국 뭔가 심상치 않아 보여서 조금 위험하지 않습니까? 라고 세계보건기구 WHO에 물어봤더니 어허! 아니요 전혀 위험하지 않습니다 어 노노노 우려를 표명하냐 에헤이 우리는 중국 보건당국과
(18:48) 실시간을 하고 있는데 특이한 거 없어요 다 옛날에 있던 거야 그리고 별로.. 괜찮대잖아(?) 걱정할 거 없다라고 발표했으니까 뭐 아무 걱정할게 없지 않을까? 자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자 그리고 미국은 요것도 굉장히 크게 났어요 미국 독감 엄청 많이 걸렸습니다 독감이 엄청 문제인데 독감보다 더 큰 뉴스가 하나 있어 그건 뭐냐? 새로운 문제가 발생했어요 옛날에 한 번 슈카월드에 나왔었는데 미국에서는 조류독감으로 인한 사망자가 최초로 보고 됐습니다 지난번에 슈카월드에서는 조류독감에 걸렸어 그래서 나았어 하지만 인간이 조류독감에 걸려서 두렵다 이거였는데 이번에는 사망자가 발생했어요 미국 질병통제 센터가 공식 확인한 내용입니다 CDC가 확인을 했는데 조류독감은 영어로는 AI입니다 잘 아시죠? 영어로는 AB형 인플루엔자니까 에비앙이네 에비앙 그 생수 아니고요 AI입니다 닭, 오리, 야생조류 이런 데서 걸리는 조류독감 걸리면 막 닭들 폐사시키고 그러잖아 요런 바이러스인데 인간한테 걸리긴 해요 인간이 대상은 아닌데 걸리면 대단히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19:51) 인간은 새 시체를 만지거나 새 배설물에 닿거나 이랬을 때 걸립니다 이번에 미국에서 발생된 사망자는 미국 내 최초 사망자고 뒷마당에서 야생 조류에 노출된 이후에 사망했다고 해요 65세 이상의 기저질환도 있었다고 합니다 근데 이번 사망자를 보면 미국은 그때도 말씀드렸지만 조류독감이 인간 감염이 처음은 아닙니다 조류독감의 인간 감염이 이번에 처음은 아니에요 무려 66건이 보고됐어 그런데 이번에 사망자가 처음 발생한 거야 세계적으로는 조류독감 걸렸다는 사례가 950건이 보고되고 있어요 그 중 약 절반이 사망했습니다 그러니까 사망률이 50%냐? 그건 아니야 왜냐하면 안 보고된 환자가 많아 죽을 것 같이 아픈 사람들만 보고했어 그래서 그 중에 절반이 사망한 거고 그렇지 않고 많은 사람들은 뭔지 모르고 지나갔던지 적당히 아프니까 그냥 약 먹고 참았던지 그런 사례입니다 그러니까 사망률이 엄청나게 높은 건 맞는데 50%는 아니고 어? 그래도 상당히 높은 퍼센트로 위험하다는 얘기를 하고 있고 CNN은 이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만약에 인류에게 퍼진다면 가장 끔찍한 형태의 바이러스가 될 수 있다
(20:55) 이거 바이러스 연구 과학자 분이 아래 인터뷰한 건데 우리는 이 바이러스의 변화를 25년 동안 연구해왔는데 내가 본 바이러스 중에 가장 끔찍한 바이러스다 바이러스가 사망자를 일으켰다는 건 놀라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아직은 괜찮아 사망자가 나왔는데 왜 괜찮습니까?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염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뒷마당에 나가서 야생조류하고 닿았다며 동물에서 사람 사이의 전염이잖아 그러면 어쩌다가 운 없는 사람은 걸리지만 사람 간에 사람에 걸리는 게 아니니까 팬데믹으로 갈 가능성은 없잖아 그래서 아직은 다행이다라고 얘기를 했죠 방금 말씀드렸듯이 조류독감은 주로 새의 배설물, 사체 아니면 소 소가 걸린대요 소가 거기 있는 풀 먹던지 할 때 배설물을 먹던지 닿는 다음에 소가 걸려서 소를 통해서 인간에게 전염되는 경우가 많은데 휴먼 대 휴먼이 있으면 안 돼 이게 있으면 헬이 될 수 있죠 그런데 다른 내용이잖아요 이번에 이 주제를 갖고 온 이유가 미국 질병센터가 이번 사망자가 발생하니까 바이러스를 분석한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이런 내용을 얘기했어
(21:58) 자기들이 바이러스를 분석해 보니까 어떤 새에 있는 바이러스 일종의 종류야 근데 놀랍게도 새에 있는 바이러스와 이 사망자 사이에 있는 바이러스가 비슷한 종인데 달랐다 A' 였어요 그게 무슨 소리냐 이 환자의 몸에서 이 바이러스가 어떤 변화가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 돌연변이가 있다는 거죠 사람 몸에 들어와서 이 바이러스가 사람 몸에서 복제를 하잖아요 복제를 하면서 어떤 변화를 했어 야 이거 무시무시한 소리네 어떤 변화를 했어 이거 미국 질병센터 얘기한 거야 질병센터가 어떤 변화를 했어 이 변화의 결과 휴먼 대 휴먼 밀접 접촉자에게는 확산할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가서 있어요 보고서 있습니다 가서 보세요 이번 유전적 분석 결과 이 조류독감은 인간의 상부기도에 있는 세포에 부착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부기도, 호흡기 호흡기에 가서 붙을 수 있는 능력을 가질 수 있게 됐대 있을 수 있대 그런데 그렇게 되면 거기에 붙은 다음에 으흐, 으흐 하면 나가잖아 그럼 저 사람이 그 비말을 맞으면 저 사람도 걸리죠
(23:00) 인간에게 더 쉽게 전염될 수 있는 일종의 돌연변이의 징후로 볼 수 있다 물론 징후로 볼 수 있다는 거지 아직 그렇게 돌연변이가 퍼졌다는 건 아니야 대유행 직전은 아닌데 조심해야 된다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정말로 만약에 돌연변이래서 실제 휴먼 투 휴먼으로 갈 수 있는 이런 변화가 올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되고 아직은 조류도감의 발병과 관련된 위험이 굉장히 크게 높아졌다거나 그건 아니지만 하여튼 조심해서 봐야 된다 라고 이렇게 지병관리본부가 발표했습니다 조심해서 봐야 하는데 지금 위험하지는 않아 약간 이런 거죠 그랬더니 CNN에서는 이렇게 얘기했어요 저걸 들었던 과학자들이 질병관리센터 행태는 모래 속에 머리를 묻는 것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누가 보더라도 조류독감의 인간감염 숫자가 급속도로 커지고 있다 2024년에만 65건 나왔다며 이게 옛날엔 이렇게 안 많았어 근데 굉장히 늘어나고 있거든요 소한테서도 지난 3월에 처음 발견됐는데 지금은 16개 주의 소에서 동시적으로 발병이 생기고 있어 그럼 뭔가 변화가 있는게 확실한데 자기들이 보기엔 이거 머리 박고 있는 거 아니냐
(24:03) 하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소들 사이에 퍼지는 걸 보니까 포유류 사이에서도 조심해야 될 수 있고 우리는 코로나19의 교훈을 잊지 말아야 된다 조심해야 된다 하는 의미심장한 아 그럴 일은 없겠지만 아마 그럴 일은 없겠지만 저는 의미심장한 얘기를 했죠 그래서 옛날에 보여드렸지만 AI의 습격 그렇죠 뭐 이런 게 예상이 될 수도 있고요 이런 게 예상이 되니까 바로 오른 게 있었으니 역시 인간이죠 백신 기업들의 주가가 크게 올랐습니다 코로나 이후에 또 다시 백신 기업들한테 관심이 가면서 갖고 계신 분도 알 거예요 모더나도 올랐어요 조금 올랐지만 화이자도 조금 올랐어요 관련주도 있어요 관련주도 있는데 쭉쭉쭉쭉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뭐냐 설날이 다가옵니다 설 연휴가 다가오니까 예방 접종을 하고 반드시 마스크를 쓰자라는 예방 접종을 꼭 하시라는 그런 말씀이 되겠습니다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양자컴퓨터 쪽박일까 대박일까 (1) | 2025.01.23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꺼지지 않는 산불 ㅠ (2) | 2025.01.22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사상 최대 무역 (0) | 2025.01.18 |
[요약리뷰] 슈카월드 - 국가 안보를 위하여 (0) | 2025.01.17 |
[요약리뷰] 슈카월드 - AI! CES를 덮치다 (3)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