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Korean)
- **주제**: 최근 미국 금리 정책과 중국 채권 시장의 변화 및 영향
- **미국 금리 정책**: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며, 9월과 11월에 각각 금리 인하가 예상됨. 이는 대선 직전의 정치적 행동으로 비칠 수 있다는 논란이 있음.
- **중국 채권 시장**: 중국의 금리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하락, 이는 미국보다 빠른 속도로 금리가 내려가고 있음. 이는 주식과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으로 인해 채권 시장으로 자금이 몰리고 있기 때문.
- **중국 경제 상황**: 중국 경제는 2023년 1분기 5%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지만, 내수 부진과 부동산 시장의 하락 등으로 인해 투자처가 제한적임. 이에 따라 많은 자금이 채권 시장과 금으로 몰리고 있음.
- **미래 전망과 리스크**: 만약 중국의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시장의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 이는 미국 실리콘 밸리 은행 사태와 유사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음. 따라서 중국 정부는 금리 인상 대신 시장 개입을 통해 금리를 안정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음.
### Summary (English)
- **Topic**: Recent changes in U.S. interest rate policy and Chinese bond market dynamics
- **U.S. Interest Rate Policy**: Jerome Powell, the Federal Reserve Chairman, hinted at potential interest rate cuts, expected in September and November. This has sparked controversy as it coincides with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potentially being seen as a political move.
- **Chinese Bond Market**: China's interest rates have dropped to historic lows, falling faster than the U.S. This is due to instability in the stock and real estate markets, leading to a surge in bond market investments.
- **Chinese Economic Situation**: Despite achieving over 5% growth in Q1 2023, China's economy faces internal challenges such as sluggish domestic consumption and declining real estate markets. Consequently, funds are increasingly flowing into the bond market and gold.
- **Future Outlook and Risks**: If China's interest rates rise, the bond market could face significant losses, potentially triggering a crisis similar to the U.S. Silicon Valley Bank incident. To prevent this, the Chinese government is focusing on stabilizing interest rates through market interventions rather than increasing them.
갈 곳 잃은 차이나머니가 향한 곳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gksub6zMOZ0
Transcript:
(00:00) [음악] 자 첫 번째 유 이런 내용이죠 7월 9일에서 10일 파월 아저씨가 우리 파월 형이 미국 상원하원 청문회를 진행했습니다이 사실상 금리인하에 관한 질문들을 의원들이 하겠죠 상반기 통화 정책을 보고하고 하반기 어떻게 진행하겠다는 국회에 보고하 그런 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나온 내용들을 조금만 살펴보면은 요런 내용이 있죠 요새 물가가 좀 내 같지 않았냐 이제 기준금리 할 때 다 되지 않았냐 요런 얘기가 설설 나오는데 미국 같은 경우에 물가가 지금 3.3% 내려왔습니다 목표가 2% 그 아직도 3% 위긴 하지만 어쨌건 추세가 이제 물가가 내려오고 있다는 거죠 그리고 결정적으로 mom이라고 불리는 전월 대비 인플레이션 아까 그건 yy이고 전년 대비 전월 대비 인플레이션은 -0.
(00:59) 1 떨어졌어요 항상 전대비 물가가 플스 였는데 전월 대비 드디어 이게 몇 년 만입니다 거의 거의 한 3 4년 만에 전 대비 물가가 떨어졌습니다 오 전월 대비 물가가 떨어졌단 말이야 계속 이렇게 떨어지면 물가가 굉장히 낮게 나온다는 말이니까 굉장히 놀라운 소식이라고 할 수 있고 특히 1년 전과 또 다르게 미국의 그 뜨겁던 고용 시장도 이제는 조금 식어가는게 아니냐라는 말이 나오고 있어요 고용 지표도 한 20만 넘으면 되게 뜨겁고 이게 논파 페이롤이 아고 비농업 고용기 표요 미국에서 고용 그 달에 얼마 한 달에 얼마가 됐냐 20만 너무 뜨겁다 얘기를 하는데 드디어 20만 아래로 살짝 내려오고 있습니다 실업률은 반대로 살짝 올라가고 있죠 4% 아지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 외에서 파월이 고용 시장이 이제는 이자처럼 뜨겁지 않다라고 발표를 했고 그 말인 즉은 여러분들이 기대하시는 사실상 금리인하를 예고했다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죠 미 연주자 파월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미국은 이제 더 이상 과열된 경제가 아니다 너무 늦거나 너무 약한 금리 인하는 경기와 고용을
(02:04) 악화시킬 것이다 한마디로 금리 인하를 너무 늦거나 너무 약하게 하지 않겠다라는 말이죠 그럼 너무 늦게 하지 않는게 언제냐 사실상 하겠다고 얘기한 거하고 비슷하기 때문에 언제 금리 인하를 하겠다는 말이냐 시장은 9월에 금리 인하를 몇 퍼센트로 예상하고 있냐 지금 현재 저 의외 증언 이후로 95% 지켰습니다이 정도 어 거의 사실상 100% 100% 파월이 이번에 의외 나와서 청문회에서 얘기하는 거 보니까 야 이거는 이날 안 할 수가 없다 9월 금리나 간스 95% 지켰어요 25bp 인하가 88% 50bp 평상시에 두 배 두 배 속도 인하가 6.3% 합치면 95% 그러니까 거의 90% 이상은 25bp 이나를 기정 사실화하고 있다라고 보시면 되고 동결 가능성은 5% 5.
(02:59) 6% 거의 뭐 이나가 이제 눈에 보이는 거죠 게다가 이번에 파워 아저씨가 워낙 세게 얘기했기 때문에 연내 인하 회수도 두 번 이상이 89% 지켰습니다 3회에는 44% 2회는 89% 그니까 무조건 두 번 한다는 거죠 근데 지금 두 번 하려 그러면 9월에 한 다음에는 11월이라 소리거든요 그니까 9월 11월 이나를 두 번 한다가 지금 확률 89% men 시장은 거의 확신을 하는 거죠이 정도면 90% 확률로이나 두 번을 확신하고 있다라고 보시면 됩니다 자 그럼 제가 지금까지 말했을 때 뭔가 느낌이 좀 꼬로 하신 분들이 계실 거예요 눈치 좀 빠르신 분들은 뭐가 문제냐 잠깐만 인화를 언제 한다고 9월 그리고 11월인데 아니 9월에 인하 하면은 누가 보더라도 이거는 미국 대통령 선거 이전 마지막 씨인데 그때 하면 어떻해 아니 11월에 하면은 대선 이거든요 지금까지 1년 넘게 기다려 놓고 그 두 달을 못 버텨서 9월에인할 이유가 있냐 두 달만 있다 해 아니왜 굳이 거기서 당겨서 인화를 해 실제로
(04:04) 의회에서 파월이 총분해 할 때 공화당 소수의 의원 마이클 러라 그러는데 마카 씨가 이렇게 물어봤어요 굳이 그때 할 이유가 뭐냐 이거 대선 직전 9월에 인하하는 거 경기를 부하라는 정치적 행동 폴리티컬 액션 아니냐 이거 어떻게 생각하냐라고 파워한 물어봤습니다 물론 파월은 이전에 공화 당원이었던 가 들었구나 그런 거 아니야 연주는 그저 데이터 그저 데이터 그냥 마음속에 데이터 밖에 없어요 데이터와 향후 전망 리스크 이런 거를 고려해서 결정을 내리지 뭐 11월에 대선이 뭐 10월에 뭐네 이런 정치적 요사는 절대 고려하지 않는다라고 강하게 부인을 하셨죠 물론 저도 거의 그렇게 생각하는데 문제는 호사가들의 입장에서는 날짜가 날짜가 아까 말씀드렸지만 1년 2개월간 나를 안 하고 버텼거든요 근데 그 두 달을 못 기다리고 9월에 하네 아니 11월 5일이 대선이 11월 6일이 그 다음 날이 11월
(05:08) FMC 그럼 11월 FMC 하면은 대선 다음 날이니까 아무런 구설수가 안 나오는데 그걸 굳이 9월에 해서 여기서 한다 했다는 거죠 9월에 그 미국 대선 영향을 미친다 말이 나오게 하냐 아 두 달 아 두 달겠다 그동안 이거 쭉 동결해 놓고 이제 와서 그러냐는 말이 이제 안 나올 수 없는 그런 묘한 일정이 앞에 있습니다 게다가 올해 2월에이 트럼프 전 대통령이 나름 기동찬 예언을 했었습니다 무슨 예언을 했냐 2월에 기자 회견 할 때 이렇게 얘기했어요 분명히 파월은 민주당을 도우려고 할 것이다 어떻게 하십니까 그랬더니 아마 금리나 같은 거 하려고 할 거야 어 아마 선거 쯤해서 기가 막히게 예언 보소 물론 이거는 이제 아마 고할 거 같은데 금리 나면은 뭐 민장 도와주는게 아 이런 뜻이겠지만 아마 아마 금리나 같은 거 하려고 할까라고 얘기를 했고 그렇기 때문에 나는 바울을 재인 명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얘기를 했는데 실제로 9월에 와 보니까 뭐 어쨌건 우리는 데이터 데이터 데이터와 경제적 관점 뭐 이런 거에서 폴리티컬 한 거 전혀 없지만
(06: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간 그 약간 의심을 조금은 받을 수 있는 이제 그런 미묘한 시기에 이제 금리 나가 좀 시작된다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그리고 사실상 금리 나가 뭐 90% 이상의 확률로 예상이 되기 때문에 미국 채권 수익률은 당연히 급락합니다 금리를 를 낮춘다는 거니까 채권 수익률도 당연히 내려가죠 그래서 나름 고공행진하던 채권 수익률이 뚝 떨었어요 10p 정도 뚝 떨었는데 물론 피가 엄청 큰 건 아니지 0.1%이 정도면 최근 3개월내 최저치를 찍고 있고 아마 이제 금리 이날를 진짜 할 거 같으니까 또 막 두 번 이상할 것 같으니까 채권의 수요가 좀 붙으면서 채권 금리가 좀 떨어졌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래 미국 채권 시장이 나름 뜨거워요 특히 장기물 같은 경우에 어 한두 번 인하하는 걸로 움직이지 않을 것 같은데 두 번 정도 나하고도 도비시 얘기를 더 할까 봐 이제 움찔움찔 하고 있는데 자 여기까지 이제 우리가 다 아는 내용이고 오늘의 주제로 들어가면 그런데 미국보다 채권 시이 더 뜨거운 나라가 있습니다 미국보다 더 채권에 돈이 몰리는 나라가 있다
(07:13) 그게 어디냐 금리가 더 빨리 빠져 미쳤어요 그게 놀랍게도 어떻게 알았지 중국입니다 요씨 집단지성 대단한데 이거 어떻게 알았어요 채권인 저도 잘 살펴보자 않는 모르는데 잠깐만이 어 어떻게 알았지 어 대단해요 집단지성은 무시하면 안 돼요 와 진 대단한데 최근에 중국의 금리 시장은 거의 일방적인 속도로 내려가고 있습니다 지금 중국이 10년 금리거리 금리가 10년 금리가 3% 넘어요 그 대한민국보다 금리가 더 빨리 내려가고 있고 당연히 미국보다는 더 낮고 현대 중국 금리 역사상 역대 최저 금리입니다 이거 뭐 보이지도 않죠 여기서 이게 얼마야 4.5% 하생게 엊그제 같은데 % 때 있다가 지금 2% 초반까지 완전히 수직으로 쫙 내려가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방금 말씀드렸지만 지금 중국의 금리 수준은 대한민국보다 낮아요 대한민국이 1년짜리 3.2% 중국은 1.
(08:14) 5입니다 대한민국이 10년짜리 3% 초반이에요 3.1 중국은 2% 초반이야 그런데 이게 보통 채권 금리라는게 그 나라의 성장률과 대단히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왜냐면은 예를 들면 성장이 3% 하는 나라에서는 채권금리 가 보통 3% 언저리로 가요 이제 그 정도의 성장을 하니까 채권 금리도 보통 그거보다 높으면 채권의 수요가 더 많을 테고 그거보다 낮으면 누가 채권을 삽니까라는 걸 많이 하는데 대한민국 성장률은 1.4% 대한민국 채권이 3.2% 중국 성장률은 믿거나 말거나지만 2023년에 5% 성장했어 그니까 나라에 어디다 돈을 넣어도 대충 5% 오른다는 말과 비슷하거든요 근데 채권 금리가 2% 어떻게 이걸 누가 사라고 생각할 수 있죠 채권을 좀 많은 분들은 아니 나라가 5% 성장하는데 그 2% 금리 주는 예금에 누가 들어갑니까 뭘 해도 5% 오르는데 2.
(09:14) 26 준다 그러면 어떡해 게다가 10년 동안이라고 생각할 수 있어 성장률의 1 정도밖에 안 되는 거예요 이거를 도대체 누가 사냐 왜 그럴까 일단 혹시라도 여러분들이 오해하실까 봐 이렇게까지 알 필요 없지만 중국의 43 기준금리 3.5% 대한민국 비슷합니다 근데 1년 국채 금리는 지금 1.5로 대한민국의 반도 안 되는 거예요 자 그러면 여기까지 기본적인 사치 알고 왜 그럴까 왜 성장이 5% 하는 나라인데 2% 준다는이 채권에 왜 이렇게 돈이 몰려요 2%짜리 예금의 돈이 뭘 대한민국 5% 성장할 때 2% 쳐다도 안 봤어요 대한민국 5% 언제야 1990년 대잖아 이때 우리나라 채권금리 7% 88% 10% 있어서 회 10% 2% 이게 이게 뭐야 이거는 거의 수시 입출구 금리지표 하는데 원래 그런데 중국은 왜 그러냐 자 5% 성장하면 돈을 어디에 들어가야 됩니까 보통은 당연히 가장 뜨거운 거 성장에 그렇게 많이 하니까 주식이든 당연히 성장률이 엄청
(10:19) 뜨거우니까 기업도 성장을 많이 하고 국가 성장을 많이 하니까 주식시장에 돈이 몰려요 왜냐면 주식시장이 최소 10% 올려야 되잖아 기업이 그렇게 성장을 하는데라고 생각을 하고 보니까 어 여러분 너무나 잘하시지만 중국 주가 지수가 연초 이후 1% 안 올랐어요 어 중국 상해 지수에 되면 코스피는 선녀 코스피가 7% 올랐거든요 7% 올랐다고 코리아 디스카운트고에 거품을 불고 얘기하는데 여기는 1년에 0.66% 올랐어 주식의 리스크를 감안하고 들어갔는데 1% 안 올랐단 말이야 어 그니까 주식 아야 느끼가 야 이게 주식의 느끼가 최근에 또 중국이 워낙 이러다 보니까 주식의 느끼가 그렇고 야 주식시장은 아닌 거 같아 그리고 중국이 통일하면서 이제 불바다 론을 얘기했죠 우리 중국이나 북한이나 되게 불바다를 좋아하시는 경향이 있는데 파이어워크 이걸 좋아하시는데 불바다로 만들겠다고 얘기를 했는데 그 대만 가권 지수는 올해만 [음악]
(11:28) 올해구매예정인 고 tsmc 시가총액이 우리가 높았던 때가 있거든요 거의 비슷하게 불과 몇 년 전에 지금 1300조 자 그러면 알겠어 알겠어 주식은 좀 안 좋으니까 중국이 주식은 안 좋으니까 그럼 어딜로 가요 돈이 보통 저렇게 성장을 많이 할 때 주식 시장이 원래 가야 되는데 이좀 고름에 그래서 딴데로 가야 돼 그래서 보통 많이 가는게 대한민국 예를 들면 당연히 부동산입니다 최근에 중국 부동산이 어때요 바로 이렇게 생겼습니다 최근이에요 최근 이거 5월이 5월 최신 지표입니다 최신 지표 중국 신규 주택 가격 Yi 값인데어야 이거로 3.9% 4% 빠 4% 근데 느낌이 아 약간 언젠가 또 주제가 될 거 같아요 곧 주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느낌이 약간 그렇단 말이야 마 돈는 중국의 돈이 부동산으로 가긴 좀 그래 지금 이때 누가이 떨어지는 칼러를 잡으려고 하겠어 지어 부동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12:32) 부동산에 있던 돈이 나오는 중이야 쿨럭 쿨럭 쿨럭 하면서 도망쳐 나오고 있다고 나오니까 저런 모습을 보이잖아요 그럼 그 돈이 갈 때가 있어야 되는데 야 주식은 아닌 거 같고 부동산은 9년 만에 최대 폭 하락입니다 지난 5월이 9년 반만에 최고 빠른 속도로 이제 하락을 하고 있는데 여깁니다 여기 뚝 떨어진 거죠 -0.6% 한 달에 빠진 거니까 쫙쫙 쫙쫙 빠지고 있다고 보면 되는데 일로 들어 수가 있는 상황이 아니죠 야 그러면 야 그러면 중국이 드디어 좀 부동산도 어렵고 주식도 어렵고 야 이거 보니까 야 중국 성장률 큰일 났구나 야씨 어떡하냐 2024년 1분기 중국의 성장률은 이코노미스트들이 4.
(13:17) 6% 전망했는데 5.3% 지켰어요 야 호이네 이정도 그냥 호황도 아니야 초호황이네 야 이미스 전망보다 0.7% 포인트면 약 좀만더 하면 거의 1% 더 성장했네 우리는 뭐 수출 그렇게 잘됐다고 올린게 0.4% 포인트 올렸거든요 1년에 야 얘네는 뭐 별고 없는데도 5%대 성장 1분기에 그냥 찍었습니다 훨씬 돌았다 아니 근데 주식 그 모양이고 부동산은 박살 하는데 뭐 내수도 별로 안 좋다 그러고 뭐야 어떻게 성장을 많이 했어 중국 정보 발표에 따르면 하이테크 제조업의 성장이 예상보다 강했다 수출 제조업 전기차 태양광 배터리 등등등등 마디를 말해서 한국이 좋은 것과 비슷하게 일본도 좋죠 수출이 그리고 마찬가지로 중국도 즘에 위아나 중국의 원화 위하나 약세 한국 일본 똑같이 중국도 수출이 좋았다는 거죠 제조업 투자도 99.
(14:14) 9% 증가했다 물론 이거 대부분 국경 기업이 하기 때문에 경기가 안 좋으니까 국경 기업이 돈을 풀었다고 볼 수 있고 수출이 좋았다 그 마린 잭슨 아 이거 대한민국에서 많이 보던 건데 수출은 좋았고 가게는 좋지 않았다 국가는 잘 나갔는데 네가 못 나갔다는 거죠 다가 게다가 중국 가게 자산의 70% 부동산에 묶여 있다 자네들 우리랑 비슷하네 야 야 이거 형제의 나라가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이나 잠깐만 자네들도 우리랑 뭐 거의 야 야야 내 몰랐어 몰랐어 아 그랬어 야 뭐 뭐 거의 뭐 똑같네 부동산 투자는 감소했는데 그니까 내 수는 한마디로 엘렐레 했는데 수출이 좋았다는 거죠 자영업으로 돈이 돌지도 않고 자영업자 돈이 필요하지도 않고 뭐 그런 상황이 한데 어 부동산에 묶여서 어 자네들도 그 뭐 청춘거리 이런데 망이 있겠네 그죠 어 하여튼 무슨 말인지 알겠 무슨 말인지 정확히 알겠 설명을 굳이 안 해도 알 수 있다 자 그러다 보니까 수출은 좋았는데 가격 좋지 않았다는 거고
(15:17) 그리고 물론 일부 서구에 그 되먹지 못한 경제학자들이 이런 의심을 제기하기 해요 뭐 제기하 중국의 분기별 성장률이 지나치게 일관적인 아니냐 그럴 수도 있지 야 그럴 수도 있지 야 이게 이런 이런 못돼먹은 것들이 남의 나라 공식 지표를 갖고 말이야 아이 뭐이 정도 5% 정도 하니까 우리 그럴 수 있지 이걸도 또 태크를 걸어 아 테크를 거는 놈들이 있어 테크를 거는 놈들이 있는데 그런 또 이런 되먹지 못한 생각을 하고 있고요 왜냐면 얘들이 이렇게 얘기해요 수출이 어 그렇게 좋은데 주가 지수가 이렇게 안 좋고이 말이 되냐이 사실 안 좋은 거 아니냐 상해 주가지수 이거 뭐 1년 동안 오은 것도 없다 출이 좋은데요 주식이 안 올라게 말이 되냐 말이 되죠 확실히 말이 됩니다 확실히 말이 돼 자 조작 아니야 코스피 조작 아니라 조작 아니야 말이 돼 그럴 수 있어 그럴 수 있어 아 나 그놈들이 그 의심이 많아서 그래 의심이 수출이 좋아도 지수가 좀 나중에 올라 좀 이따 그게 건너뛰어서 올라요 1년 뒤에 오르고 6개월 뒤에
(16:20) 오르고 그래 지금 그래서 우리 코스피 천장에 가는 거 아니에요 제가이 말했더니 막 1% 빠지길래 조금 뜨끔 했는데 야 그금 이렇게 많이 빠져 약간 뜨끔했습니다 보면서 오 야 2% 가까지 내려갈 때 뭐야 야 그주 슈카월드 주제가 3천 가나요 했는데 2% -60 포인트만 이렇게 내려가면서 어 어 막 이렇게 보고 있었는데 어 막판에 반등했습니다 막판에 조금 반등 있기 때문에 자 그리고이 차트를 잘 보시는 분 알겠지만은 상해 종합 지수와 코스피 결정적인 차이가 뭐냐 상해는 보시면 알겠지만 연초 중반까지는 우리랑 대단히 비슷하게 갔어요 하지만 5월 6월부터 뭐가 달라 였습니까 렇게 보시면 상에는 이렇게 대한민국은 요렇게 요거를 전문용어로 디커플링 디커플링 여기까지는 커플이었지만 여기까지는 우리 오빠였지만 그다음부터는 남의 오빠일 수도 있죠 아 뭐 만나다 보면 그 디커플링이 딱 된 모습이 이제 그대로 보이기 때문에 어 앞으로는 서로 뭐
(17:24) 갈길이 다르지 않을까 뭐 나중에 서로 좋은 모습으로 만나면 되니까 딱 디커플링 되면서 이제 가 > 올라가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뭐 주가지수가 꼭 안 올라가는게 성장하고 관계가 없을 수도 있다 뭐 이렇게 생각을 하고 그러면 중국인들 입장에서 여러분들이라면 주식도 좋지 않아 부동산도 좋지 않아 내수로 뭐 가게 하려니까 내수도 안 돼 오피스 사서 투자 이런 것도 안 돼 안 들어와 내수가 안 되니까 누가 해 예금 하러 가니까 금리도 엄청 나자 그럼 뭘 해야 됩니까 성장은 높아 돈을 들고 있으면 돈이 녹아 그 돈이 녹는다는 말이에요 성장률 놓고 무가가 높다는 거는 가만히 들고 있으면은 5% 날라가 아이스크림처럼 녹아요 그럼 뭐를 사야 됩니까 중국 입장에서 우와 정답 금을 사고 있어요 금을 아니 뭘 뭘 사야 돼 이게 현금을 들고 있으면 안 되잖아요 대한민국 사람들이 하면 너무 잘 알아 우리는 현금을 들고 있으면은 돈이 지난 10년 20년간 녹았어 근데 코스피에 들어가려니까 아 안 오르는 건 아닌데 좀 들 올랐죠 좀 들어 오르고 이것들이 자꾸 내 뒤통수
(18:28) 쳐 먹고 아니 조금 잘 안 오르는 종목들이 있으니까 막 요즘에 이제 해외주식 사고 하는데 막 부동산에도 많이 가고 했듯이 중국도이 뭐 갈 데가 없는 돈이 갈 데가 없고 현금을 들고 있으면 안 돼서 내일이 없다는 듯이 금을 사드리고 있다 금 가격이 지금 미쳤습니다 역대 최고가 예전에 하는이 여기 어디서 금 샀다가 아 해서 욕 엄청 먹었다가 해서 요즘엔 이렇게 있습니다 요즘에 오히려 금 더 안 삽니까 이런 말 듣고 있어요 요즘에 어 뭐 그렇죠 그래서 세상에 모르는 겁니다 세상 모르는 건데 금 가격이 지금 역대의 최고가 뭐 2천부를 그냥 뚫었고 중국 청년들 사이에서 요즘에 인기가 있는게 뭐냐 바로 빈 골드라고 하는데 우리말로 하면 콩알 그 모입니다 콩알 금 조그만 거 돈 생길 때마다 금붙이 사는 거 조그맣게 콩알 금이라고 여러분들도 이커머스가 처보면 있어요 처보면 있는데 제가 분명히 말씀드리지만 그 대한민국에서 저 콩알 그 모으면 부과 가치세 10% 10% 올라도 본전이 10% 올라도 본전이고 어 대한민국에서도 금 투자하는 방법 제가 옛날에 말해 드렸지만 우리나라
(19:31) 세해 주는 거 거래수 통한 금 투자가 가능하기 때문에 근로 하는게 훨씬 유리한데 중국에서 이제 그런게 안 되다 보니까 콩알 금을 모으고 있습니다 금 콩을 공격적으로 매매한다 중국 청년들을 금 콩알을 모으는데 어 쇼핑이 아닌 투자력 기고 있다 에헤 한국 거래서 와서 사 기 거기 우리 우리 세금 깎아 주는데 세금 깎아 주는데 아하 참 그거를 모르고 중국분들이 금을 워낙 좋아하죠 이런 말이 있대요 번창할 때는 제이드 옥을 사고 어려울 때는 금을 사라 있답니다 그런 중국 말이 저도 처음 들었는데 중국은 지금 주식도 부동산도 어렵기 때문에 이제 금으로 돈이 모이기 있고 현금을 들고 있기 싫은 거죠 돈은 어디지 가야 된다 자 그래서 이제 개인들도 그렇고 많은 투자자들이 금으로 많이 간다는 건데 하지만 금을 못 사는 그룹도 있습니다 어딜까요 금융 기관들은로는 해결이 안 돼요 금 이자가 안 나오잖아 얘네들은 대출해주고 매대 마진으로 먹고 사는데 이자가 안 나오는 금을 계다가 금이 그 정도 규모가 되지도 않고 뭐 금은
(20:35) 뭐 몇 천억 몇 조든 되는데 중국의 운행대수 아져 들어오는 돈을 감당할 정도의 사이즈도 안 되죠 그리고 이자도 없어 보관율 오히려 돼야 돼 그렇다고 대출 하려고 그러면 내수부진으로 대출도 잘 안 돼요 투자처를 이른 돈은 은행으로 들어옵니다이 돈은 어떻게 해야 될까 중국의 은행들로 들어온 돈 물론 미국 상품 많이 사고하면 되겠지만 많이 되겠지만 그러부터 달러 위험도 있고 중국에 있는 돈을 다 해외로 가져가면 어떻해 그게 안 되기 때문에 중국의 은행들은 요즘에 중국 국채시장 차이니스 거버먼트 폰스 그러니까 중국 국고채 시장으로 이제 몰리고 있는 겁니다이 돈이 오니까 마치 개인들이 금 콩을 사듯이 많은 중국 지방은행 특히 지방은행들이 중국 국채 투자할 데가 없잖아 이걸 뭐 예금을 할 데가 없으니까 회사체 사기도 어려워요 요즘에 내수가 안 좋은데 중국 기업들이 좋을 리가 없죠 수출 기업들 몇개는 채권 발행주 자를 안 해요 양도 적기 때문에 할 수가 없어 그러니까 안전한 곳으로 몰리다 보니까 특히 요즘 중국 부동산이 위험해 보이고 뭔가 조금이라 리스크 있
(21:36) 투자하기 싫으니까 몰리고 몰리고 몰려서 중국의 국채 금리 가격과 반대니까 금리가 엄청나게 내리고 있는 그런 일이 펼쳐지는 겁니다 중국의 금리가 내려가면 반대로 미국과의 금리 차이가 발생합니다 미국 금리는 그대로인데 중국 금리가 내려가면 양국가간에 국채 금리 차이가 발생하죠 차이가 커지면 당연히 환율이 약해져요 예를 들면 우리나라 금리 내려가고 미국 금리가 올라가면은 금리차이 벌어지니까 환율 차에 벌어지죠 똑같이 위 하나도 약해져 그러면 한마디로 지금 현재 중국의 모습이나 뭐 우리도 비슷한데 강대한 어떤 미국의 파워 미국의 금리에 그대로 밀리면서 갈 곳 없는 놈들이 채권시장으로 가고 금리차가 벌어지고 환율이 날아가고 내수는 굿바이 마이 프렌드 하고 대신에 수출기업들은 어머 환율이 싸네 하고 잘되는 요상이 3개국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는 그런 모습 을 보이고 있다는 거죠 특히 중국은 자본 시장이 또 다쳐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나 일본처럼 대놓고 뭐 미국 쪽으로 갈 수도 없고 상반기에만 중국 지방은행들이 사드린 중국 정부의 국채 채권이 290조
(22:43) 원으로 얘기되고 있어요 엄청나게 큰 시장이죠 얘네도 뭐 상반게 290조 채권 시장에 있어 보면 알겠지만 말도 안 되는 돈입니다 전년 동기대비 60% 막 채권시장에 몰리고 있는데 자 그러면 오늘의 주제가 나옵니다 금리가 이렇게 빠지고 성 얘네는 5% 찍고 있어요 여깁니다 성장률이 그랬는데 앞으로 전망이 어렵고 뭐가 어렵고 해서 채권 시작으로 몰리면서 돈이 확 몰리니까 금리가 확 내려가요 여기에 돈이 막 몰리고 있어 그런데 리스크가 뭐겠습니까 리스크가이 상황에서 리스크가 뭐가 있을거예요 저렇게 엄청난 돈이 막 상반기만 290조 넘는 돈 채권 장에 몰렸는데 만약에 금리가 오르면 엄청나게 많은 돈이 착 샀다는 말과 똑같아 금리가 오른다는 말은 채권 가격이 떨어진다는 말인데 원래 이렇게 갭이 벌어질 수가 없죠 얘는 미래를 나름대로 전망한 겁니다 성장률이 내려올 거라고 전망을 한 거예요 그러니까 이걸 사지 우리나라 골로 갈 거야라고 생각하고 상고하고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앞으로 중국 경제가 안 좋을 거야 배팅한 돈이라고 보면 돼요
(23:46) 자기 나름대로도 그렇게 생각하는 거지 야 우리 안 좋을 거 같다 근데 만약에 성장률이 안 내려와 그리고 알고 보니까 진짜 찐찐찐 5% 그럼 이거 누가 사 여기 들어가 거 이만큼 다 손 실하고 보면 돼요 그때부터는 국가가 날라가는데 그 금리가 오릅니다 채권 가격이 떨어져요 그러면 어떤 현상이 펼쳐질까 이게 무슨 말이냐면 좀 말이 어렵지만 지금은 향후 중국 경기가 나빠지고 디플레이션이 올 것 같다 의료로 너도나도 채권을 산 겁니다 일본을 보고 대한민국을 보니까이 나라들은 앞으로 다 이렇 터만 일본을 봐라 제로 금리 가더라 우리도 그렇게 갈 거다라고 생각하고 미리 전망을 하니까 성장률이 5%인데 2% 리 국채를 사는 거 앞으로 얘도 일로 간다는 전망을 하는 거지 그런데 만에 하나 그렇게 많은 돈이 일로 갔는데 금리가 오르면 어떤 일이 펼쳐지 채권 가격을 높은게 왕창 샀는데 채권 가격이 떨어진다는 말과 똑같습니다 반해 하나 채권 가격이 박살이 나면 어떻게 되냐 에이 지금 상황에서 금리가 오를 일이 있겠습니까 중국이라는 말을 불과 얼마 전에
(24:49) 미국도 그 얘기했었습니다 미국도 지금 상황에서 금리가 오를 일이 뭐가 있겠어라고 생각을 해서 미국 지방은행 아 축카드 한번 나왔죠 sv 라고 불리는요 실리콘 밸리 은행이 미국 채권을 국채를 엄청 담았어요 엄청 그랬다가 왜 망했으니까 옛날가 파생 상품 담았다가 망한게 아니에 위험한 거 샀다 망한게 아니라 미국 채권 금리는 오를 일이 별로 없어라고 채권 금리 내려갈 때 샀다가 미국 채권 금리가 급반등했다 그러니까 폭망했던 가격과 반대죠 한마디로 삼성전자 10만 원에 샀다가 5만 원 거고 똑같이 미국 채권 10만 원에 샀는데 미국 채권이 5만 원 된 거예 엄청나게 많은 돈을 미국 채권을 샀기 때문에 이때 실리콘 밸리 은행이 박살이 나고 이때 막 굉장히 은행이 어렵고 뱅크로 날 거 같으니까 바이든 등장해서이 여기 들어간 돈을 모두 보장해 줬죠 은행에 돈을 넣은 기업들을 살렸는데 중국이라고 이제 그런 일이 펼쳐지지 않을까 금리가 이렇게 급하게 빠졌는데 중국의 공식 경제 성장률은 아직도 어쨌건 5% 이상입니다 중국의 10년 금리가 2% 이렇게 갭이 많이 나는
(25:50) 거는 어 사실 중국에 대해서 자기들 본인들도 뭔가 두 개 중에 하나죠 정말 무라다 또는 우리 오 아니야 우리 최소 4나 3이야이 정도면은 거의 3%고 예상을 해야 돼 3% 자기네들 공식 경제 성장률은 그렇지만 뭐가 안 좋다라고 생각을 하는 건데 어 만약에 금리가 오르게 되면은 굉장히 어려움을 겪을 수 있죠 자 그래서 서구의 몹쓸 놈들은 이런 소리를 합니다 경기가 중국이 만약에 다시 살아나면 호황이 되면은 금리가 올라서 너네 중소 은행들 다 죽어 그러니까 경기를 안 살리면 되는 거 아니냐 돼 있거든 아 그래 그니까 중국에 경기가 살란 나면은 이제 금리가 오르니까 경기를 안 살리면 금리가 계속 났잖아요 그러면은 살 수 있다는 거죠 야 이걸 말이라고서 봤는데 야 그걸 말이라고 해 그 경기를 안 살리면 되는 거 아니냐 경기가 살아나면 너네 최소 4,000개 중소 지역 은행들이 엄청 샀다 그 은행들 담아가는 거 볼래 실리콘 밸리 은행은 하나라 살려줄 수 있었지 4,000개를 뭔수로 살려 못
(26:53) 살려 그냥 같이 죽으라 뭐 하고 경기를 안 살리면 되는 거 아니냐 놀라운 해법이 한데 어 그러니까 채권 내려가는 걸 샀으니까 지금 성장률이 여긴데 성장률을 더 좋게 하면은 애들이 박살 나죠 좋게 하지 말고 같이 성장률을 낮추면 서로 행복하다는 소리를 하는 건데 야 이거는 서구 놈들의 상상이지 야 그렇다고 경제 성장률을 낮추면 어떡해 되도 왔는 소리죠 저만 그런게 아니라 인민 은행도 발끈했습니다 그 되도 앉는 소리 하고 있네 그렇다고 성장률을 뭐 그러는게 말도 안 되니까 채권 시장의 과외를 막아야 된다 지금 막아야 돼 4월부터 경고를 막 보내 있요 채권 시장 붕괴될 수 있다 왜냐면 자기들의 보기에 우리 경제 성장률 5% 지금 2% 초반이 금리가 말이 안 된다는 거죠 여기 어디가 성장률인 이렇게 되거나 최소한 이렇게 가야지 일방적으로 빠지는 거 이거 너무 빠르다 한국이나 일본에서 자기들의 미래를 봤다고 하지만 너무 빠를 수 있다 이거는 붕괴될 수 있다라고 얘기를 하고 실제로 중국 인민은 총재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실리콘 밸리 은행을 직접적으로 언급을 했어요
(27:56) 미국은행 svv 은행이 금 올라서 멸망했다 우리라고 그렇지 말라는 법 없다 우리는 그러면 안 되고 실리콘 밸리 은행과 비슷한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니까 어떻게 해야 됩니까 지금 채권시장 금리가 너무 과일이니 대규모 채권을 보유한 은행들은 금리 리스크에 지금 반드시 신경을 쓰고 실리콘 밸리 같은 그런 사태가 펼쳐지지 않게 주의를 해라 경고를 보내고 실제로 7월 8일 날 중국 인민은행이 이게 몇 년 만입니다 17년 만에 시장 개입할 수 있다라는 선언을 했어요 채권 시장 개입할 수 있 금리 시장 개입할 수 있다 이게 공개 시작 조작이라 그러는데 조작이 안 좋은 뜻으로 조작이 아닙니다 들어갔다 들어갔다는 뜻으로 조작이고 가끔 하는데 선진국에선 가끔 하고 우리나라 공개 시작 조작 많이 하는데 중국은 이런 거 잘 안 하는데 레포 민 영포 이거 아실 필요 없고요 자금을 넣다 했다는 겁니다 중국 인민은행이 자금 조절하는 방식으로 금리를 뭔가 살살살살 위로 올리 적으로 건들 수 있다는 거죠 내가 개입할 수 있다 미리 조심해라 여기서 더 내리지 마
(28:55) 이거 과열이 과열일까 이제 는 겁니다 어 그래서 뭐 채권 시장이 급속히 과열됐다고 얘기를 하는 건데 신중한 관찰과 평가 이후 내려질거다 개인적인 생각으론 그냥 성장률을 좀 이렇게 내리는 것도 남에 다라 이렇게 낫지만 뭐 어 뭐냥 어렵지 않게 하려면은 그렇죠 뭐 채권이 미리 갔으니까 성장률이 이렇게 따라 볼게 만들겠네요 둘 다 적당히 조절하면서 한 3% 4% 에서서 이제 만나면 좋지 않을까 자 이런 생각을 합니다 물론 가장 좋은 해결법은 일본도 그렇고 중국도 그렇고 뭘 하면 됩니까 그래 그러면 금리를 올리면 되죠 어 인위적인 조작만으로 금리가 내려가는 거 채권시장 과외를 못 막어 그럼 금리를 올리면 되는데 그럼 일본도 금리를 올리면 엔저 없잖아 앵고 되잖아 금리를 올리면 되네 쉽네 그럼 올릴 수 있냐 올릴 수 있냐 어 올릴 수 있냐 금리를 올릴 수 있냐 아까 잠깐 보여드렸던 차트 어디 갔죠
(29:58) 아 여기 있네요 예 우리 그 금리를 올릴 수 있냐 요게 중국 부동산 가격 차트인데요 yy 부동산입니다 5월 신규 주택 가격 금리를 올릴 수 있냐 금리를 어 주택 담보 대출 금리를 올릴 수 있냐 우리나라를 생각하면 똑같아요 부동산 가격이 저렇게 빠지고 있는데 금리를 올릴 수 있냐라는 거는 얼핏 생각해도 아 쉬운 방법이 왜 잘 안 되는구나라는 거는 굉장히 쉽게 할 수 있는 이제 그런 상황이라고 중국의 고민인 거죠이 상황이니까 금리를 못 올리는데 금리를 못 올리니까 한쪽으로 그냥 쏠리는게 일본도 그렇고 중국도 그렇고 펼쳐지고 있다고 보면 되고 그래서 재밌는 건 제 이거 보고 한참 웃었는데 중국 트레이더들이 그 채권 트레이더 채권 운영력을 이런 고민을 한다 그럽니다 야 우리 옛날에 3% 4% 하던게 순식간에 2% 왔어요지 비세 속도로 내려가고 있어 이렇게 하다가 금리가 0% 내려가면 나는 뭘 먹고 사냐 금리가 0% 가면은 원래 이게 다 가격입니다 채권 트레이드 입장에서는 가격인데 가격 변동이 있어요 먹고 사는데 야이 금리가 0% 가면은 안 움직일 거 아니야 그럼
(31:03) 나는 뭘 거래하지 나는 뭘 먹고 사냐 제가 채권시장에 있을 때 채권시장 트레이더들의 그 채권 운영력의 저 고민이 적어졌어요 우리 그때 금리 엄청 내려가고 있었거든요 이렇게 야 이거 0% 그때 우리나라 금리 1%까지 내려왔습니다 기준 금리 1%이야 간다 0% 곧 간다 이런 내용이었기 때문에 야 이제 우리 뭐 먹고 사냐 채권 운영력 그만해야 되는 거 아니냐 채권 커리어가 얼마나 오래 갈 수 있을지 이거 걱정하고 체크했어요 지금이라도 이직해야 하는 거 아니냐 정확히 기억납니다 2010년대 초반 초중반 이거 이거 정확히 들었거든요음 그거 제 생각에는 뭐 그렇게 고민할 필요가 없는게 그 얘기하고 이게 아직도 우리 영프 안 오던데 야 너희 최소 20년은 더 해 먹을 거 같은데 제 생각에 은퇴할 때까지 아마 버티지 않을까 그런 고민을 했던게 여기였어요 여기 여기 야 야야야 우리 0% 가면 어떡 1% 아지 갔으니까 어떻해 하는데 4% 찍더라 그니까 모르는 거예요 그 모르는 건데 어 저렇게 고민을 하고 있다는 거고 그래 중국 체거 운영 팀이 배우고 있답니다 누구를 한국을
(32:05) 배우는게 아니라 일본을 배우고 있다 왜 아니 일본은 제로 금리를 수십년을 했는데 어떻게 버텼냐 뭐 하고 살았습니까 제로 금리에서 할게 있습니까라는 걸 물어본다는 거죠 그네 집 망했는데 어떻게 간판 안 치우고 올해 버티네요 뭐 팔고 사셨습니까 물어본다는 건데 아 이놈들이 예의가 없어요 예의가 할 거 있어 0% 내도 할 거 있어요 0% 된다고 뭐 할 거 없는줄 하나 보네 아니 돈 들어오고 나고 하는 건 똑같아야 똑같아 할 거 할 거 있어이 집 망하지 않았어 아직 안 죽었어 아빠 안 자요 아빠 안 자 그 자꾸 자면서 뭐 이거 만들고 있다 그러 건데 안 자 안 자 이거 다 할 거 있어 다 할 거 있어 에헤 참 일본에 케이스를 스터디한다면서 이게 자기 미래라고 생각하고 일본의 제로 금리 시나리오를 연구하고 있다음 그럴 수 있죠 반대로 일본에서 요즘에 금리를 조금 올리잖아요 그래서 금리가 이게 언제입니까 1990년 대입니다
(33:10) 일본은 금리가 움직인다는 걸 언제 봤냐 그은 2015년 이후로 아예 못 봤고요 10년은 2000년대 이후도 금리는 사실 안 움직이는 거였어 얘네 입장에서는 그럼 25년간 금리가 움직이는 걸 본 사람이 없어요 근데 요즘에 요게 올랐죠 물론 요게 올랐냐고 생각하면 는 조금 의견이 다르겠지만 얘네 입장에서는 급격한 상승을 했어 아 봐봐요 10년간 박스 피도 이런 박스 피가 없을 정도로 좁은 라인에 있었는데 요게 움직였 말이야 근데 요즘 일본 트레이더들은 금리가 움직인다는 경험하지 못했대 이게 무슨 소리냐 어 금리가 움직이는 걸 그까 주식 시랑 똑같아 어 주식이라는게 오르기도 합니까라는 거를 처음은 경험해보고 노장의 베테랑 트레이더들 모셔서 다시 물어보고 있다이 시장이 어떻게 사셨냐고 중국은이 시장에 까 0% 되면은 어떻게 살 거냐고 일본을 공부하고 있고 일본은 0% 끝나고 좀 오른다고 이제 반대로 여기 시장에서 뭐 하고 살았냐고 베테랑 트레이더들은 다시 모으고 있다고 하는 거고 그서 이렇게 세상은 돌고 도는거다이 멈춘 거 같은 것도 오를 때가 있고 저렇게 오르고
(34:16) 내리는 거 같은 것도에 멈출 때가 있는데 너무 앞서가는게 아닌가 생각을 합니다 n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이든이형 잘가 (17) | 2024.07.25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밥캣이 뭐야? (14) | 2024.07.24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미국대선 끝판왕 (1) | 2024.07.22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빈부격차가 이렇게 심하다고?? (0) | 2024.07.21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대한민국의 기적은 이제 없는가?? (0) | 2024.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