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요약]
미국의 재정 상황과 투자 전망에 대한 분석이 제시되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코로나19 대응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채를 대량 발행하고, 이를 통해 조성된 자금으로 다양한 경제 활동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 지출 증가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인플레이션, 재정 정책 등이 논의되었으며, 2024년 대선, 미국과 전 세계 증시, 그리고 원자재 시장에 대한 전망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경제 위기 상황에서의 투자 전략과 기회에 대해 설명하면서, 특히 원유와 금, 조선주 등의 가치에 대해 언급하며, 투자자들이 시장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조언을 제공했습니다.
[English Summary]
The analysis provided discusses the fiscal situation in the U.S. and investment prospects. The U.S. government has issued a large amount of Treasury bonds in response to COVID-19 and to stimulate the economy, using the funds raised to support various economic activities. The discussion includes the impact of increased government spending on financial markets, inflation, and fiscal policies, along with projections for the 2024 elections, U.S. and global stock markets, and the commodity market. It also covers investment strategies and opportunities in economic crisis situations, particularly emphasizing the value of oil, gold, and shipbuilding stocks, and offers advice on how investors should respond to market changes.
증시 하락 5일도 채 안 남았다, '이 방법으로' 내 돈 지키세요 (이선철 대표 풀버전)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fdOuwkZAUDg
Transcript:
(00:00) [음악] [음악] 장기 금리를 올라가는 걸 허용한다는 건 자산 시장이 무너진다는 걸 허용을 한다는 얘기입니다 제가 봤을 때는 아직도 장기 금리는 더 위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 AI 뭐 이런 것들 앞으로 더 많이 하락을 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저는 생각을 하고 장기체화 채권 같이 이제 보통은 안전자산 인식되는 자산들은 이런 상황에서는 안전 자산이 되기가 어렵습니다 못해도 오는 다시 넘을 거라고 보는데 그 과정이 어 굉장히 주식 시장에 좀 충격을 줄 수 [음악] 있다 자 오늘 대표님께서 김자카 t 먼저 좀 출연 요청을 주셔가지고 바로 이제 차 을 잡았는데 아마 그 이유가 최근 시장이 좀 조정을 받고 있는데
(01:04) 그 이유에 대해서 좀 말씀해 주시려고 하신 거 같은데 오늘 이야기가 시장의 뉴 캡틴인요 어떤 이야기인가요 한번 시작해 볼까요 PPT 간단히 가져온 걸 보기 전에 제가 지난번에 왔을 때 이제 그 장기체공 그이 늘어날거다 그 1월 말에 있던 qra 이제 굉장히 그때 사실 저희가 qra 이제 국채 발행하기 직전에 그때 촬영을 했잖아요 그래서 이제 qra 굉장히 중요하다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그게 쉽게 말하면 재무부가 이제 앞으로 빚을 내기 위해서 국채를 발행할 때 어떤 만기의 국채를 이제 발행을 할 것이냐 이렇게 하겠다라고 이제 발표를 하는 건데 그때 제가 말씀드렸던게 이제 장기물 공급이 많이 늘어나면 어 쉽게 말하면 굉장히 주식 시장에는 안 좋을 수 있다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어 실제로 이제 2분기 그때 이제 장기 쿠폰 장기물 중 장기물 공급이 굉장히 많이 들었어요 근데 그게 이제 그때 1월 말이나 2월 초에 한 레는 그러니까 2월에 해당하는 국채 발행이 있거든요 지금이 이제 4월 이제 2분기 들어와서 이제 주식 시장이
(02:07) 크게 하락을 아 뭐 크다고 아진 말을 할 수가 없지만 의미 있는 이제 좀 하락을 하고 있는데 지금 이제 그만큼 중요한 이제 3분기에 대한 다가오는 이제 78 9월에 대한 이제 qra 또 이제 저희가 공교롭게 이제 제가 그래서 이제 말씀을 드린 건데 당장 이제 5월 1일에 이제 있을 예정이다 4월 29일에 처음에 이제 총액 얼마 을 그 국채를 발행할지 발표를 하고 그리고 5월 1일에 세부 이제 만기별 이제 국채 발행을 할 예정이다 그래서 이게 이제 한 분기에 한 번씩 이제 발표를 하는 주제인데 어 분기에 한 번씩 어떻게 국채를 발행 얼마만큼 발행할 거고 어떤 만기별로 발행을 할거다 근데 이제 이게 굉장히 중요한 사안이라 어쩔 때는 그 발표만으로 바로 즉시 시장이 그거에 따라서 움직이기도 하고 그게 이제 작년 3분기 23년 89 10월에 조정이 있었잖아요 그때는 발표를 하자마자 바로 움직였고 이번에 에도 발표를 하고 바로 움직일 줄 알았더니 이번에는 그러지 않았고 2분기가 실제 들어서 이제 국채를 발행할 때마다 국채 입찰을 하잖아요 입찰을 할
(03:09) 때마다 시장에 충격이 오더라고요 이제 계속 테일이 나는 거죠 그러니까 너무 공급이 많다 보니까 그걸 흡수해 줄 주체가 없으니까 장기 금리는 더 자고 올라가고 이게 뭐 당장 어떻게 직시 발현된다 아니면 뭐 실제 그 분기에 들어서서 발현된다까지는 알긴 어려우나 굉장히 중요한 주제고 그거를 지금 앞두고 있다라는 말씀을 드리려고네 습니다 지금 이제 많은 분들이요 흰색선 같은 경우가 이제 파이낸셜 컨디션 인덱스라고 아실 텐데 이제 금융 환경이 얼마나 이완돼 있냐 아니면 긴축 있냐를 보여 주는 건데요 1970년부터 지금 현재까지를 나타내는 겁니다데 파이낸셜 컨디션 인덱스라고 하면 뭐 주주식 가격도 포함되고 뭐 여러 가지 뭐 금리 뭐 여러 가지 좀 그 금융 상황이 포함이 되는데 지금 보시면 이제 많은 분들이 23년에 리세션 얘기했지만 어 2008년 같은 경우 이렇게 금융환경 긴축이 됐죠 전형적인 리세션이 나왔을 때는 반대로 1970년대 우리가 아는 이제 굉장한 스테그 플레이션 이럴 때도 이렇게 긴축이 됐고 근데 현재는 이게 낮다라는 건 굉장히 금융 환경이
(04:10) 이제 이완돼 있다라는 얘기거든요 그래서 이렇게 낮은 수준이다 도대체 왜 그럴까 왜냐면 연주는 계속 금리를 올렸잖아요 기준 금리를 보시면은 이제 미국의 cpi 같은이요 주황색은 이제 미국 cpi 물가 소비자 물가 지수 전년비 수치인데 보통 이런 수치들이 물가가 이렇게 오를 때 좀 긴축 있는 경향이 있죠 왜면 가가 오르면 연이 기준 금리를 인상을 하니까 그죠 위로 올라가게 축인 거죠 네네이 흰색이 위로 올라간게 굉장히 금융환경이 긴축적 이다라는 얘기입니다 보통이 이럴 땐 무조건 리세션이 발생하고요 물가가 올라가는 와중에도 리세션이 발생했죠 70년대에는 반대로 이제 2008년 같은 경우도 이렇게 이때는 물가가 올라가려고 하다가 리세션에 터지면서 바로 이제 디플레이션이 왔는데 어쨌든간에 물가라는 거는 인플레이션은 굉장히 좀 중요한 요소다 이런 금융 환경에 왜 당연히 물가가 올라가면 연주는 긴축을 하겠다라고 하니까 근데 어쨌든 작년까지 지금 연준이 제로에 있던 금리를 5.
(05:12) 5가 올렸잖아요 그러니 많은 분들은 더더욱 어 특히 또 많은 좀 한국의 전문가분들이 장기채를 사야 된다 금리가 떨어질거다 어 결국에 이런 전형적인 리세션이 올 거다라고 해서 장기채를 권유를 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 장기 금리가 안 내려가고 있죠 반대로 장기 금리는 계속 올라가고 있죠 어쨌든 지금 지금 요렇게 파이낸셜 컨디션 인덱스가 이렇게 내려와 있다라는 건 굉장히 여기 이렇게 물가가 올라왔는데도 이상하게 다른 때와 다르게 굉장히 금융 환경이 이완돼 있다라는 얘기죠 22년에 보시면은 굉장히 올라와 있잖아요 물가가 뭐 2008년 70년대와 유일하게 비견할 수 있을 정도로 올라와 있는데 파이낸셜 컨디션 인덱스는 굉장히 내려와 있죠 그럼 이런 차원이 이게 왜 발생하고 있을까 우리가 앞으로 걱정해야 될 건 인플레이션 이까 디플레이션 이까 한번 생각을 해보도록 하실게요 이제 기본적으로 금리를 인상하는데 연준이 기준 금리를 제해 5% 넘게 인상을 했는데도 왜 파이낸셜 컨디션은 저렇게 완화가 됐을까 하나는 연준이 기준 금리를 인상할 때는 기본적으로 장기 금리가 같은 방향으로 따라오길 원해서
(06:15) 인상을 하는 겁니다 왜냐면 많은 분들이 아는 것과 다르게 보통 우리가 흔히들 얘기하는 이제 금융 시장의 이제 자산 주식이나 부동산 뭐 채권 이런 것들은 뭐 채권이야 당연히 금리 완전히 밀첩한 움직이니까 뺀다고 하더라도 음 그렇 때에 그 충분 올라야 아까 처음에 보여드린 파이낸셜 컨디션 인덱스가 이렇게 크게 올라가는 건데 많은 분들은 이제 기준 금리가 5.5 올라가는게 이제 충분했다 라고들 생각을 했어요 다만 장기 금리가 그에 맞게 충분히 올라 주지 않았고 첫째 제가 봤을 때는 0에서 55까지 올라가는 과정이 뭐 지난 20년 30년 동안 가장 큰 축이었다 들 많이 얘기했지만 사실 그렇게 치면 이번에 팬데믹 때 있었던 양적 원화와 이제 재정 정책의 결합이 된 거는네 지난 뭐 50년 뭐 100년 만에 가장 큰 규모에 재정 정책까지 결합한 신 신개념에 이제 어 유동성 완화 정책이었던 그니까 어떻게 보면 지난
(07:20) 30년 중에 지난 20년 중에 가장 큰 긴축과 상관없이 그 애초에 통화량이 제가 처음에 출연했을 때 통화량에 대해서 설명을 드렸는데네 그런 인플레이션은 항상 언제나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이다 말을 우리가 생각을 한다면 지난 사실 팬데믹 때는 어 지난 거의 한 50년 70년 중에 가장 큰 부양책이 이루어진 시기다 그러니 충분히 금리 자체가 그렇게 긴축적이지 않은 수준이었다 특히 장기 금리가 이제 많은 분들이 특히 23년에 전형적인 리세션 우 우려를 하다 보니까 장기 금리가 너무 크게 역전이 돼 있던 거죠 기준 금리가 이렇게 있는데 장기 금리는 한참 낮아 23년 상반기에는 특히 3% 내려갔었던 금리가 이렇게 계속 올라가는 와중에 이제 그런 측면을 생각을 해야 되고 둘째는 이제 미국이 적자재정 운영을 하고 있는데 국채를 무한대로 발행을 해서 미국이 아무튼 적자 지출을 계속 정부가 미국 정부적 이거는 연준과 상관없이 재무부에서 적자 지출을 계속 한다는 건 굉장히 인플레이션이 한 행위다 통화 승수를 높여주고 명목 GDP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 부분은 제가 뒤에서 자세히
(08:23)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은 이제 btf 이런 지역 은행들이 이런 데서 문제가 생기려고 하니까 그걸 통해서 이제 크레딧 리스크를 갑자기 이제 어딘가 붕괴해서 이제 그런 것들을 미연에 계속 방지를 하는 거죠 근데 많은 분들이 btf n 종료되지 않냐라고 생각을 하시는데 종료는 됐지만 그게 이제 불가 한 몇 달 전이죠 한 두 달 전인가요 종료는 됐지만 그 종료되는 시점 전에 잘 잘 많이들 모르시는게 1년을 더 연장을 할 수가 있는 겁니다 그러니까 쉽게 말하면 친규 신청은 할 수가 없지만 예를 들면 제가 정확히 기억이 안 나는데 뭐 2월 중에 만약에 종료가 됐다라고 한다면 신규 신청을 그 이후로는 할 수는 없지만 2월 그 말 종료일 전까지 연장 신청을 한 곳들에서 그렇게 되는 겁니다 그니까 그런 측면에 대해서 어 많은 분들이 생각을 하셔야 될거다 과연 우리가 앞두고 있는 이제 위기가 정말 현금이 없어서 시장에 부러지는 그런 위기가 당장 올 것이냐에 대한 생각을 하셔야 될 거고 이제 그 부분에 대해서 제가 좀 더 설명을 하겠습니다 이게
(09:22) 보시면은 굉장히 기본적인 차트인데요 흰색 선이 미국의 10년 보통 이제 금리를 이렇게 급격하게 인플레이션 때문에 올릴 때 인상할 때는 장기 금리가 보통 기준 금리와 역전 현상이 발생합니다 왜냐면 기준 금리를 급하게 올리다 보니 당연히 사람들은 리세션 생각을 하게 되고 그럼 그런 모습 단에서는 70년대와 별로 다를게 없죠 똑같이 빨간색이 흰색보다 더 위에 있죠 기준 금리가 그러면이 정도면 충분히 이게 2008년처럼 전형적인 리세션 해서 이제 크레디 침체가 오지 않겠느냐라고 이제 많은 분들이 생각을 했던 건데요 부분 보시면 여기가 이제 2008년이 리세션 전에 그럼 여기서도 이정이 정도 올렸으니까 바로 오지 않겠냐라는 건데 지금 안 오고 있는 거죠 그 말은 이게 뭔가가 긴축이 덜되고 있다라는 얘긴데 사실은 그 원인은 보시면 아까 방금 동일한 차트에서 cpi man 제가 여기다가 추가를 한 거거든요 전년비 미국의 cpi 이게 좀 세 가지가 같이 있다 보니까 좀 헷갈리실 수 있는데 하늘 선만 자세히 보시면이 하늘선이요 지금 이번에는 너무 긴축
(10:27) 자체가 늦었고 충분하지 않았다 자요 세 번의 구간에서 보통 하늘선이 올라갈 때 긴축은 같이 동행으로 올라갑니다 그렇죠이 긴축이 같이 올라가죠 빨간색이 하늘선 다 오히려 선행에서 올라가든 거의 동시에 올라갑니다 근데 반대로 지금 이번에는 하늘선이 이렇게 올라가는 와중에 연준이 계속 트랜지 리를 얘기하면서 계속 머물러 있었단 말이에요 그럼이 구간에 이렇게 올라갈 때 이때 실질 금리가 엄청 내려간 적이 있었던 거거든요 실질 금리가 내려간다는 건 인플레이션을 착하면 실질 금리가 내려간다는 건 그 기간 동안 굉장히 부적인 인플레이션이 한 압력을 계속 주는 건데 그런 와중에 뒤늦게 시작했고 70년대를 보시면 최소한 물가가 오른 만큼은 다 긴축을 했는데 이번에 보시면 많이 했다라고 하지만 기본적으로 해봤죠 5.
(11:15) 3% 과거 100년으로 치면 과거 20년 중에는 굉장히 높은 어 금리 순 있어도 과거 70년이나 뭐 이렇게 봤을 때는 그다지 긴축적인 상황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가다 보니 여기서 정말로 인플레이션이 일단은 이런 식으로 올라갔다가 내려가는 이런 구간이 있기 제대로 있기 위해서는 튀지 않고 다시 내려가기 위해서는 장기 금리가 흰색 선이 빨간색선 기준 금리 위로 한참 올라가 줘야 된다 그거를 정부가 허용을 해 줘야 된다 미국 정부든 미국 연준이 다만 장기 금리를 올라가는 걸 허용 한다라는 건 자산 시장이 무너진다는 걸 허용을 한다는 얘기입니다 왜냐면 장기 금리가 상승하면 주식 시장에 멀티플레 굉장히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지금 그래서 일어나는 과정이 제가 지난번에 출연했을 때도 장기 금리가 하락하면서 나타나는 위기가 아니라 상승하면서 나타나는 위기일거다 시장에 일단 웰스 이펙트가 빠져야 되는데 웰스 이펙트가 빠지게 하는 원동력은 일단은 장기 금리의 상승일거다 제가 말씀을 드린 바 있는데요 그게 지금 실현되는 과정이라고 저는 보고 있고 앞으로도
(12:15) 이익에 더 좀 지속될 여지가 있다 그래서 이제 많은 분들이 이제 전형적인 위기를 생각하시고 이제 장기채를 많이 사셨는데 제가 봤을 때는 아직도 장기 금리는 더 위로 오를 가능성이 높다라는 거를 말씀드 되겠습니다네 자 그럼 지금 위기의 조짐이 있다라는 거잖아요 그렇죠 맞습니다 네네네 그럼 이게 앞으로 5월 6월 좀 주시장 이제 단기적으로 5월 6월인 거잖아요 2분기는 그렇죠네 2분기 남았으니까 그때는 좀 어떻게 보시고 이번 그 조정이 조금 큰 폭에 지금도 약간의 조정이 있지만 더 조정이 커진다는 건가요 아주 단기적으로 뭐 지금 오늘 촬영하는 기준으로이 방송이 언제 나갈지 모르겠습니다지 4월 말이니까요 예 이번 주는 일단 바로 다음 주에 qra 일정이 있어서 이번 주는 저는 어느 정도 좀 그간 폭기 심했던 조정을 충분히 되돌릴 수 있다고 보는데 어 QR 결과에 따라서 이제 이게 위기가 좀 더 연장될 거냐 좀 더 뒤늦게 나타날 거냐 아니면 바로 시작이 될 거냐라고 볼 수 있는데 저는 일단 기본적으로 이번 qra 국채 발행 계획에서도 어 중장 기물을
(13:16) 발행을 좀 많이 할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장기물을 중 쿠폰 물을 많이 발행한다는 건 결국에 장기 금리를 더 상승시키는 요인이 그거에 결정을 제가 왜이 제목을 시장의 뉴 캡틴이라고 지었냐 그거를 결정하는 건 어 연준의 연준이 아니라 재무부 아 재무부네 제니 앨런네 그러면 큐티를 하는 구간에서는 그러니까 지금 현재 연주는 오히려 양적 긴축을 하고 더 이제 인플레이션을 잡겠다 하면서 금리를 높게 유지하고 있잖아요네 근데 그런 구간에서는 연준이 아니라 새로운 대장은 사실은 재무 부입니다 왜냐면 큐티를 한다라는 건 연준이 지금까지 2008년 이후로 양적 완화를 하고 계속 돈 풀어서 사드렸던 장기 국채를 이제 다시 시장에 파는 거잖아요 뭐 쉽게 말하면 다만 그렇게 해서 이제네 장기물의 공급이 이제 시장에 자연적으로 늘어날 수가 있기 때문에 반대로 연준이 장기물을 아예 예를 들어서 발행을 안 한다고 쳐 볼게요 그러면 시장은 수요 공급의 논리에 따라 누군가는 어쨌든 장기채를 사야 되는 그 수요가 있거든요 장기채를 시장에 신규 공급이 없다 보면은
(14:16) 발행을 안 하면 장기 금리는 하락을 할 수 있겠죠 근데 하락을 하면 아까 제가 지난번 출연했을 때도 자세히 말씀드렸는데이 부분은 혹시 이게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은 지난번 거를 보시면은 제가 출연했을 때 이해가 잘 되 겠습니다 그거 보시면 이해가 잘 되실 텐데 장기 금리가 하락을 하면 시장에 지금 현재 이렇게 유동성이 많은 상황에선 장기 금리가 하락을 하면 양적 완화를 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줍니다 시장의 멀티플이 올라갑니다 멀티플이라는 거는 잖아요 주식은 어닝이 있고 기업이 얼마를 벌어 들이느냐 있고 그거에 몇 배로 거래 되느냐 이제 멀티플가 있잖아요 그 피가 이제 이렇게 유동성이 많을 때 장기 금리가 떨어지면 뭐 엔비디아로 쳐 볼게요 엔비디아가가 멀티플이 뭐 원래 30배 20배 있던게 100배 까지 오를 수 있고 그러니까 장기 금리가 더 낮은 수익을 제공을 하기 때문에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는 유동성이 많은데 어딘가에 파킹을 해놔야 되는데 가장 그 중심이 되는 장기 금리가 낮게 조작이 된다면 그거보다 조금만 더 주는 주식이나
(15:14) 부동산의 투자들 하게 되는 거죠 유동성이 많은 상황에서 그렇게 이해를 하시면 되고 반대로 이제 장기 금리가 이렇게 유동성이 많은 상황에서 생기는 위기는 어쨌든 웰스 이펙트가 먼저 내려가야 되거든요 제가 말하는 웰스 이펙트라는 건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가격이 내려가야 그래야 사람들이 자기가 페이퍼 상으로 와 주식 가격이 많이 올랐구나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올랐구나 생각해서 그거 믿고 물가가 올라도 그걸 담보로 계속 지출하던 거를 가격이 내려가야 지출을 안 하고 소비를 덜하게 되겠죠 저축으로 유도가 되고 그래야 가격이 내려가야 이제 사람들이 소비를 덜 하게 되면서 인플레이션이 좀 잡히는 그런 구간이 생기는 건데 지금은 일단 웰스 이펙트가 너무 높다 보니까 그런 구간이 발생을 안 하고 있는 거죠 그러면 이런 상황에서는 사실은 금리가 충분히 해결을 해 줬어야 되는데 연준이 그 잡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그럼 결국에는 이제는 장기 금리를 오르게 허용을 할 것이냐 결국에 인플레이 압력이 지속되고 계속 제가 지난번에 노 렌딩 이제 하드라고 얘기를 했잖아요 노 랜딩스 지표가
(16:14) 계속 나올거다 왜냐면 재무부가 계속 돈을 쓰고 있으니까 지출을 다만 그건 결국 장기 금리를 높게 인플레이션이 한 환경이기 때문에 장기 금리를 결국 높게 해서 장기 금리가 크게 상승하면서 시장의 웰스 이펙트를 낮추고 그러면 면서 스펙트가 낮아져야 그때 이제 많은 분들이 생각했던 그런 전형적인 세션이 올 거다라고 말씀드렸는데 그게 왜냐면 어쨌든 이번에 유동성을 푼 건 너무 막대 했는데 많은 분들이 좀 제가 봤을 때 화폐 착각을 했다 그러니까 지난 20년 중에 제일 강한 긴축이 있어도 의미가 없거든요 왜냐면 이번에 유동성 지출은 지난 100년 70년 중에 가장 큰 유동성 지출이 공급이 있기 때문에 이제 그런 차원으로 생각을 하시면 되고 어쨌든 그래서 우리가 지금 당장에 경계를 해야 될 거는 장기 금리의 상승이다 하락이 아니라 만약에 근데 이번 qra 제니 앨런이 장기물 공급을 다시 줄이겠다라고 해서 단기채 뭐 많이 발행을 한다든지 이렇게 되면 장기물의 쿠폰의 쿠폰이라 건 중 장기물을 얘기를 하거든요 그럼 중장 기물의 공급이 줄어들기 때문에
(17:18) 말씀드렸듯이 다만 누군가는 매년 반복적으로 사야 되는 주체가 있거든요 그럼 그 주체들 입장에서는 시장에 공급이 적어지면 일단은 공급이 아예 없다 장기물이 식품물류 없다라고 한다면 이거는 유사 양적 완화와 굉장히 유사 양적 완화인데 보통 돈을 찍어서 장기물 국채를 사 줘서 장기 금리를 인위적으로 낮추는 거잖아요 그걸 통해서 풀린 유동성이 갈 곳이 없으니 그나마 조금 더 장기 금리 왜냐면 국회라는 거는 만기까지 기다리면 어쨌든 원금이 보장되는 자산이냐 그거보다 조금 더 높은 리스크 프리미엄을 제공하는 주식이나 부동산에 계속 돈이 들어가는 거죠 그게 이제 2008년 이후부터 팬데믹 이전까지의 모습이거든요데 팬데믹 이후에는네 양적 하나뿐만 아니라 재정 정책까지 결합이 된 거죠 재정 정책이라는 거는 말 그대로 정부에서 직접적으로 돈을 쓰는데 심지어 그거를 개인들의 주머니에 다 꽂아 줬잖아요 그렇게 되면 이게 어떻게 되냐면 과거에 2008년에서 2020년까지는 연준이 양적 안내를 통해서 유동성을 풀더라도 리테일 단 은행에서 대출이 많이 안 나갔습니다 그러니까 상업 은행에서
(18:18) 결국에 대출이 많이 나가 줘서 많은 이들한테 소진이 돼야 이게 통화 승수를 높이고 인플레 소비자 물가 자산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 아지 발현이 되거든요 근데 이제 팬데믹 이후에는 그걸 양적 하나 플러스 재정 정부가 이제 미국 정부가 지금 계속 주도를 하고 있는 거예요 그럼 정부의 재정 지출로 통해서 이제 굉장히 많은 유동성이 아주 다수의 사람들에게 뿌려지기 때문에 이거는 굉장히 통화 승수를 높이고 굉장히 인플레이션이 한 환경이라는 거를 저는 계속 말씀을 드리고 있는 거거든요 사실은 그 부분에 대해서 좀 조금 내용이 처음 접하시면 어려울 수 있지만이 부분을 인지하시고 그럼 많은 사람들한테 돈이 뿌려줬으면 와 이거는 어 오히려 주식 시장이 좋은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 있 사실은 자 이렇게 생각해볼게요 만약에 똑같은 1인데 1조를 한 명한테 김님 한 명한테 나라에서 준 거예요 너무 그죠 그만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냥 자선에서 몇 개좀 사면 될 것 같은데 내가 요거까지 하시고 그만하시죠 그 예를 들어서 그렇게 생각을 할 수가 만약에 한
(19:19) 명한테 했다와 반대로 이제 5천만 명 국민한테 전부 다 뿌렸다 그럼 얼마 안 되겠죠 한다면 얼마 안 되잖아요 그 일조가 그러면 한 명한테 했으면 소비를 할 수 있는 여력이 굉장히 적죠 적으니 그 한 명은 꼴랑 쓰고 남은 거를 다 어딘가에 파킹을 해놔야 될 거예요 투자하거나 뭐 하겠죠 그렇죠 근데 그 투자할 때 잣대가 팬데믹 이전까지는 기준 금리는 제로였음 연준이 돈 찍어서 장기 금리를 일부러 인위적으로 계속 하락시키는 제가 전에 처음 출연했을 때도 말씀드렸는데 주식과 부동산의 듀레이션이 긴 자산이다 그러니 단기가 아니라 장기 금리가 비교를 해야 된다 그럼 장기 금리보다 조금 더 기대 수익률이 높을 수 있는 일드 자산들의 파킹이음 는 거거든요 주식이나 부동산에 근데 반대로 20년 이후에는 재정정책이 엄청 결합을 하면서 그니까 중앙은행이 아니라 이제 미국의 재무부가 직접 결합을 하면서 근데 재무부는 곳은 굉장히 정치적인 집단이자아요 그러면서 모든 사람들한테 돈을 꽂아 준 거예요 지금은 꽂아주고 있진 않지만 제가 이따가 설명을 드릴 건데 꽂아주고 있진 않지만 지금도
(20:19) 똑같은 행위를 사실은 하고 있는 거거든요 어 그 부분은 그러면 많은 5천만 명한테 들어간다면 그걸 주시겠어요 아니면 생활비로 쓰겠 생활비로 그냥 쓰게 되죠 큰 돈이 아닌데 그러면 이거는 자산 많은 분들이 기대하는 자산 인플레이션이 아니라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을 하이어 포 롱거 하게 가는 행위고 그렇게 되면 지금 시장은 장기 금리 같은 경우는 다들 올해야 이제 다시 오르고 있고 하지만 23년 상반기 같은 경우에는 다들 전형적인 리세션에 와서 장기 금리가 다시 뭐 1% 아지 내려갈 거야 기준 금리도 다로 다시 제로로 내려갈 거야 뭐 이런 식의 그거를 다들 기대하고 있던 프라이싱 있기 때문에 단기 금리가 많이 올라가도 장기 금리가 이렇게 낮게 유지가 됐던 건데 어 인플레이션이 점점 하이 어 온 거구나 오래가는구나 이제 시장이 느끼기 시작을 하기 때문에 지금 장기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는 거거든요 이걸 굉장히 주의를 하셔야 된다 이걸 통해서 장기 금리가 오르면 제가 아까 말씀드렸듯이 주변에 비교 주식이나 부동산은 더 많은 부동산 가격이 만약에 김작가님이
(21:17) 투자를 하셨는데 장기 금리보다는 더 많은 월세가 연으로 나와야 될 거 아니에요 인플레이션이 장기가 되면 실질 소득이나 뭐 수익은 한참 떨어질 수 있겠으나 어쨌든 명목상으로는 만기까지 기 면 장기 채라는 거는 원금을 보장해 주는 자산이자아요 근데 부동산 같은 경우는 원금이 보장이 안 되는데 당연히 장기 금리보다는 최소한 얼마 정도에 더 높은 수익률을 줘야 되거든요 근데 팬데믹 이전까지 2020년 뭐 1월 때까지는 테헤란로에 한 3% 정도의 수익률만 준다고 하면 부동산 자산운용사들이 줄을 섰습니다 건물주한테 우리가 사겠다고 그럼 매크로에 대한 인플레이션에 대한 어떤 걱정을 전혀 하지 않았던 거예요 근데 인플레이션이 장기와 하이어 포 거라는 걸 시장이 깨닫는 순간 장기 금리는 연준이 정하는게 아니라 시장 금리이자 장기 금리가 오르게 된다면 자 2020년 이전에는 장기 금리가 1% 밖에 안 됐기 때문에 부동산이 3% 정도 주면 아주 좋은 부동산이었다 지금은 장기 금리가 4.
(22:14) 5%요 근데 이게 만약에 더 상승하거나 최소한 4% 대로 하이어 폴로 온 거겠구나라고 한다면 부동산의 월세 수익은 연으로 환산했을 때 7% 나와 줘야 되지 않을까요 제 생각에 6에서 7% 정도 그렇게 되면 그게 되려면 가격이 확 하락하거나 부동산에가 가격이 아니면 부동산의 임대에서 들어간 많은 회사들이 정말 실질 소득이 엄청 늘어서 경제가 엄청 빨리 늘어서 월세를 확 올려도 두 배 이상 두 배 가까이 올려도 되는 상황이거나 둘 중에 하나입니다데 다만 인플레이션이 하이어 풀로 온 거라는 건 성장이 사실은 그렇게 따라올 수 없는 실질 성장이 따라오기가 어렵거든요 그래서이 부분을 조금 이해가 제가 말을 잘 그은 나름 잘 쓰는 편인데 말을 그렇게 잘하지 못해서 많은 분들이 이해가 되셨습니다 그럼 이따가 또 설명해 주겠지만 그럼 이런 시장에서는 지금 자산 관리할 때 어떻게 되지 핵심 한장을 일단 짓고 넘어간다면 1드 자산 1드 기반의 자산 부동산이나 주식은 당분간은 그 1득 기반의 자산인데 멀티플이 고평가돼 있는 자산 쉽게 말해 주식으로 치면 피가 고평가돼 있는
(23:12) 자산은 어 성장에 대한 기대로 굉장히 고평가 돼 있는 자들 예 그런 제가 뭐 지난번 출연했을 때도 말했던게 이제 뭐 AI 뭐 이런 것들 그때 지금 최근에 이제 좀 하락을 했는데 앞으로 더 많이 하락을 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저는 생각을 하고 이게 좀 많은 분들 또 반발이 있을 수 있지만 지나봐야 아는 거죠 예 지나봐야 아는 거니까 코인 같은 자산은 어떻게 되는 거죠 코인이 정말 원자재 아면 사실은 좋을 수 있거든요 왜냐면 이런 이런 상황에서 원자재는 실물이 때문에 그리고 코인은 보통 원자재 네러티브 골드나 이런 거를 네러티브를 코인이 원자재 있나요 아니 그렇게 차용하지아요 비트코인에을 장기 투자하시는 분들은 아 금이다 디지털 금이다 이렇게 차용을 하다 보니까 가지고 있긴 한데 디지털 잘 모르겠지 예 그렇게들 차용을 하시다 보니까 그게 정말 맞다면 그렇지만 저는 개인적으로 좀 보수적인 성향이라 전혀 그렇게 생각을 하고 있지 않아서 일단 지금 현재 지금까지 트랙 레코드는 다 나스닥 따라서 움직였지 이게 골드와 따라서 움직이지 않았거든요 코인도 나스닥을
(24:09) 따라 움직였고 예 지금까지 보면 흐름은 다 그렇습니다 근데 저는 오히려 그러니까 그렇게 돈의 가치가 현재 미래의 돈의 가치를 현재로 할인했다 크지 않았을 때 한마디로 인플레이션이 없었을 때 계속 연준이 양적 완화 2008년 이후로 양적 완화를 하면서 좋아졌던 자산이 비트코인이 든요 근데 지금은 되돌리는 과정인 거죠 그럼 이런 상황에서 는 좋게 보진 않습니다네 그래서 지금 제가 인플레이션을 두려워해야 된다라고 그러니까 시장은 23년 내내 인플레이션이 강해질수록 더 세게 긴축 겠다는 이제 연준을 두려워했는데 그게 아니라 인플레이션을 두려워해야 된다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데 이게 실질 금리거리 요기가 70년대 이제 실질 금리고정형 요렇게 실시 금리를 높여서 인플레이션을 잡았죠 결국에 40년에 디스인플레이션 장세를 만들어 는데 근데 보시면은 아서즈 우리가 그렇게 욕하는 아서즈 있잖아요 막 무능력해서 인플레이션을 굉장히 오래 끌고 같다라고 그렇게 기억이 되는 사람도 사실은 인플레이션 수치 아까 처음 차트 보시면 아시겠지만 인플레이션이
(25:12) 올라갈 때 그만큼은 선행에서 움직였던 사람이거든요 인플레이션 만큼은 긴축을 했던 분인데 그분이 피벗을 한게요 시점입니다 이제 금리 인상 끝났고 뭐 이제 금리 인하를 하겠다 그러다 보니 다시 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서 이렇게 내려가죠 실지 금리가 굉장히 부양적 있 환경이 다시 한번 만들어지죠 이번에도 제가 아까 말씀드렸듯이 파월이 워낙 긴축을 늦게 트랜지 리 어쩌고 하면서 이제 늦게 시작을 하다 보니까 이렇게 부양적 마이너스 지금 실질 금리가 6% 아지 내려갔던 거예요 여기가 0% 든요 지금 실질 금리가 마이너스 6% 아지 내려갔던 건데 이게 이제 그나마 뭐 1% 정도 이쯤 되니까 지금 어떻게 보면 테이퍼링을 하겠다 그러고 테이퍼링이 뭔지 아시죠 그 예 큐티 양적 캔 축가 하던 걸 줄이겠다고 하고 있고 얼마 전에 뉴욕 연준에서 보면은 어 양적 긴축을 2025년 1월이면 아예 다 끝낼 것처럼 얘기를 그런 보고서도 나왔더라고요 근데 지금 굉장히 어떻게 보면 완화적인 환경을 막 작년 말부터 계속 얘기를 하면서 주식은 엄청난 이제 랠리를 했던 건데 그래놓고 요새
(26:13) 이제 물가가 다시 바트 아웃 하면서 이제 올라가려는 기미가 계속 보이니까 떨어지진 않고 그러니까 요새 다시 좀 워딩을 강하게 하고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제가 지난번 영상에서도 말씀드렸다시피 GDP 대비 130% 정부 부채 비율을 가지고 있는 미국은 폴볼 커처 이렇게 실질 금리를 이렇게 높여서 인플레이션을 완전히 박살낼 수 있는 그런 무기와 총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 부분을 잘 생각하시고 제가 봤을 때는 여기서 이제 인플레이션이 저는 2차 스파이크가 있을 거라고 보는 사람인데 실질 금리가 다시 이런 식으로 장기 금리가 올라가더라도 명목으로 올라가더라도 이게이 실질 금리는 지금 미국의 10년 금리에서 cpi 전비를 뺀 거거든요 올라가더라도 cpi 굉장히 크게 올라갈 가능성이 생기면서 요렇게 내려갈 위험성이 있다 네가 다시 한번 그 그 점을 좀 생각을 해주셨으면 좋겠고 그리고 이제 미국의 정부가 이제 보통 사람들이 23년에 어쨌든 왜 긴축적이지 않고 이제 아까 제가 처음에 말씀드렸던 왜 금융환경이 그렇게 완화됐고 한다면 아직 미국은 여전히 돈을 찍고 있다라고 저는
(27:18) 말씀드리고 싶어요데 다만 보통 돈을 찍고 있다라고 얘기하면 보통 이제 이런 미을 많이 쓰잖아요 연준 파월이 막 이거 미 이렇게 많이 돌아다니나요 이렇게 막 돈을 엄청 찍었다고 근데 다만 이게 아니다 연준이 지금 찍고 있는 건 다들 이거를 보니까 이제 양쪽 하나 안 하고 있으니까 오히려 양쪽 긴축을 하고 있으니까 와 엄청나게 긴축적 있겠구나라고 생각을 하겠지만 어 보시면은 여기가 이제 그 혹시 캡틴 필립스라이팅 나 바라 내가 대장이다 이러잖아요 그래서 이제 사실 지금 진짜 캡틴은 파월이 아니라 제제 장 네네 왜냐면 어떤 방식으로 그러면 아니 재무부가 발권력이 없는데 어떤 방식으로 돈을 찍는다는 거야를 한번 가만히 생각을 해 볼게요 천천히 미국 정부의 국채 발행이 엄청 늘었다는 건 많이들 아실 거예요 돈을 계속 빚내서 쓰고 있다 그래서이 차트를 보시면 정말 어마어마하게 올라가고 있죠이이 상승 이게 1950년부터 현재까지의 차트인데 2023년 말까지 굉장히
(28:23) 속도가 매우 가파르 근데 많은 분들은 그래도 연준이 예전처럼 돈을 추위로 찍어서 사 주는 건 아니기 때문에 통화량이 늘어나는 건 아니니까 인플레이션은 상관없지 않을까라고 기대를 하는 분들이 있어요 다만 그거는 이제 사실이 아니다라는 거를 왜 재정 지출이 인플레이션에 가장 바로 연결되는가 제가 말씀을 드릴 건데 일단은 여기만 보셔도 굉장히 이제 빠르게 국채 발행이 늘고 있고 요거는 이제 정부의 지출 2021년부터 현재까지 정부 지출이 굉장히 빠르게 늘고 있죠 이거를 파이낸싱 해 주기 위해서 미국 정부가 국채를 이런 속도로 발행을 하고 있는 겁니다 국채를 엄청 찍어서 미국 정부가 돈을 쓰고 있는 거죠 자 그러면 아무튼 그건 시장에서 조달된 돈이니까 정당하게 국채를 발행해서 조달한 돈이니까 통화량은 느는게 아니지 않느냐라고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죠 근데 가만히 생각을 해 보면 많은 분들이 23년에 리세션 올 거다라고 하면서 얘기했던게요 차트 있어요 세 미국인들의 세이빙이 거의 2005년 수준으로 낮아졌어요 이렇게 이제 저축이 낮아졌다이 팬데믹 때
(29:25) 초과 저축은 이미 다 소진되고 없다 이거였 그래서 보시면 실제로 저축은 지금도 세이빙스 계좌에는 굉장히 낮게 있습니다 저축은 자 보시면 이렇게 줄었지만 반대로요 아래 차트는 뭐냐면 예금 계좌가 얼마나 늘었는가 보여주는 겁니다 저축 계좌 말고 흔히들 우리가 생각하는 우리가 이제 각종 기름값 내고 뭐 월세 내고 할 때 쓰는 그 예금 계좌 있잖아요 체킹 어카운트 미국인들의 체킹 어카운트가 1950년부터 지금까지요 팬데믹 때 얼마나 늘었냐 보면 뭐이 레벨을 그냥 그 할 수가 없을 정도로 늘었죠 그러면 국채를 발행해서 자 국제라이온스 세이빙 보다는 국채 금리가 더 높으니까 그럼 글로 이동을 하면 그 정부가 돈을 어디에 쓰냐라고 생각을 하시면 자 팬데믹 때는 개인들 계좌에 다 이렇게 넣어 줬죠 직접적으로 그죠 둘째는 최근에는 이제 그렇게 개인들 테 다 쏴 주지
(30:29) 않으니까 뭐 그런 거 아닌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정부가 하는 그런 재정 정책은 모두 다 인플레이션과 직결되는 체킹 어카운트를 늘려주는 요인입니다 쉽게 보자면 학자금 대출을 다 탐가 줬잖아요 그럼 예를 들면은 학자금 대출은 꽤 목돈이 그거를 갚기 위해서 꼬박꼬박 이렇게 모으거나 했던 이제 많은 미국인들이 그렇게 했을 거란 말이에요 목돈을 이렇게 마련해 놓고 갚기 위해서 했을 건데 그게 다 감을 해주면 킹 어카운트가 줄어들고 해도 줄어들 수가 있을까요 힘들죠 ira 법도 아 이거는 기업들한테 해 주니까 그 그 기업들한테 좋은 거 아니야 주가에 좋은 거 아니야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그 기업들이 그 돈을 받아서 예를 들면 자산에 파킹을 할 수가 있을까요 그 ira 보조금 나온 그거를 파킹을 할 수가 없죠 그거는 당연히 법상으로 뭐 고용을 많이 한다든지 뭐 인프라 투자를 한다든지 이렇게 돼 있기 때문에 그만큼 그런 고용을 늘리고 인프라 투자를 하고 이런다는 건 그 고용이 된 직원들이 당장 소득이 올라음 가고 그 직원들이 어 또 예를
(31:30) 들어 밥을 먹기 위해서 식당을 가서 이제 밥을 사 먹으면 그 식당 주인들의 소득은 또 올라가고 그렇게 해서 통화가 계속 돌고 도는 거거든요 인플레이션은 항상 언제나 어디서나 화폐적 현상인 건 맞지만 광의 통화 M2 광의 통화로 인해서 보통 발생되지만 핵심적인 건 통화 승수 통화 유통 속도가 높아질 경우가 정말 굉장히 인플레이션을 의한 환경이거나 승수를 높이는 건 재정 정책에서 기인을 한다 그리고 어쨌든 지금 소수의 그니까 그렇게 절대 다수가 아닌 어떤 중산층 이상의 세이빙에 있던 돈을 쉽게 말하면 정부가 굉장히 이제 많은 대다수 분배를 해 주고 있는 겁니다 그냥 다 그말은 당연히 그 돈들이 제가 아까 처음에 5천만 명 뭐한테 간 것과 한 명한테 간 거를 비교로 예시를 드렸지만 중상층 이상의 어느 정도 저축 여력이 돼서 세이빙을 많이 하던 사람들의 돈을 빼서 그걸 정부가 직접적으로 사용처를 정하는 거죠 많은 이들 유권자들에게 표를 사기 위해서 돈을 다 뿌리는 거죠 쉽게 말하면 체킹 어카운트에 그러면 그 돈들은 당연히 당장 기름값 월세 뭐 여가 뭐 외식 이런 거에
(32:32) 식료품 이런 거에 쓰인단 말이에요 그럼 그런다는 건 통화 승수를 굉장히 높이고 굉장히 사람들이 인플레이션이 잡히려면 지출하던 걸 줄이고 저축으로 돌아서야 되는데 그죠 계속 지출을 하고 있는 거거든요 그럼 굉장히 인플레이션의 하이어 폴 로거를 걱정해야 되는 상황이다 그래서 제가 말씀드렸듯이 미국의 정부가 쓸 때는 당연히 과도한 국채 발행이 뒤따르게 되고 연준이 양적 완화를 할 수 없는 환경인 이상에는 왜냐면 지금 인플레이션이 하니까 양적 완화를 할 수는 없죠 근데 그렇게 국채 발행을 적자 재정을 팽창하는 시기에 국채 발행을 많이 하다 보면 저축 계좌에 있는 유동성을 다 국채로 가고 그럼 그 국채를 발행해 발행해서 조달한 돈으로 정부는 다 체킹 어카운트에 돈을 분배를 해 주고 있는 거죠 이런 거는 굉장히 제가 아까 말씀드렸듯이 사실은 어 제니 옐런 발 지금 대장이 누구냐 그래서 QR 더 중요하게 봐야 되고 대장이 누구냐라는 제니 옐런이 그니까 시장을 주도하는 거는 이게 이제 재무부가 주도하는 머니 프린팅
(33:36) 메커니즘이라고 저는 보고 있고요 이거는 아까도 제가 5천만 명 뭐 그리고 한 명 해서 말씀드렸지만 자산 인플레이션보다 소비자물가 인플레이션을 촉진할 가능성이 굉장히 높은 정책을 지속하고 있는 거다라고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그러면 어떻게 인플레이션을 잡을 수 있을 것이냐 저는 인플레이션이 2차 스파이크가 있더라도 일단은 확 실히 잡히는 구간이 언젠가 발생할 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다만 지금 당장은 아닌데 그게 어쨌든 시차를 두고 잡히더라도 어떻게 잡힐 수 있을 거냐라고 한다면 제가 저번에 출연했을 때도 말했던 것처럼 아직 웰스 이펙트가 충분히 더 많이 하락을 해야 된다 주식이나 부동산 등의 가격이 그리고 그거를 연준과 재무부가 모를 것이냐 저는 절대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이미 다 알고 있고 자기들의 정치적 요건과 여러 가지 생각해서 이번 qra 장기 국채를 어떻게 발행할지 결정할 것으로 보는데 이번에 제가 느끼는 거는 지금 인플레이션 문제가 다시 발현이 되고 있기 때문에 아마 지난 2월 초에 했던 그 qra 당시처럼 쿠폰 장기물 발행을 늘리지 않을까 국채 공급을 더
(34:39) 늘려서 장기 금리의 상승을 허용시 주식가 부동산의 멀티플을 낮추는 형태로 가지 않을까라고 현재는 베이스 시나리오는 그렇고요 다만 이제 5월 1일이 지나봐야 알지만 만약에 장기 국채를 확 줄인다 그래서 또 단기로 발행을 한다 장기 국채 공급을 시장에 주질 않는다라고 한 면 시장은 단기적으로 또 반등할 수 있을 겁니다 충분히 장기 금리가 하락하기 때문에 반등할 수 있겠지만 그거는 더 큰 인플레이션 문제를 조금 더 뒤로 미루는 거일 뿐인 상황이다 그래서 제가 베어 스티프닝 대한 얘기를 많이 했는데 지금 현재 주식 시장이나 이런 웰스 이팩트가 많이 떨어지기 위해서는 장기 금리가 크게 상승해 줘야 되고 그 말은 지금 커브가 이렇게 역전이 돼 있잖아요 아직도 역사상 거의 최대로 역전이 되고 있는데 장단기 금리 커브가 젠가는 정상화가 돼야겠죠 근데 앞에게 내려오는 거보다 뒤에게 올라가는 형태로 이럴가 가능성이 과거에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최근에 많은 분들이 보시는 장기 금리가 계속 상승하는 거를 보면서 느끼시지 뒤에게 올라가는 형태로 일단은 발현될
(35:43)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물론 베어 스티프닝 정상화 되는게 아니고 보통 금리 커브가 정상화 될 때 주식이 무너진다고 들 하잖아요 뒤에게 올라가는게 아니라 불 스티프닝 앞에게 내려올 수도 있겠죠 이게 급격하게 내려오려면 지금 다들 아무도 이제는 생각 안 하지만 만 급격하게 뭐 제로로 내려오던 뭐 1 2 이렇게 내려와야 이게 확 역전이 될 거잖아요 그 말은 정말 어떤 심각한 크레딧 위기가 어딘가에서 발생을 했다 갑자기 아무도 예상 못한 크레드 위기가 발생을 했다라는 건데 그런 거는 제가 지금 연준의 정책이나 여러 가지 하는 걸 봤을 때는 이미 미연에 다 방지를 하고 있다 결국엔 유동성이 많아서 생기는 위기가 발생을 할 가능성이 높은데 결국 장기 금리의 추가 상승을 조심하셔서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요 부분을 한번 보자면 이게 이제이 흰색 선이 10년에서 3개월 물을 뺀 값이거나 여기 중간에 핑크가 이제 0% 이거보다 아래로 내려오면 장기 금리보다 단기 금리가 더 높다는 얘기입니다 지금 3개월 물이 10년 물보다 더 높은 금리를 주고 있다라는
(36:45) 거죠 이게 아래로 내려오면 근데 커브 역전이 이렇게 됐잖아요 근데 사실은 이거를 아셔야 될게 어 지금 현재 커브 역전이 거의 한 540일 정도가 되거든요 53일 2008년 요때는 깊지는 않았지만 요때도 커브 역전이 거의 한 500 그니까 이게 보면은 시상으로 이게 훨씬 더 너무 깊게 내려오다 보니까 더 오래 역전이 된 거 같아 보이겠지만 2008년도 거의 500 길이 넘게 역전이 됐습니다 2008년 리세션 전에도 그리고 또 하나는 1973년에 니티티 당시 때가 5301 정도 역전이 됐었고요 그리고 1929년이 그때가 가장 길게 역전이 됐습니다 거의 600일 700일 이렇게 역전이 됐거든요 대공항 때가 근데 리세션 중에 가장 가장 그럼 얕았던 리세션이 뭐냐라고 한다면 어 1990년대 리세션이 가장 얕았던 그때 1987년에 플래시 크래시가 있 있긴 했지만 주식 시장 한 20% 정도 짧게 빠지고 그리고는 그렇게 큰 조정이 없었습니다 그때는 커브 역전이이 10년 3개월이 한 170일 160일 정도밖에 안 됐어요 그니까 그런 걸 보면은 제가 이제 모든
(37:48) 리세션 당시에 커브 역전이 어떻게 며칠간 이루어졌나 이제 살펴보면 이게 보통 얼마나 오랫동안 역전돼 있는가가 결국에 리세션 이라든지 그런 어떤 경제 위기를 더 어 발현시키다 근데 지금 유일하게 지금이 정도로 오랫동안 역전되어 있는 거를 비교할 수 있는 거는 다시 말씀드리지만 2008년 1973년 이때도 스테 플레이션 Pro 주가가 인플레이션이 그렇게 높게 되는데 높게 계속 유지되는데 주가가 명목상 50% 정도가 빠졌거든요 1929년 이때밖에 비교를 할 수가 없고요 이런 상황이 저는 굉장히 어 조금 걱정이 되는데 아마 이제 시장에 대해서 좀 아무런 전망은 이다 보니까 장기 전망은 제가 잘 안 하려고 하고 이제 좀 많은 분들이 또 싫어하실 수 있어서 근데 어쨌든 제가 말씀드리려고 하는 거는 지금 정말 상황이 좀 심각한데 장기 금리에 대한 거를 좀 많이 그 많은 분들이 좀 주시를 하시고 대비를 하시면 좋을 것 같다라고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래서 이제 기본적으로 재무부가 공격적이게 이렇게 적자 지출로 계속 인플레이션 압력을
(38:52) 높이고 있는 거는 많은 분들이 그럼 주가도 이제 계속 가겠네고 생각하지만 그거와는 상관없이 인플레이션에 하이어 거를 의미한다 어 그리고 지금은를 할 수 있는 상황은 절대 아니잖아요 정치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높으니까 그럼이 자연시장 자연 시장인 거죠 2008년에서 2020년 같이 조작된 시장이 아니라 이런 시장에서는이 이런 거를 장기 금리의 하이어 for 로거를 의미한다 그니까 더 높게 갈 수밖에 없는 근데 이거를 조절할 수 있는 키를 지니고 있는 거는 제니 옐런 있데 저는 제니 옐런이 이번 qra 그래도네 이거를 그냥 높게 허용해야 된다고 봅니다 자산 가격을 하락이 되도록 허용해야 이거를 만약에 또 안 하고 또 장기물을 아예 발행 안 하고 단기물 위주로 한다면 훨씬 더 큰 문제가 생길거다 인플레이션 압력도 더 커질 거고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는 요인이 많다 그래서 이번에 다가오는 5월 1일 얼마 안 남았죠 지금 이거를 많이들 주시를 하셨으면 좋겠고 그러면서 저는 이제 인플레이션이 하이어 폴 거일 거기 때문에 이번 위기에서는 아마 원자재가
(39:48) 좋을 거다라는 얘기를 계속 저는 과거부터 하고 있는데 최근에 이제 원자재 가격도 많이 상승을 했죠 근데이 부분은 헷갈리 많은 분들이 아니 원자재 뭐 웰스 이펙트가 무너져야 된다며 원자재가 비싸면 그것도 웰스 이펙트가 올라가는 거 아니냐 왜 유동성이 원자재는 가냐 뭐 이렇게 생각을 하실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트코인이 가격이 상승하면 웰스 팩트가 상승하는 요인이 맞죠 비트코인 가격 오은 거 믿고 와 물가는 더 올랐지만 비트코인이 훨씬 많이 올랐으니까 나는 그냥 소비해도 돼 내 월급은 똑같아도 나는 더 부자야 소비 충분히 해도 돼라고 생각하고 주식과 부동산도 마찬가지로 가격이 상승하면 웰스 이펙트를 굉장히 높여 주는 그런 요인이죠 근데 반대로 원유 가격 아니면 산업 금속 뭐 구리나 이런 가격 구리 뭐 플래티넘 뭐 이런 것들 있잖아요 그리고 농산물 이런 거의 가격 상승은 웰스 이펙트를 높이는 요인일까 제거하는 요인일까 생각을 해 보시면 그럼 반대로 완전히 제거하는 요인입니다 통화량이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는 통화량이 변화하지 않는 이상에는 원유 가격이 갑자기 오르면
(40:48) 당연히 사람들은 제가 학원을 예를 들어 자녀를 뭐 자녀 학원에 200만 원 쓰던 거를 기름값이 갑자기 원래 쓰던게 월에 20에서 100만 원이 올랐어요 그러면 당연히 걸 겠죠 줄여야겠죠 반대로 뭐 구리 같은 거는 모든 이런 전자 제품이든 컴퓨터든 이런 곳에 다 들어가는 거잖아요 그런 가격이 올라요 그럼 전체적인 물가가 소비자 물가가 오르잖아요 그러면 다른 곳에 통화량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서는 지출을 줄여야겠죠 그니까 이건 반제로 완전히 이게 원자재가 가격이 상승한다는 거는 웨스 이펙트를 제거하는 요인인데 제가 봤을 때는 지금 이게 아주 목전에 뒀다 레스 이펙트를 제거하는 요인들이 이렇게 올라가 음 그 원자재가 상승이 나타난다는 거는 장기 금리에는 굉장히 치명적인 영역 이거든요 그래서 이제 그런 문제를 좀 대비를 하시면 좋을 것 같다요 흰색이 10년 3개월 금리 아까 그거를 확대시킨 겁니다 그럼 2022년 이게 지금 7월부터 현재까지 유가와 굉장히 동일하게이 빨간색 가거든요 움직임이 유가에 뒤 따라가죠 그죠 유가가 먼저 선행하고
(41:53) 아주 주시해야 될 건 장기 금리이자 또 유가다 원유 가격이다 가격은 모든 물가나 여러 가지를 아주 큰 거를 다 상징하는 원자재인 온 만드는데도 원유가 들어가고 모든 곳에 다 원유는 들어가거든요 하다 못해 뭐 그냥 자동차 운전할 때만 들어가는게 아니기 때문에이 유가를 많이 주시하여야 되고 근데 좀 불안 요인이 아주 많다 그런 측면에서 사실 원자재 투자를 지금 뭐 많은 분들이 좀 생소하시겠지만 많이 하는게 저는 좋다라고 생각을 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이게 어쨌든 이렇게 역전된 금리가 렇게 이렇게 올라갈 때가 제일 위험한 거거든요 자 언제부터 역전 됐는지 보실게요 10년 3개월이 22년 10월에 역전이 시작이 됐습니다 22년 10월이 언제죠 주식 시장이 미국 주식 시장이 조정을 받다가 딱 바닥을 찍었을 때죠 그때부터 역전이 시작이 됐습니다 딱 정확하게 날짜까지 똑같아요 이걸 더 쪼개서 보면 과연 그러 이게 이렇게 정상으로 돌아갈 때 10년 3개월은 한 번도 물론 커브가 정상화가 되고 시차를 좀 두고 주식 시장에 하락하거나 여러 가지 측면이 있었지만
(42:55) 한 번도 리세션에 못 맞춘 적은 없어요 제가 말하는 건 리세션이 안 올 거다가 아니라 리세션에 형태가 다를 거고 유동성이 많아서 발생하는 위기이기 때문에 먼저 웰스 이펙트가 자산 가격이 먼저 떨어지고 나서야 정말 그래야 기업들도 해고를 지금 기업들이 주가가 높으니까 해고를 막 그렇게 할 유인이 많이 없어요 그렇죠 그렇죠 그렇죠 웨스 이펙트가 높은게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들에게도 영향을 끼치니다 기업들이 해고를 왜 자본 조달이 쉬우니까 주식 시장에서 근데 해고를 안 하다 보니 개인들 있잖아요 개인들도 어쨌든 소득이 계속 유지 가 돼요 거기다가 스펙트 주식이나 이런 가격은 많이 올라 있어요 특히 미국은 41k 이런게 다 자동으로 주식이 연결되기 때문에 계속 소비를 하는 겁니다 거기다가 정부의 재정 지출이 계속 받쳐주고 있고요 그런 상황인데 이제이 유가가 사실은이 장기 금리를 드라이빙하는 요소다 지금 이때부터 계속 그래서 굉장히 유가와 장기 금리를 잘 보시고 어 좀 대비를 하시는게 좋을 것 같다라고 말씀드리고 자 그러면 이제 원자재를 사면 좋다는
(43:56) 식 얘기해 주셨는데 네네 어떤 원자재 뭐 금도 있고 그냥 저는 일단 일반적으로 원자재 투자를 많이 어려워 하시니까 저 같으면은 이제 종합적으로 원자재 그냥 종합적으로 원자재를 다 균등해야 etf 있어요 아 잠깐 상품 얘기해 주셔도 됩니다 아 티코가 제가 진짜로지 저희는 이제 그런 거에 하진 않기 때문에 원자재 중에 제일 유망한 것들로 하기 때문에 한는데 일단은 원자재는 많은 분들이 좀 어려워 하시니까 그런 것들 하셔도 좋다 그거를 최소한 자기 포트폴리오에 제가 봤을 때는 최소한 30% 가져가야 된다 지금은 어 굉장히 많이 담아가는 거네요 30 굉장히 많은 부분을 제가 말씀드리는 거고 어 그리고 이제 원자재 중에 이제 제가 생각하는 거는 이제 사실은 원유가 상승하면 다 안 좋지만 그럴 기미가 너무 많이 보입니다 원유나 이런게 그래서 원유 관련 기업이나 귀금속은 최근에 많이 올라서 많은 분들이 아 이제 어떻게 더 오르겠고 얘기를 하시는데 제가 귀금속에 대한 얘기도 아주 올해부터 전부터 했고 다만 귀금속도 물론 단기적으로는 조정이 올 거예요 갑자기
(45:00) 막 몇 달만에 2,500을 금이 한 번도 도달한 적 없는 레벨을 다 뚫고 올라갔기 때문에 당분간 조정이 올 수 있지만 그게 그렇게 길지 않을 거고 내려오면 사시면 계속 좋다 반대로 비트코인은 그 금과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죠 그러니까 최근에 오히려 나스닥과 함께 좀 조정도 받고 이러고 있는데 그러니까 비트코인이 자꾸 금이나 귀금속에 대한 내러티브를 많이 따라하고 한국의 많은 분들이 비트코인을 굉장히 좋아하는 걸로 저도 알고 있어요 이게네 실제로 전 세계에서 유입되는 자금 흐름을 보면 한국이 굉장히 큽니다 비트코인에 투자하는게 비트코인은 어 내러티브는 금에 대한 걸 많이 사용하지만 사실은 다르다 본질이네 저는 그렇게 말씀드리겠습니다네 그래서 이번 위기에는 저는 장기체류가 올라서 더 오르면 어느 순간 안전 자산으로해진 기능을 잠깐 할 수 있을 거라고 보지만 장기적인 이제 텀 그래는 안전 자산의 형태가 완전히 다를 것이다 그러니까 장기체화 채권 같이 이제 보통은 안전 자산으로 인식되는 자산들은 이런 상황에서는 안전 자산이 되기가 어렵습니다 특히
(46:03) 1970년대 가장 그게 강했고 그런 측면에서 저는 말씀드렸듯이 뭔가 안전 자산은 어쨌든 원자재로 하셨으면 좋겠고 장기 금리가 저는 개인적으로 일단 한 올해 안에 제가 5.5 정도까지는 터치를 할 수 있을 거라고 보거든요 아니면 뭐 못해도 오는 다시 넘을 거라고 보는데 그 과정이 어 굉장히 주식 시장에 좀 충격을 줄 수 있다 그러니까 좀 대비를 하시고 장기 금리 보시고 투자를 하셔도 늦지 않으니까 그리고 꼭 매분기 발표되는 어 재무부의 qra 꼭 주지를 하셔라 그래서 장기 국채를 반행 안 했다라고 한다면 그냥 심플하게 말씀드리면 만기별로 그러니까 장기물을 많이 발행할지 단기물 많이 발행할지 대한 거를 발표하는 날이거든요네 그 발표에서 이제 뉴스에서 이제 좀 얘기가 나와 줄 거예요 뭐 장기물을 뭐 쿠폰을 많이 발행 안 했다 뭐 많이 했 다 뭐 이렇게 얘기가 나올 건데 굉장히 생소하시겠지만 어쨌든 중장 기물 쿠폰을 많이 발행했다고 한다면 시장에는 안 좋다 장기차 굉장히 안 좋고 그리고 어 그럴 때는
(47:08) 주식 투자도 매우 조심하시는게 좋다 그리고 당장 그게 5월 1일에 4월 29일이 이제 처음 발표 5월 1일에 이제 상세 만기별이 나오는데 4월 29일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5월 1일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이 부분을 좀 우 중요하다 예 많이 보셔야 되고 이게 왜 중요하냐면 당분간 분기마다 qra가 있고 이게 과거에도 늘 있었어요 근데 이게 왜 갑자기 지금 와서 중요하냐고 하실 수 있고 많은 분들이 충분히 그러실 수 있거든요 특히 어 한국에서는 아직 이런 qra 요런 이런 발행에 대해서 분석하시는 분들이 많이 없다 보니까 근데 이게 왜 중요하냐면 큐티를 하고 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티라는 건 연준이 보유하던 국 장기 국채를 시장의 아웃라인으로 내다 팔진 않죠 너무 충격이 주가가 내다팔 않지만 어쨌든 롤오버를 안 하고 그냥 만기가 되게 하고 그래서 보유량을 줄여가는 거잖아요 그런 큐티 구간에서는 그 그런 걸 줄이는 구간에선 재무부가 장기물 공급을 어떻게 하느냐 쿠폰을 공급을 어떻게 하느냐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근데 그거를 앞으로 미국이
(48:07) 쓸 돈은 정부가 주정부가 쓸 돈을 장기로 분명히 원래는 정상 같으면이 정도 해야 되는데 이걸 아예 안 하고 지난 4분기가 그래서 주식 시장이 이렇게 떴거나 또 단기물 발행할 수 있어요 근데 그거는 말씀드렸듯이 미래 인플레이션 압력을 또 엄청나게 더 높이게 되고 또 하나의 문제는 rrp고 지금 현재 미국의 주식 시장을 받쳐주고 있는 유동성 을 빠르게 고갈시킬 수가 있습니다 지금 그 RP 굉장히 많이 내려와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제가 봤을 때는 이번 분기에도 기본적으로 장기물을 어 지난번 마지막 때처럼 중장기 물을 쿠폰 물을 많이 발행하지 않을까 싶은데 그게 바로 시장에 영향을 끼칠지 작년 분기처리 그게 발표되자마자 주식 시장이 막 빠졌거든요 장기 금리가 5% 넘어가고 그렇게 될지 아니면 2번 2분기 럼 어 바로는 효과가 안 나타나다가 실제로 2분기 들어서 4월 들어서 국채 입찰을 할 때마다 이런 충격 테일이 엄청 나면서 충격 장기금리 상승하면서 이것까지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번에 그래서 사실 출연했을 때는 이거 하면 바로 그거에 따라 시장이 움직일 거다라고 말씀을
(49:06) 드렸는데 사실 시차를 두고 움직였 그든 네네 그게 이제 결국에는 그것까지는 알 수는 없으나 그런 부분이 매우 중요하다 어쨌든 장기적인 방향을 결정하는데 있어서는 그리고 마지막으로 그 장기물 국체를 그러면 금리를 결정하는 요인이 뭐냐라고 한다면 세 가지가 있게 있는데요 하나는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 그 국채시장에서 측정하는 장기 기대인 플레임 브레 이븐이고 있고요 또 하나는 이제 텀 프리미엄이라고 합니다 장기물의 텀 프리미엄 텀 프리미엄이 뭐냐 단기로 돈을 빌려 준 거 대신 캐시 대비 얼마나 많은 리스크 프리미엄을 줘야 될 거 아니에요 제가 예를 들어 김작가 님한테 열흘 동안 돈을 빌려 준다고 하는 것과 10년을 빌려 주겠다라고 하는 거는 굉장히 큰 리스크가 있잖아요 제 입장에서 그죠 그러니 그거에 대한 리스크 프리미엄이 있어야 금리로 뭔가 제공이 돼야 장기로 돈을 빌려드릴 거잖아요 근데 그네 프리미엄이 어떤 그거를 이제 텀 프리미엄이라고 하는데 캐시 대비 얼마나 많은 그 리스크 프리미엄을 지금 10년 장기 국체가 제공해 주고 있느냐 지금 보시는 차트 차트 한번
(50:07) 띄워 주시면 지금 보시는 차트가 1998년부터 현재까지 10년물의 턴 프리미엄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겁니다 그럼 보시면 사실 턴 프리미엄이 요때부터 양쪽 하나 하고 여기가 제로거 지금이 선이 제가 표시하고 있는 선이 근데 2014년부터 그러니까 양쪽 하나 이후에 연준이 인위적으로 계속 사 들이니까 그 이후에 마이너스로 내려가죠 오래 돈을 빌려주는데 턴 프리미엄이 마이너스로 내려가요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 되지 않나요 제가 김재 님한테 하루 빌려 주는 거보다 10년을 돈을 빌려 드리는데 연에 제가 수취하는 이자가 작아지는 거예요 이상하죠 이상하죠 말이 안 되죠 이런 왜곡된 상황을 연준이 지금 계속 만들어 내온 건데 다만 이제는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 건 지금은 자산 인플레이션뿐만 아니라 소비자 인플레이션 연결된 상태기 때문에 지금은 완전한 프리 마켓이다 그러니까 연준이 조작할 수 있는 장기 금리를 조작할 수 있는 단계가 지났다 근데 아직도 많은 분들은 왜냐면 많은 특히 제도권 분들 제도권 분들도 그 대다수의 경험이 과거 10년에 한정이
(51:09) 돼 있다 보니까 이런 텀 프리미엄이 낮은 시대 뭔가 장기 국체가 늘 계속 가격이 올라갔던 시대에 굉장히 익숙해 계세요 그니까 어떤 화폐착각 비슷한 거로 저는 하고 계시다고 보는게 이게 지금 완전히 프리 마켓이다 그러면이 턴 프리미엄이 보시면 이때는 인플레이션이 막 그렇게 뭐 70년대 처럼 심했던 때도 아닙니다 그때 턴 프리미엄이이 기준으로 거의 4% 가까이도 올라갔어요 뭐 이게 한 번에 이렇게 올라갈 거다라는 얘기는 전혀 아니고다면 제가 봤을 때 지금 턴 프리미엄이 여전히 0부 근에 있는데 이런 인플레이션이 하이어 폴 롱거가 되고 있음에도 거기다 장기 국채의 공급이 쏟아져 나오고 있잖아요 그래서 최근 이게 조금 오르고 있죠 턴 프리미엄이 이게 좀 더 많이 오를 수 있다 그니까 지금까지 최근에 이제 많은 분들이 장기 금리 왜 이렇게 또 오르냐고 하시는데 지금까지 오른 거는 어떻게 보면 좀 펀더멘탈 측면이 있거든요 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하면서 올랐습니다 제가 아까 말씀드렸듯이 장기 금리를 구성하는 거는 몇 가지가 있는데 근데 아직 턴 프리미엄이 진짜
(52:04) 상승하는 건 발현도 안 됐다 여기서 qra 옐런이 장기 국채를 많이 공급한다 그나 이제 지난번과 같이 저는 그렇게 일단 할 거라고 보는데 그러면 장기물 금리는 더 좀 위험해질 수 있으니 단기적으로 꼭 QR 잘 확인하셔랑 그리고 또 하나 이제 큐티가 이제 시작 육가이 빨간색이 제가 아까 말씀드렸듯이 가고요 흰색이 국채 시장의 10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든요 브레 이븐 레이 이거든요 유가가 제가 말씀드렸듯이 기대 인플레이션과 물가와 모든 거를 결정할 요인이라고 저는 생각을 하는데 그렇다라고 자주 말씀드리고 당분간 유가를 많이 주시하 된다 장기 금리도 장기 금리지표 하락한게이 뭐 전쟁 때 확 튀다가 고점 짓고 하락한게 사실 많이들 모르시는데 연준이 실제 큐티를 시작할 때 하락을 했습니다 큐티를 처음 어나운스 했을 때 요쯤 ES 고점을 찍었고 그리고 큐티를 진짜 시작할 요때가 시작을 했거든요 그러면서 쭉 유가가 하락을 했습니다 물론 여기에는 꼭 연준에 큐티가 시작이 됐기 때문뿐만 아니고 뭐 중국이 락다운이 너무 예상보다 길어지던 뭐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53:07) 그런 유가가 하락하면 당연히 기대 인플레이션도 같이 따라서 하락을 했죠 근데 지금은 다음 FM 치가 바로 그리 qra 있고 바로 다음 날이거든요 5월 2일이 지금은 그때 큐티를 이제 테이퍼를 어나운스 언제부터 6월부터 하겠다 뭐 이렇게 어나운스 할 확률을 굉장히 다들 높게 보고 있습니다 다 지금 그렇게 예상을 하고 있어요 이미 테이퍼를 하겠다고 몇 달 전부터 계속 얘기를 해 놓은 상태예요 그럼 과연 유가가 어떻게 되겠는가 정말 길 인플레이션이라는 건 너무 중요한 요소인데 장기 금리를 결정하게 되는 이게 어떻게 되겠는가 많이 좀 생각을 하셔야 될 때인 거 같습니다 자 그럼 많은 분들이 이제 기다리신 금리 인나는 언제부터 하는 거죠 이제 올해 상반기에는 안 할 것 같고 글쎄요 근데 물가가 지금 뭐 금리 인나 기대가 뭐 여섯 번 일곱 번까지 단기자금 시장에 sofr이라고 하는데 거기 프라이싱 됐다가 이제 지금 뭐 한 번까지 줄고 뭐 두 번 한 번 이렇게 주는 상태인데 어 제가 봤을 때는 시장의 충격이 좀 더 있을 때 올해 안에 하기는 할 것 같습니다
(54:06) 다만 시장에 장기 금리가 더 높게 올라가고 시장에 충격이 있어야 그때 할 것 같습니다 그리 지금 한율이 급하게 올라서 1원까지 찍었다가 지금 1380원대 있잖아요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요 제가 지금 현재 생각하고 있는 거는 그 시나리오가 전개가 된다면 그거는 물론 5월 1일에 그 qra 보고 나서 알겠지만 그게 전개가 된다면 어 주식 시장이 좀 더 충 을받고 막 이런 충격들이 더 이어질 거고 그때 이제 그 순간에는 오를 수 있겠지만 연준이 결국에 그럼 그때 제가 말씀드렸듯이 인하를 할 수 있다 뭔가 부적인 물가가 심지어 하이어 거인 상태에서 부적인 스탠스를 취할 수 있다라고 보거든요 그때가 달러는 정말 안 좋을 걸로 생각을 합니다 다른 통화 대비로도 그러면 이제 AI 반도체 랠리는 좀 어느 정도 끝났다고 보시는 건가요 저는 그렇게 봅니다 아 근데 만약에 이번에 저는 이제 시장에 큰 움직임은 다 크로가 정한다고 네에 또기 급을 아예 여고 유양 같은 거 재무부가 하게 된다면 그래서 장기 금리를 낮춘다면 충분히 어 AI 이런게 다시 한번 마지막 뭐 예를
(55:09) 들면 마지막 랠리를 펼칠 수도 있겠죠 단기적으로 다만 이제 그거는 이제 결국 qra 따라서 단기적인 거는 결정이 돼 있는데 장기적인 거는 제가 늘 말씀드렸듯이 그렇게 되면 인플레이션 압력을 더 하이어 롱그 압력을 허용을 하는거다 결국에 인플레이션이 계속 강해진다는 거는 절대 AI 계속 스가 들어가야 되고 계속 투자 제출이 들어가야 되는 터에서는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반도체도 마찬가지고요 반도체도 그면 지금 삼성 이제 하이넥스 약간 조정 받았는데 앞으로도 좀 안 좋게 보시 인플레이션이 계속 하이어 온거로 되게 된다면요 저는 그렇게 근데 일단 기본적으로 여러 가지를 봤을 때 그렇게 보고 있어서 그럼 아까 전에 이제 원자재나 원자재 관련 주식은 좋다고 해주셨는데 미국 주식에서 그밖에 좀 매력적 보인 주식은 좀 있으신가요 보험사 보험 는 제가 예전에도 투자를 했고 보험주는 보통 이렇게 장기금리가 올라갈 때는 괜찮은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보험사 중에 너무 과거 인플레이션이 없을 때 어 부동산이나 이런 거에 많이 투자를 한 보험사들이 있어요 그런 데들 좀
(56:13) 좋지가 않지만 왜냐면 워낙 그때 과거에 많이 돈을 어 부동산이나 대체 자산에 많이 투자를 했다면 지금까지 금리가 계속 올라왔기 때문에 보유자산 평가 면에서 좋지가 않죠 다만 이제 이렇게 시장 금리가 올라 가 금리가 높을 때 보험사들은 어쨌든 돈을 오랫동안 맡아놓고 그걸로 어떻게든 안전하게 수익을 내야 되는 집단이아요 근데 이렇게 어쨌든 명목으로도 금리가 올라오고 금리가 하이어 for 롱거가 될 거 같다라고 한다면 그거는 보험사에는 굉장히 좋은 환경입니다 그럼 좋게 보시는 건 보험사랑 원자재란 원자재 관리 주식 정도로만 또 어 아니요 아니요 그것뿐만 아니고 저는 지역으로는 저번에도 말씀드렸는데 아직 중국이 큰 상승은 안 나타나고 있지만 중국이 굉장히 너무 매력적인 가격대다 생각을 하고 브라질도 굉장히 좋게 보고 있고 미국 내 섹터라고 본다면 아직은 많은 분들이 투자하는 거는 지금 손은 안 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전 세계 전쟁이 계속 끊이지 않다 보니까 하나 에어로스페이스 같은 우리나라 방산주 주가는 좋 그때도 그때도 저는 좋다고
(57:14) 말씀드 방산주는 지금도 저는 좋게 보고 예 방산주는 물론 뭐 언제든지 그 증시가 뭐 충격을 받으면 당연히 조정도 따라 있고 하겠지만 저는 아직 더 좋다고 봅니다네 그럼 한국에서는 아 한국에서는 저는 조선주 좀 괜찮게습니다 보통 유가가 오르는 사이클이나 고런 사이클에서는 조선주가 같이 좋아지고 조선주가 사실은 지금 제가 봤을 때는 과거 오랜 기간에 적자를 끝내고 이제 그런 사이클인 약간 원자재 슈퍼 사이클을 예상하는 저로서는 어 조선주 좋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그리고 올해 11월에 미국 대선에 있어서 여쭤보고 싶은 건데 제가 많은 분 전문가에 듣기로 대선이 있는 애는 이제 증시도 대부분 좋았 왜 지금 대통이 당의 재선에 성공해야 되기 때문에 좋게 해줄 수밖에 없다 그런 얘기 하나 있는데 그런 거 어떻게 생각하시냐 플러스로 근데 지금은 바이든이 아닌 트럼프 당선 뭐 실제 까보면 어떻게 될지 모르지 바이든 당선의 확률보다 트럼프가 높잖아요 근데 트럼프는 또 아까 전에 코인에 대해서 몇 달 전에도 기사 나왔었죠 굉장히 이제
(58:18)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긍정적으로 뭔가 나는 생각한다고 그니까 지금 대선 때문에 증시가 좀 앞으로 좋을 수 있는게 아닌가 트럼 됐으 코인이 또 약간 격동기를 발휘하는 건가 코인은 정말 금 같은 경우는 너무 많이 상승하면 사실은 달러에 대한 위협이 되기 때문에 미국이 정말 좋아하지 않거든요 그니까 정치인들이 코인에 대해서 막 좋게 얘기하는 거를 너무 이제 귀담아 들으시면 안 되는게 코인은 기본적으로 전혀 위협이 되지 않습니다 미국의 그런 달러에 대한 신뢰나 이런 거에 대한 아직 시가 총액도 너무 작고 그래서 이제 그게 위협이 될만큼 시가 총액이 커질 거다라고 말하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 어쨌든 제가 보는 코인은 신용 신뢰가 없어지면 아 저이 자산이 계속 오를 거야라는 신뢰가 없어지는 순간 내제 가치가 없기 때문에 그 이제 그렇게 되는 수단으로 보기 보기 때문에 보조적인 입장에서는 코인 투자를 제가 권고 드리기는 어려울 것 같아요 네네네 자 증시는 올해 좋을거다 얘기하신 분 많잖아요 그 뭐 대선이라는 그런 말 때문에 더더욱 안 좋을 것 같아 실제 대선이 그
(59:21) 역사적으로 미국 대선 때 안 좋은 경우들이 제가 알기로 2008년이나 도 대선 연도 있고요 그러니까 꼭 일치하진 않는다 전혀네 일치하지 않고 다시 말씀드리지만 지금 요새 오히려 장단기 금리가 역전이 시작될 때만 막 장당 금리 역전됐다고 하시는데 오히려 중요한 건 역전이 풀리고 나서거나 물론 풀리고 나서 시차를 두고 하락하는 경우도 있고 풀리면서 바로 하락하는 경우도 있는데 제가 아까 차트에서 보여 드렸듯이 22년 10월부터 바로 주식이 반등을 한 것과 여러 가지 지금 상황을 감안하면 저는 베어 스티프닝 정상화가 되는 순간에 주식이 더 크게 하락을 받을 것 같은데 아까도 도 제가 말씀드렸지만이 기간이 역전 기간이 길어진다는 건 아직 이게 뭐 과학적으로 어 누군가 인증해 주고 이런 건 아닙니다 원래 매크로에 그런게 없기 때문에이 역전의 기간이 정말 이거를 심각하게 보셔야 돼요 역전의 기간이 지금 540일 있데 제가 하나하나 다 세 봤을 때 역전의 기간과 침체의 깊이가 일치하다 제가 말하는 침체의 깊이라는 건 주식 시장의 하락 깊이도 말씀을 드리는
(1:00:19) 겁니다 그러면 54일간 유일하게 비견할 수 있었던게 08년 73년 그리고 대공항 1929년 이란 말이에요 그럼 그 세 가지 모두 주식 시장이 최소 50% 다 하락했던 대공황은 훨씬 더 많이 하락했고 실제 근데 아무튼 그런 구간이기 때문에 이게 그리고 제가 매크로를 정말 근접하게 보는 입장에서는 왜냐면 고객자산에 운용을 해야 되니까 그 지금 온갖 저희가 올해 굉장히 수익률이 지금 잘 올라왔거든요 근데 그런 차원에서 봤을 때 저희가 가지고 있는 자산들의 그걸 모니터링하는 입장에서는 굉장히 여러 시그널이 나오고 있다라고 말씀을 드리고 싶어요 그래서 아무튼 좀 대비를 하셨으면 좋겠어요 한국분들이 대표님과 한 분기나 반기에 한번 뵙고 있는 거 같은데 또 다음에 뵙기 전에 2024년 그금 주시 포인트 눈여가 변수 한번 집어 주시면서 지금 개인분들 어떻게 시장에 좀 대응해야 될까요 아 그리고 요거 하나 말씀드릴게요 원유 같은 경우는 제가 지금 보고 있는 인플레이션의 장기와 리세션 오는데 인플레이션도 계속 유지되는 이건 스택 인플레이션이 든요 사실은 굉장히 안 좋은 상황이긴
(1:01:22) 한데 그 스태그 플레이션 안에서도 기회는 굉장히 많습니다 근데 만약 스 플레이션이 아니라 알고 보니 전형적인 결국에 장기 금리가 더 올라간 걸 원자재 차도 견디지 못하더라 그래서 원자재도 같이 꺾이는 상황이 나타날 수 있거든요 근데 이걸 아셔야 될게 그 상황에서도 원유는 보통 2008년도 그렇고 지금까지의 모든 리세션이 많이 있었잖아요 뭐 미국이 총 한 뭐 아홉 번이었다 이렇게 있었는데 2020년 하고 대공항 man 빼놓고는 다 원유가 바로 주식이 붕괴하기 직전까지는 원유 가격이 한 450% 올랐습니다 그 말은 그 원유 가격이 오름으로 인해서 경제 가 그거를 이제 못 버티게 되는 그런 현상이 발생을 하 제가 아까 말씀드렸지만 웰스 이펙트를 제거하는 요인이다 그래서 지금 만약에 원유 가격이 내려간다면 저도 지금 답을 정해 놓고 하는게 아니고 이렇게 될 겁니다 시 시나리오를 만들어 놓고 저는 고객 자산을 보는 입장에서 그걸 책임져야 되기 때문에 이제 그 가능성을 계속 보면서 모니터링해서 그거에 따라 투자를 하는데 그거에서 아주 중요한게 제가 말씀드린게 qra
(1:02:19) 꼭 여기서 장기물을 어떻게 발행하는 확인하셔랑 그리고 그거를 그게 이제 3분기에 어떻게 발행할지 대한 얘기니까 그런 걸 좀 염두를 해두시고 큰 그림을 그리셔야 분기마다 또 하나는 최소한 큐티가 끝나기 전까지는 또 하나는 제가 말씀드렸던게 장기 금리 이제 그거는 qra 측면으로 보시면 되고 유가 원유를 좀 투자를 하시고 원유가 어떻게 흘러가는지 굉장히 중요하다 근데 원유가 만약에 단기적으로 빠진다 제 예상과 다르게 충분히 그럴 수 있고요 빠진다고 한다면 그거는 오히려 지금 상황에서 주식 시장에는 굉장히 좀 좋을 수 있는 상황이다 그러니까 마지막 다만 저는 커브가 너무 오래 역전돼 있기 때문에 어차피 결국에는 문제가 생길 거다라고 보는데 원유 가격이 일단 크게 빠져 준다고나 한다면 최소한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인한 그거는 아닐 가능성이 있어요 지금 상황에서 빠진다면 근데 반대로 원유가 어쨌든 확률적으로는 투자하기가 좋은게 말씀드렸지만 아까 전형적인 리세션 스택 플레이션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보통 2020년 하고 1929년 빼고는 지난 100년 기준으로 본다면
(1:03:24) 다 원유 가격이 직전까지 한 40% 50% 더 상승을 하기 때문에 확률 자체가 많은 분들이 생각 그냥 단순한 확률 관점에서 봤을 때 저는 어떤 답을 정해 놓고 하는게 아니라 보면서 계속 맞춰가는 거 그렇기 때문에 그런 관점에서 사실은 유리한 측면이 있다 제가 지난번에 출연했을 때도 원유에 대해서 얘기를 많이 했는데 대표님이 늘 공포를 조송하 닥터송 같은 분은 아니시죠 전혀 아니고요 전혀 아 지금이 시점에 이제 전혀 아니고 저는 2020년도 한번에 제가 예전에 블로그를 많이 썼는데 그때 정말 주식 사야 된다라고 얘기하 거 정말 없고 저는 너무 지금도 아 말씀드릴게요 저희가 운영하는 이제 뭐 전략이 솔직히 말하면 미국 그런 AI 이런 쪽에 지금 10% 정도 숏스 들어가 있습니다 다만 90% 다롱 있니다 90% 원자재 롱이 된 주식 롱에든 90% 롱이요리연구소 오히려 다우 같은 경우는 최근에
(1:04:29) 하락도 보시면 AI 다보다 훨씬 많이 빠지잖아요 쉽게 말하면 미국 주식이라고 굳이 투자를 하시겠다고 한다면 차라리 좀 굴뚝주 이런 것들을 저도 굴뚝주 많이 가지고 있거든요 그런 것들이 굉장히 오히려 너무 저 평가고 장기적으로 좋을 가능성이 높다 알겠습니다 대표님께서 이제 시장의 공포로 조성하기 위해서가 여러분들이 대비하기 위해서 만드는 거고 그리고 혹시나 그런 위험한 상황이 와서도 투자할 곳은 있다 지금 재도 저희는 현금 하나도 없고 다 투자하고 있습니다 90% 다롱이고 뭐 미국의 굴뚝 주나 뭐 중국이나 브라질이나 뭐 보험사 원자재 원자재 관련 주식 그런 종목에서도 우리에게 기회는 있다 그리고 코인은 좀 조심해야 된다 코인은 아 전 장기적으로 늘 조심 당 단기적인 얘기가 아니고요 알겠습니다 자 또 몇 개월 지나서 대표님이 이야기가 얼마나 잘 맞아떨어졌고 우리가 얼마나 잘 대했는지 한번 또 점검해 보는 시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오늘 만남에 손님은 선차 대표 님이었습니다 진가 여러분 소중한 시간 함께 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오늘도
(1:05:26) 김작가 있습니다 고생 마셨습니다네 감사합니다 [음악]
'Youtuber_김작가TV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김작가TV - 앞으로 집 값,, 큰일났다, 채상욱 대표 (1) | 2024.05.14 |
---|---|
[요약리뷰] 김작가TV - 기회? 부자되는 기회??, 전영수 교수 (0) | 2024.05.10 |
[요약리뷰] 김작가TV - 주식으로 돈벌어보자, 박성현작가 (1) | 2024.05.06 |
[요약리뷰] 김작가TV - 집값 정말 큰일난다, 박은정 감정평가사 (1) | 2024.05.04 |
[요약리뷰] 김작가TV - 중국이 대만 점령하면 큰일난다, 문근식교수 (2) | 2024.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