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요약]
본 영상에서는 대한민국의 자살률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최근 한국자살예방협회에서 발표한 긴급성명에 따르면, 2024년 1월 자살 사망자 수가 32% 증가하였으며, 특히 남성 사망자의 증가가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국가적 위기로 인식되어 긴급 대책 마련이 요구됩니다. 영상에서는 대한민국의 자살률이 OECD 국가 중 가장 높으며, 출산율은 가장 낮은 상황을 지적하며, 사회적 문제로 인한 정신적 고통이 자살률 증가의 주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정신 건강에 대한 관심과 예산 투입이 매우 부족함을 비판하며, 자살 예방 및 정신 건강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English Summary]
This video addresses the issue of South Korea's suicide rate. According to a recent emergency statement by the Korea Suicide Prevention Association, there was a 32% increase in suicide deaths in January 2024, with a significant rise among male deaths. This is recognized as a national crisis, necessitating urgent measures. The video points out that South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while having the lowest fertility rate. It suggests that social issues leading to mental distress are the main causes of the rising suicide rate. The video criticizes the lack of attention and funding for mental health, emphasizing the need for proactive strategies to prevent suicide and improve mental health care.
출산율은 꼴찌, 자살율은 1위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aWvV_ogHbg4
Transcript:
(00:07) 자, 네 번째 얘기는 조금 하기는 싫은데 어쩔 수 없이 해야 되는 얘기가 하나 있어서 대단히 짧게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 이 늘어나는 자살에 대한 얘기인데요 우리나라 얘기죠 왜냐하면 제가 지금까지 자살 얘기를 많이 했는데 많이 했기 때문에 더 이상 안 하려고 그랬어요 좋은 얘기도 아니고 근데 얼마 전에 뭐가 있었냐? 잘 모르시겠지만 4월 4일 날 한국자살예방협회에서 긴급성명서를 발표했습니다 이것 때문에 갖고 왔어요 1월 자살 사망자가 32% 증가했다 국가적 위기로 인식하고 대책이 필요하다 긴급성명을 냈는데 성명의 내용을 보면 코로나 회복기가 다가오고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리오프닝을 하고 이러다 보니까 임금도 오르고 상대적 박탈감이 증가하는 시기다 게다가 봄이 되고 있습니다 좀 이따 나오지만 봄은 우울증 있는 사람들한테는 제일 위험한 계절이라고 할 수 있는데 1월에 사망자가 작년, 평년, 2021년, 2022년, 2023년 보통 1,000명 내외인데 1,300명으로 뛰었다는 거죠 전문가들이 주로 코로나 회복기에 절망감이 늘어날 수 있으니까
(01:08) 조금 위험할 수 있다고 생각해서 주의 깊게 보고 있었는데 2024년 딱 들어오니까 그런 모습이 보인다 국가적 위기로 인식하고 긴급한 대책이 필요하다 라고 발표를 한 겁니다 특히 한국자살예방협회에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올 1월 자살자 급증에는 남성 사망자의 증가가 두드러졌다 여성은 한 30분 정도 늘었는데 그래도 많이 늘었죠 이것도 한 10% 늘었죠 남성은 300명이 늘었어요 쓰읍... 왜지? 진짜 박탈감 이런 게 있어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왠지 모르지만 와 말도 안 되죠 1월 한 달에 남성 사망자가 자살로 1,000분 가까이가 돌아가셨으면 하루에 30명 넘는 인원이 남자만 따져도 물론 여자도 많죠 여자도 하루에 10명 넘는 분이 돌아가신다고 할 수 있는데 말이 안 되는 사태가 지금 펼쳐지고 있는 거죠 대한민국의 자살률 추이를 보면 요즘에 내려오고 있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내려오고는 있죠 근데 생각보다 이만큼 내려갔어요 우리 올라간 걸 보세요 얼마가 올라갔는지 이게 1950년이 아닙니다 여기가 1990년이에요 90년 이만큼 올라갔는데
(02:12) 요만큼 내려온 거예요 참고로 웬만한 나라들이 자살률이 10만 명당 20명이 없어요 20이면 최상위권입니다 최상위권 15 이상도 잘 없어요 보통 OECD 평균 10입니다 10 10이 어디냐면 여기예요 여기 근데 우리는 엄청나게 높게 있는데 잘 내려 오지를 않고 있다는 거죠 그리고 착시가 있어요 자살률이 내려온다고 생각하는 착시가 왜냐하면 65세 이상 어르신들의 자살률이 많이 내려왔습니다 다행히 우리가 복지도 늘리고 국민연금도 하고 기초연금 다 하면서 많이 내려왔는데 또 옛날 우리 정말 나이 많으신 분들은 자신을 돌보지 않고 자식들, 자식들 하다가 어려움을 많이 겪었는데 그 세대도 좀 지나가서 그래도 많이 내려왔는데 문제는 어르신들은 내려갔는데 그렇지 않은 15~65세, 우리들은 못 내려갔어요 착시가 있어요 내려오는 건 여기가 내려오는 거지 우리는 변하지 않았다는 거고 2023년에 자살로 인한 사망자가 와, 말이 되나? 13,361명이었습니다 안 줄고 있어요 16만 명 비해서는 줄었지 근데 이거는 비정상이고 이때는 금융위기 때예요 금융위기 때
(03:14) 여긴 IMF고 여긴 금융위기입니다 뿅 텄을 때를 제외하면 사실상 엄청난 점프 이후에 옆으로 가고 있다 그니까 엄청난 점프를 했을 수도 있지 그러면 엄청나게 줄여야 될 거 아니에요? 이런 모습으로 그런 모습이 전혀 없는 거죠 그냥 옆으로 가고 있다 그리고 연령대별 자살률을 보면 물론 전 세계 공히 어르신들이 많이 돌아가시죠 그걸 좀 제하고 보면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가 하나같이 20이 넘어요 1~29까지, 하나같이 높아요 다 높다고 보시면 되고 심지어 우리나라 자살률이 내려가는 거는 고령자는 아까 내려간다고 말씀드렸지만 10대, 20대, 30대는 지금도 자살률이 올라가고 있습니다 내려가지 않아요 내려간다는 아까 말씀드린 약간 착시가 있는 겁니다 그래서 너무나 유명한 OECD 기준 자살률 1위를 보면 당연히 대한민국인데 정말 놀랍죠? 출산율은 뒤에서 1등인데 자살률은 앞에서 1등이야 이 나라에 등장은 안 하는데 퇴장은 자기 의지로 퇴장하는 거잖아요 너무나 많이 하는 22.
(04:16) 6이면 압도적입니다 압도적 평균이 10.6이에요, 10.6 우리나라보다 훨씬 더 노인 분들이 많은 초고령 사회 일본이 15야, 15 그런데 우리나라는 내려와서 22.6 이러니까 말도 안 되는 숫자 총기 자유국가 미국이 15가 안 돼요 그 나라보다 10이 높은 겁니다 10이 거의 두 배라고 볼 수 있고 자살률이 전 세계에서 제일 높지는 않은데 전 세계 모든 나라를 보면 우리나라보다 자살률이 높거나 비슷한 나라는 경제가 박살 난 베네수엘라 마약, 갱단 이런 데가 설치는데 아니면 아프리카 정말 여기도 말 그대로 내전 그런 나라 아니면 전쟁 러시아, 그리고 대한민국 다른 나라들은 이유라도 있지 여기는 전쟁하는 것도 아니고 북한하고 지금 포 쏘는 것도 아닌데 경제의 난도 아니고 왜 그런 일이 있냐 게다가 대한민국에서는 굉장히 특이한 일이 있는데 우리나라가 원래 자살률이 높았던 나라가 아닙니다 무슨 말이냐? 왼쪽이 국가별 연도에 따른 자살률 표인데 대한민국 어디 있냐? 여기 있습니다 일본은 어디 있냐? 일본은 이거예요 내려온 거 이거 옥색 미국은 이 보라색 그리고 영국은 이 깔려있는 거
(05:19) 우리는 1990년대에는 거의 영국 수준의 자살률 물론 통계가 제대로 안 됐을 수도 있지만 우리나라 통계가 그렇게 막 엉망인 나라는 아니니까 5~10사이였어요 1990년대에 그랬는데 2010년까지 얼마로 치솟냐? 5~10 사이였던 국가가 25를 넘어가는 이런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게 전 세계 다른 나라는 모르겠고 OECD 정도 치면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많이 늘어난 나라입니다 한국의 1990년에서 2010년까지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냐 완전히 크로스를 냈거든요 다른 나라들 완전히 크로스예요 일본을 보면 내려갔잖아요 그런데 우리는 올라갔습니다 대부분의 나라가 그래요 거의 대부분의 나라가 한국에 이때는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가 저도 답은 모르겠는데 이건 뭐 교수님들이 연구를 해보셔야겠죠 그냥 제 개인적인 생각을 해보자면 말 그대로 망상이죠 망상 1990년대, 2010년대는 물론 중간에 IMF도 있었지만 우리나라 경제적 최전성기였거든요 최고 성장률 강남에 집 잘 사면 부자가 되고 못 사면 좀 어렵고 근데 그때 자살률이 3배가 늘어났어요
(06:24) 출산율은 40% 감소했습니다 사실 경제적 최전성기면 거꾸로 돼야 되잖아요 자살률은 반으로 감소하고 출산율은 3배로 늘어야 되는데 우리나라 이때는 정말 어떤 시대인지 저도 살아봤지만 제 느낌에 진짜 경쟁 그 자체 밀림? 정글? 잘만 하면 엄청난 부자가 될 수도 있고 잘못하면 그냥 사회적 낙오자로 떨어져 말 그대로 정글 같은 시대였죠 엄청난 경제적 팍 치고 올라가던 때니까 따라가야 되는 시기 제 느낌에 그렇습니다 따라가야 되는 시기 아니면 뒤처지는 시기 그리고 외신은 이렇게 얘기하더라고요 그 당시에 대한민국은 성공 지향적인 사회 돈이나 사회적 지위, 무조건 성공해야 되는 다 성공하잖아 그때 근데 나만 성공 안 하면 나는 낙오자죠 다 성공하는 시대 게다가 우리나라에서는 그 성공이 돈이죠 돈 얼마나 많은 부를, 다 먹던 시대니까 못 먹으면 이상한 그런 느낌으로 받아들였고 그래서 BBC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전국민이 성공을 위해 이 싸움에 참전했다 전통적인 유대의 줄 뭐 이런 거 없죠 그런 거 ㅎㅎ
(07:28) 옛날 얘기고 성공을 위해 이 싸움에 참전을 했고 그래서 대한민국의 자살 동기를 보면 어르신들은 대부분 경제적 요인입니다 그런데 전체로 보면 압도적 1위가 정신적인 문제 괴롭다 물론 남성은 한 절반 정도 되는 것 같아요 정신적 문제도 있고 경제적 문제도 굉장히 크게 얘기해요 어르신들은 경제적 문제인데 여성은 무조건 정신적 문제고 다 합쳐도 40%가 괴로움을 얘기합니다 괴로움 돈이 없다는 건 상대적인 거니까 우리나라에서 돈이 없어서 굶거나 그런 건 아니잖아요 경제적 문제도 물론 높지만 정신적 문제가 무려 40% 게다가 끝없는 경쟁을 한다는 말은 결국 승리자가 있고 승리자가 있으면 낙오자가 있는데 대한민국은 이제 보여드리겠지만 낙오자는 잘 배려하지 않습니다 한국 자살 피해자의 90%가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한 정신 건강 상태를 가지고 있다는 뉴스가 있는데 정확한지 모르겠지만 그럼 치료하면 되지 않냐 우리나라는 OECD 1위의 자살률을 가지고 있는데 이게 진짜 놀라운데 자살에 관련된 인력이나 예산은 거꾸로 거의 뒤에서 1등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08:30) BBC는 2018년 값을 얘기했는데 한국의 자살 예방 예산이 1,680만 달러 한 300억? 일본은 7억 9천만 달러였다 50배 차입니다 50배 차이 그러니까 우리나라는 이쪽으로 돈을 안 써요 뭐 R&D하고 더 승리하고 더 성장하고 더 발전하는 데 써서 그런지 모르겠는데 안 써요 이거를 우리나라 신문에서 자료를 가져와 보면 국가별 정부 부처의 자살 예방 예산을 합해보면 우리나라 OECD 자살률 1위입니다 대한민국은... ㅎㅎ 잘못된 자료가 아닌가라고 생각했는데 처음엔 머니투데이에서 갖고 왔는데 451억 나왔어요 미국 뉴욕주가 3조 9천억이랍니다 일본은 말할 필요 없고 6조 7천억 야 이거 뭐야 이거 이거 몇 프로라고 해야 됩니까 1%죠 1% 그니까 자살 예방이나 뭐 이런 쪽에 OECD 1위인데 이상하게 돈이나 관심이나 이걸 막겠다는 그런 의지가 안 보이고 대한민국 안전 분야별 사망자와 예상 역시 머니투데이에서 가져왔는데 산업재해가 있고 교통사고가 있고 자살이 있습니다
(09:34) 우리를 죽음으로 이끄는, 병을 제외하면은 대표적인 안전이 관련된 거죠 보면 사망자는 산업재해가 매년 2,916명 엄청나게 많죠 교통사고도 2,080명 많이 줄였어요 자살은 13,352명입니다 산업재해와 교통사고를 합친 거에 2배가 넘어요 산업재해로 우리가 1년에 쓰는 예산이 대충 1조 1,000억 정도 된대요 1조 2,000억 교통사고에 쓰이는 예산이 7,200억인데 여기는 뭐 아마 민간 그것도 합친 걸 거예요 880억이 찍혔어요 죽는 거는 6배인데 예산은 10분의 1 산업재해나 교통사고는 자기의 의지에 뜻하지 않은 거니까 그걸 막으려고 노력하는 것 같은데 자기 스스로 목숨을 끊는 분들한테는 왠지 모르겠어요 왠지 모르겠는데 관심이건 예산이건 대단히 대단히 적다 저도 모르겠습니다 왜 그런지 거꾸로 돼야 되는 게 아닌가 우리나라가 OECD 자살률 1등인데 매년 1만 3천 명이 자살로 돌아가시고 매일 35명입니다 매일 35명 매시간 1~2분 게다가 한 분이 자살하면 이 한 명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10:38) 주변에 있는 가족들은 고통이 말이 필요 없죠 말이 필요 없습니다 입에도 못 올리잖아요 입에도 못 올리고 매년 1만 3천 명이라는 건 매년 코로나가 온다는 말과 비슷한데 이쪽에 대해서는 너무 무관심한 게 아니냐 사회적 안전망이 너무 없는 게 아니냐 그게 주변인들의 반응인데 여러분들도 조심하라고 제가 이걸 보여드립니다 안 좋은 일이지만 건강보험공단에서 나온 건데 경고신호를 자살 사망자의 대부분이 보낸다 94%가 보내는데 주변인 중에 그 경고신호를 인식한 비율이 22.7% 그리고 나머지는 인식을 못했는데 왜 그러느냐? 이게 대표적으로 나온 글을 제가 그대로 갖고 왔는데 내 아이가, 내 동생이, 또 내 친구가 그럴 줄은 몰랐다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걱정만 했지 그럴 줄은 몰랐다는 건데 실제가 되는 거죠 자, 그리고 과거에 대한민국과 비슷한 나라가 있었습니다 그게 바로 세계에서 가장 우울한 나라로 불렸던 핀란드입니다 핀란드는 지금 대한민국과 자살률에 있어서는, 상대가 안 된다기보다
(11:44) 우리가 안 좋은 거죠 옛날에는 엄청나게 높았던 나라예요 20~25, 거의 대한민국의 지금과 비슷한데 그런데 핀란드는 1990년을 기점으로 대한민국과 완벽하게 크로스가 납니다 핀란드의 자살률은 1990~2020년 사이에 완전히 반토막이 났고요 한국의 자살률은 1990~2020년 사이에, 이게 몇 배입니까? 4배? 3배? 이게 말이 안 되죠 1990년 기준으로는 핀란드의 자살률이 우리나라의 4배예요 4배 압도적으로 정말 우울한 나라 그 자체였는데 지금은 역전됐어요 한국이 2배입니다 우리와 핀란드가 뭐가 달랐냐 물론 우리는 경계 성장이 엄청나게 빠르게 있었죠 지금의 핀란드는 얼마 전에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를 꼽았을 때 1위에 뽑혔습니다 대한민국은 예전에 슈카월드에 한번 나왔는데 해당 조사에서 61위였죠 세계에서 가장 행복한 나라 61위가 대한민국 1위가 핀란드였는데 핀란드는 지난 30년의 노력 끝에 자살 건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었다 핀란드가 자살 건수를 줄일 수 있었던 이유는 우리나라도 물론 비슷한 걸 하긴 하는데 1996년에 국가 자살 예방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12:47) 우울증 치료 개선, 더 빠른 조기 발견, 더 나은 치료법 이런 걸 내세우면서 정신 건강 지출을 확대하고 정신병원의 병상 수를 늘리죠 특히 1990년대 뭐가 발견됩니까? 항우울제가 등장해요 이게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고 합니다 좀 좋은 약 조금 더 우울한 걸 조금 막을 수 있는 부작용이 조금 적은 약 항우울제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고 하고요 핀란드가 특히 해냈던 거는 이 나라는 1990년대 모든 자살자 중에 80%가 남성이었던 나라인데 그거를 굉장히 크게 낮췄다 남성 자살률을 크게 낮춰서 60%까지 낮췄고 오히려 요즘에는 심리적, 정신적으로 어려운 여성의 문제가 부각되고 있는 게 핀란드의 오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딱 대한민국과 반대되는 모습이죠 그래서 OECD 자료를 보면 2000~2011년 국가별 자살률 증감을 보면 대부분의 나라가 줍니다 늘어나는 게 말이 안 되잖아요 경제성장을 더 하는데 대부분의 나라가 줄었고 핀란드도 굉장히 많이 줄은 나라예요 그런데 세계에서 늘어난 나라가 몇 개 있습니다 그리고 규격 외의 나라가 있어요
(13:50) 맨 아래 이 말도 안 되는 장대 양봉을 그려 준 나라 이게 바로 대한민국입니다 말도 안 되게 늘어났죠 표를 뚫었어요 포르투갈이 그나마 좀 높고 나머지 멕시코, 칠레 이런 나라하고 같이 있으니까 핀란드와 대한민국은 극과 극을 보여줬다 라고 할 수 있죠 그리고 제가 인상 깊어서 갖고 온 건데 핀란드 의사 선생님 인터뷰 중에 나온 내용인데 우리나라의 지금이 좀 불안해서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이 우울한 분들에게는 봄이 가장 힘든 시기라고 해요 봄 꽃피고 하면 우리는 더 좋을 수 있는데 우울증 있는 분들한테는 정말 힘든 시기 지금이죠 지금 지금이니까 우리가 주변을 잘 둘러봐야 되는 그런 상황이라고 할 수 있죠 핀란드와 우리가 뭐가 달랐냐 우리는 어떻게 해야 되냐는 걸 조금 잘 생각해봐야 될 때라고 할 수 있고 대한민국 사망자 중 자살의 비율이 진짜 말도 안 되죠 아래가 일본, 핀란드, 미국을 제가 갖고 왔습니다 근데 거의 웬만한 OECD 국가들 찍어도 다 똑같아요 대한민국만 여기 있습니다 사망자 중 자살의 비율이 6%를 넘었던 나라라고 할 수 있고
(14:50) 국가별 10대, 20대, 조금 청년들 미국은 1950년대부터 보면 약간 는 다음에 유지됐죠 일본은 감소한 다음에 기고 있습니다 핀란드도 늘었다가 감소하고 있는데 대한민국은 증가하는 모습 성별 자살률도 똑같습니다 그냥 자살에 관해서는 전 세계가 감소라고 보시면 돼요 전반적으로 방향이 감소입니다 다 내려가죠 남자, 합한 거, 여자 다 내려가는데 대한민국은 2000년 이후에 남성 자살률 여전히 높고요 합한 것도 여전히 높고 여성도 예외가 될 수는 없었죠 이런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제가 인상적이었던 기사가 하나 있었는데 2021년에 세계적으로 히트했던 대한민국의 오징어 게임이라는 콘텐츠가 있죠 정말 뭐 말도 안 되는 히트를 했죠 FP가 여기에 대해서 한 줄 평을 내놨습니다 이렇게 내놨어요 한국의 절망을 감각적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유럽에서는 이런 상상을 할 수가 없다 한국이니까 상상 가능하다 456억의 상금을 걸면 죽음도 불사할 수 있죠 우리는 불사할 수 있지 우리 대한민국의 그런 인식, 우리의 느낌 절망이 그대로 녹아 들어가 있던 작품이라는 말을 했는데
(15:55) 우리 한국 사회에 대한 완전히 디스토피아적이고 분열된 견해를 보여준 영화였다 한국은 2007년 이후 젊은이들 사이에서 자살이 사망원인 1위를 차지했다 젊은 분들이 사망원인 1위가 자살이 당연하다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이건 우리나라가, 한국인들은 그렇게 생각할 수 있는데 이거 아니에요 왜냐하면 미국만 보더라도 당연히 10대거나 아니면 더 어리거나 20대거나 사망원인 1위는 뭡니까? 사고예요, 사고 거의 대부분의 나라가 사고로 돌아가시죠 젊은 친구들은 병이 잘 있는 나이가 아니니까 사고의 75%는 보통 자동차 사고입니다 자동차 사고 자동차나 오토바이 이런 거 조심해야 되는 이유가 여기인데 이건 미국인데 미국은 2위가 살인이죠 자살이 3위예요 근데 한국은 자살이 1위인 그런 나이대가 있다는 거죠 FP가 이런 말을 했습니다 아 이건 아닌 것 같은데 이 나라를 죽음이나 이주를 통해서만 탈출할 수 있는 죽음의 왕국, 헬조선 아니야x2 이건 아니야 이 정도까지는 아니야x2 그냥 우리가 우리를 자조적으로 얘기하는 거지 죽음이나 이주를 통해서 탈출할 수 있어서 그런 건 아닌데
(16:54) 부유하고 성공적인 사회가 있는 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의 수많은 절망이 있는데 그걸 우리가 적절히 대처하고 적절히 치료하지 못했던 거죠 거기에 대한 예산을 쓰지 않고 거기에 대한 관심을 두지 않고 심지어 저는 이 말이 되게 인상적이었는데 수많은 연예인들이나 아니면 수많은 유명인들이 한국에서 자살했다는 뉴스가 정말 언론에 많이 나옵니다 미국에선 저렇게 문화 아이콘들이나 어떤 정치인들이나 아니면 유명한 기업가들이나 이런 사건이 있으면 자기 성찰을 촉발하고 그런 걸 줄이기 위해 어떤 노력으로 이어지는데 한국에서는 놀랍게도 그런 문화 아이콘들이 자살을 하면 그냥 가십이야 한국에서는 자기 성찰이나 아니면 그것을 통한 예산이 확대된다든지 정신적 치료에 뭐가 된다든지 정신과가 늘어난다든지 그게 아니라 그냥 가십으로 끝나고 말고 한국에서는 그렇게 촉발되는 모습이 보이지 않는다는 거죠 굉장히 좀 안타까운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래서 지난 2023년 5월에 물론 우리나라도 합니다 뭘 합니까? 1차, 2차, 3차, 4차가 있었고 지금은 제5차 자살 예방 기본 계획이 발표가 됐어요
(17:56) 작년에 5차지만 아직도 옆으로 가고 있다는 게 문제인데 한국의 목표는 2027년까지 자살 사망자 30% 감소가 목표예요 인구 10만 명당 30% 감소를 하겠다 26명이었는데 와 말도 안 되는 숫자죠 2020년 26명을 18.2명 18.2명도 말도 안 되는 겁니다 아까 보여드렸지만 OECD 평균 10.6이에요 18.2명은 그거에 비해서 70%가 높은데 그게 목표입니다 우리의 목표 2027년까지 자살로부터 안전한 사회 지역 맞춤형 자살 예방 정책 고위험군 집중관리 자살 시도자나 유족들에게 그래서 이거 보면 5대 추진 전략과 15대 핵심 과제가 있습니다 생명 안전망을 구축하고 정신건강을 어떻게 치료하고 사후관리하고 대상자 맞춤형 자살 예방 뭐 이것들이 15개, 되게 길어요 되게 긴 뭐가 있는데 좀 잘 되기를 그리고 더 적극적으로 해야겠죠 우리나라가 OECD 1위 자살 13,000명이 1년에 돌아가신다는 걸 생각을 하고 우리나라의 예산이나 투입되는 인력이 제가 보기엔 말도 안 된다 정신건강의 당연한 확대 심리치료나 우울증 이런 치료나 약을 더 많은 분들이 받고
(19:01) 더 할 수 있도록 더 늘리고 이거 뭡니까? 옛날에 우리나라는 검진주기가 10년이었대요 우울증에 관해서는 이거 검진하는 분들도 많이 없죠 검진이 약한 걸로 되게 유명한데 건강검진 받듯이 누구나 받을 수 있고 누구나 약을 처방을 받을 수 있고 요즘에 핀란드에서 나왔지만 항우울제 같은 게 처방하면서 굉장히 우울감이나 자살률이 내려갔다는 그런 선례가 있으니까 우리나라도 저는 병원은 잘 모르겠는데 더 많이 늘어나고 여러분들이 언제나 좀 더 받을 수 있도록 한국이 자살률 1위라는 게 말이 안 되잖아요 굉장히 심각한 게다가 1월 달에 32%가 늘었다 국가적 유기다 라는 말이 4월 4일 날 한국자살예방협회가 긴급 성명서를 발표해서 국가적 유기다 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말이 아니고 일회성이 아닌 출산율 뿐만 아니라 이것 또한 굉장히 중요시해야 되는 상황이 아닌가 생각을 해봅니다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환경보호? 누가 주체인가? (1) | 2024.04.28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살살 녹는 내돈 (2) | 2024.04.26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스쿼팅을 아세요? (2) | 2024.04.18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전기가 모자라 (1) | 2024.04.17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문과의 미래 (1) | 2024.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