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요약
최근 주식시장, 특히 나스닥과 코스피가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엔비디아(-8.48%), 테슬라(-3%), 브로드컴(-7%) 등 대형주들이 크게 하락했습니다. 이러한 하락의 주요 원인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 발표입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3월 4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관세, 중국에 추가 10% 관세(총 45%)를 부과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공식적인 이유는 마약 통제지만, 실제로는 미국에 가장 많이 수출하는 1, 2, 3위 국가들을 겨냥한 것으로 보입니다. 더 나아가 4월부터는 추가 관세도 계획 중입니다.
이에 멕시코는 미국과 동일한 수준으로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제안했습니다. 이는 멕시코를 통한 우회 수출을 막고 미국의 관세 부과를 피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또한 트럼프는 중국 이커머스 기업들(테무, 쉬인)을 겨냥해 미국의 소액 면세 제도(800달러 이하 무관세)를 폐지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발표 이후 테무와 쉬인의 미국 매출은 각각 30%, 16~41% 감소했습니다. 이는 아마존에게 유리한 상황으로, 베조스가 최근 정치적 입장을 바꾼 배경이 될 수 있습니다.
English Summary
Recently, stock markets, especially NASDAQ and KOSPI, have been showing a downward trend. Major stocks like NVIDIA (-8.48%), Tesla (-3%), and Broadcom (-7%) have significantly declined. The main cause of this decline is Trump's tariff policy announcement.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announced that starting March 4th, they will impose 25% tariffs on Canada and Mexico, and an additional 10% tariff on China (totaling 45%). While the official reason is drug control, it appears to target the top three countries that export the most to the US. Additional tariffs are also planned from April onwards.
In response, Mexico has proposed imposing tariffs on China at the same level as the US. This strategy aims to prevent bypass exports through Mexico and avoid US tariffs.
Trump has also announced plans to abolish the US de minimis exemption (duty-free for purchases under $800), targeting Chinese e-commerce companies like Temu and Shein. After this announcement, US sales of Temu and Shein decreased by 30% and 16-41% respectively. This situation benefits Amazon, which might explain why Bezos recently changed his political stance.
나스닥, 너 마저?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t_ZNiKJAg8E
Transcript:
(00:08) 첫 주제 흔들리는 주식시장부터 가보겠습니다 자, 주식시장이 조금 흔들리고 있어요 가슴이 싱숭생숭하죠 지난 금요일 날 심상치 않았거든요 코스피 보시면 알겠지만 어 했거든요 괜찮아 아직은 괜찮아 아직은 괜찮다 왜냐하면 오른 거 반도 안 빠졌어 오른 거의 반도 안 빠졌지만 일단 좀 느낌이 쎄하게 밀리고 있죠 나스닥도 그렇고 코스피도 그렇고 그 얘기를 잠깐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하게 2월 마지막 날이었는데 우리 마음을 좀 흔드는 그런 일이 있었어요 하락장 대부분의 나스닥 주식들이 하락했는데 특히 엔비디아 8.48% 테슬라 3% 어, 테슬라는 특히 이렇게 올랐다 이렇게 빠져서 이게 좀 마음이 싱숭생숭하는데 그나마 버크셔 해서웨이 이거 뭐야, 여긴 대단해요 우리 어르신 대단해 버크셔는 그 와중에 플러스를 냈는데 현금 보유량이 많아서 그런가? 왜 플러스가 났지? 그 와중에 플러스가 났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대형주들이 크게 빠지는 브로드컴도 7%나 빠졌죠 우리나라 반도체들도 다 같이 크게 빠지는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01:13) 물론 나스닥도 미국 주식도 1년을 보면 여전히 강하죠 많이 올라왔지 1년을 보면 솔직히 이렇게 올라왔다가 이 정도 빠졌어 이 정도x3 4% 빠졌어요, 4% 4%니까 사실은 그렇게 빠졌다고 호들갑 떨 일은 아니긴 합니다 아니긴 한데 평상시 같으면 4% 빠졌다고 주제로 갖고 오지도 않아요 문제는 오늘 나오겠지만 불안불안하단 말이에요 이제 취임 한 달 됐거든요 한 달 한 달 사이에 쏟아낸 어떤 것들을 보면 느낌이 좀 불안불안하단 말이에요 모두가 불안함을 느끼는 이 시장이기 때문에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지난 금요일 날 빠질 때 하필 엔비디아 실적 발표 날이었죠 엔비디아 실적 때문에 빠지지 않았냐 하는 분도 있는데 엔비디아 실적은 제가 보기에 나쁘진 않았어요 매출액이 거의 393억 달러 이거 얼마입니까? 50조가 넘었고 56조 원 영업이익이 240억 달러 한 분기에 35조를 벌었어 게다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비중이 거의 60%가 넘잖아요 아직도 봉이 김선달처럼 뭐야 이거 50조를 팔았는데
(02:16) 35조를 버는 이런 미친 실적을 보이고 있는데 제가 보기에 실적이 엄청났어 엄청났는데 문제는 사람들의 눈높이가 너무 올라왔기 때문에 35조씩 4분기 벌면 1년에 얼마? 140조를 버는 거잖아요 물론 140조 번다 그래도 엔비디아가 3,000조가 넘으니까 많이 번다고 할 수는 없지만 많이 벌지 140조를 1년에 버는데 하지만 사람들은 좋았지만 블록버스터는 아니었다 뭐 이런 소리를 하면서 왜냐면 향후 미래 전망 이런 거 약간 낮췄는데 제가 보기에 그게 아니라 그냥 불안했지 많이 오르고 불안해서 아마 좀 차익실현 욕구가 있지 않았냐 라고 생각이 됩니다 그래서 블록버스터급은 아니었다 뭐 이런 소리를 하면서 8% 가까이 밀리는 일이 있었죠 물론 많은 분들은 이날 주식 밀린 게 솔직히 이거 아니냐 이거 트럼프가 공무원들 싹 해고를 해서 you are fired 해서 이때 실업 청구 수당이 발표가 됐거든요 이렇게 엄청 늘었어 실업자가 늘었어요 한마디로 미국에서 실업자가 이게 트럼프가 공무원 잘라서 이거 늘어난 거 아니냐 라는 음모론은 아니고
(03:13) 약간 그런 의구심이 있었죠 아직은 모른다고 합니다 아직은 왜냐하면 자른다고 했지 그 감축하고 그 사람들이 신규 실업 수당을 청구한 게 아직 반영은 안 됐대 조금밖에 반영이 안 됐대요 그 말인 즉슨 이게 더 무서운 말이긴 한데 사실 반영이 안 됐는데 그러면 실업 수당 청구가 이렇게 나온 거냐 그럼 반영이 되면 이거냐 뭐 이제 이런 우려가 나오면서 우려가 주식이 밀린 게 아니냐 이렇게 얘기하시는 분도 있죠 하지만 누가 보더라도 지난주에 주식시장이 그나마 조금 흔들렸던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이거죠 하... 드디어 관세가 온다 당장 다음 주입니다 3월 4일 화요일부터 캐나다, 멕시코 25% 관세 그리고 중국의 추가 10% 관세가 발효될 것이라 얘기했어요 우리가 말로만 듣던 관세를 드디어 다음 주부터 우리는 목도를 하게 됩니다 저 발표하면서 뭐라 그랬냐면 중국에 추가 10% 관세냐? 아니다 그럼 뭔데? 거기다 또 10% 추가를 했어요 아니 이게 무슨 젠가도 아니고 발표할 때마다 뭐가 늘어 지난번에 10%를 추가한다 그랬는데
(04:16) 그거 아니야 이번에 발표하면서 또 늘렸어 이렇게 그래서 기존에 25%였는데 2월 4일날 10% 추가 관세 발표했고 3월 1일날 다시 10% 추가 관세 발표해서 기분이 좀 안 좋으셨나 봐요 약주해서 안 좋으셨나? 지금 45% 관세 얘기가 나오고 있어요 물론 물품마다 다르지만 45% 물론 트럼프가 선거 유세할 때는 60% 관세 얘기 했었거든요 근데 지금 45% 그럼 다음 주에 진짜로 중국 모든 물건에 대해서 45% 관세냐 그렇게 되면 진짜 어떻게 될까 여기에 사람들이 떨고 있다는 거죠 이번에 트럼프가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를 발표하고 멕시코와 캐나다도 25% 관세를 매겼잖아요 그럼 관세를 왜 매기냐 이번에는 뭐 이유가 있냐 이유가 있습니다 걔네가 미국에 흑자를 많이 내고 그게 아니라 공식적인 이유는 정말 뜬금없게도 마약입니다 멕시코와 캐나다에서 마약이 용납할 수 없을 정도로 미국에 많이 들어오고 있다 그리고 펜타닐은 중국에서 제조되고 미국으로 들어오고 있다 이 재앙이 멈추거나 제한될 때까지 이 세 나라에 대한 관세를 지속할 것이다
(05:20) 그래서 마약 때문이라는데 갑자기 그래서 막 멕시코가 요즘에 저 말을 들으니까 요렇게 범죄자들을 미국으로 막 보내고 있죠 우리 마약 카르텔 열심히 단속하겠다 그리고 캐나다도 마약 카르텔 뭐 군대를 출동해서 막겠다 해서 돈 막 쏟아붓고 있는데 근데 왠지 느낌상은 말로는 마약이라고 하는데 하필 콕 집은 세 나라를 보니까 멕시코 25% 캐나다 25% 중국은 아까 전에 뭐 45% 지금 뭐 이러고 있잖아요 근데 이 나라들이 미국 수출 랭킹으로 보면 1위, 2위, 3위야 우연치 않게도 마약 때문에 관세를 매기고 있는데 우연치 않게도 저 세 나라가 미국 수출 랭킹 1, 2, 3위네? 그래서 이 불충한 사람들은 이거 마약 핑계대고 그냥 때리는 거 아닌가 제일 많이 수출하는 세 나라를 때리고 있는 게 이게 이유가 딴 게 있냐 라는 이런 불충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죠 게다가 다음 주에 25%, 25%, 45%에서 끝나냐 그것도 아니랍니다 왜냐하면 이번에 미국 상무장관 이거 엊그제 또 나온 거예요
(06:23) 하워드 러트닉이 인터뷰를 하는데 이렇게 얘기했어요 4월부터 캐나다와 멕시코는 상호관세도 부과받을 수 있다 상호관세 미국이 트럼프가 얘기한 25% 그겁니까? 그거 아니래 별개의 계획이래 ㅎㅎㅎㅎ 그러니까 한마디로 25% 말고 플러스 알파가 너를 기다리고 있어 섭섭지 않게 해줄게 어디까지 알아보고 왔어? 25% 아니야 4월부터는 새로운 내가 기다리고 있어 새로운 내가 협박도 아니고 이게 몇 퍼센트 말도 안 했거든요 그래서 25% 플러스 알파라는 소리니까 도대체 관세가 어디까지 올라가는 거냐 당연히 저런 얘기를 하니까 다음 주잖아요 다음 주 중국은 강력하게 반발했습니다 뭐라고 반발했냐 미국이 그렇게 고집을 부리고 자기의 방법을 고집한다면 중국도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지키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다 라고 얘기를 했는데 근데 이게 문제는 미국이란 말이야 필요한 모든 조치가 뭐 그렇게 미국 기업들은 어차피 중국에 못 들어가 있잖아 구글이 들어가 있나
(07:25) 메타가 들어가 있나 아마존이 들어가 있나 다 못 들어가 있는데 뭐 그게 그렇게 썩 그렇죠? 뭐 그런 생각이 약간 들기도 하고 중국이 저렇게 반발하니까 이것도 오늘 나온 뉴스입니다 오늘 나온 뉴스 미국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가 정말 또 깜짝 놀랄 소리 했어요 무슨 소리였냐? 자기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인터뷰하는데 멕시코가 저한테 아주 흥미로운 제안을 했습니다 정말 좋은 제안이군요 무슨 제안인데요? 멕시코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미국과 동일하게 하겠다 라고 제안을 했습니다 전 이걸 한참 해석했어요 이게 무슨 말이야? 멕시코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미국과 동일하게 한다는 말이 무슨 말이지? 멕시코도 중국에 45% 관세를 매긴다고? 그랬더니 맞는 말이래 맞는 말입니다 멕시코가 중국에 자기도 45% 관세를 매기겠다고 미국에 제안을 했습니다 정말 베리 인터레스팅한 일이군요 그리고 뒤에 나오는 이런 얘기도 했어요 멕시코의 얘기대로 캐나다도 중국에 대해서 45% 관세를 매겨야 할 것입니다 만약 미국이 55로 올리면 멕시코도 캐나다도 55고 만약에 미국이 35로 내리면 멕시코와 캐나다도 내리고
(08:28) 미국과 같이 관세를 움직이자 중국에 대한 관세를 아니 근데 듣다 보면 갑자기 멕시코가 이 얘기를 미국한테 왜 하고 미국은 또 이걸 왜 흥미로운 일이라고 하냐? 이유가 있습니다 멕시코는 왜 이런 얘기를 했냐 하면 간단합니다 살려달라고 한 거예요 뭘 살려주는데? 멕시코가 미국의 수출 1위인 이유는 사실 많은 나라들이 이 둘이 자유무역 지대니까 멕시코로 수출한 다음에 우회 수출이라고 하죠 여기서 위로 수출하잖아 특히 중국, 일본, 우리나라도 합니다 유럽 이런 애들이 캐나다에, 멕시코에 공장을 만든 다음에 거기서 위로 수출한단 말이야 그러니까 미국이 야 이거 뭐야 우회 수출 이거 안되겠다 얘네 25% 뭐 이런 거 하는 거잖아요 멕시코 입장에서는 아 그러면 우리가 중국에 매길 테니까 우린 봐줘라 0%로 우회 수출을 하려면 여기 들어온 분 아까 45%라며 그거 못하게 할게 내가 매길게 내가 내가 미국하고 똑같이 매길 테니까 내 거는 매기지 않아줬으면 이제 하는 말을 하는 거죠 멕시코 입장에서는 그러니까 미국이 생각해보니까 그럼 맞는 건가? 야 캐나다 너 위에서 중국이 이렇게 들어올 때 너희도 45% 해라
(09:33) 그래야 우리가 니들 25% 관세 깎아줄지 말지 고민을 하지 그거 아니면 우회 수출하면 안 되니까 니들도 중국처럼 관세를 여기다 매길 수밖에 없어 25% 그러니까 너희들도 미국하고 대중 관세를 똑같이 매칭하는 게 어떻냐 라는 아이디어를 낸 거죠 게다가 멕시코 입장에서는 사실 중국에 대해 관세를 매기는 게 나쁘지 않아 왜냐하면 중국에 대해 관세를 안 매겨 예를 들면 0%, 10% 매겨 미국에 25% 줘 그럼 돈을 미국에 주잖아 그런데 중국이 멕시코 들어올 때 45%를 내고 들어와 그럼 돈을 내가 받죠 내가 받으니까 일단 개꿀이고요 또 멕시코 입장에서는 중국만 때리면 좀 봐달라 그런 말도 됩니다 왜냐하면 방금 말씀드렸듯이 멕시코나 캐나다를 통해서 우회 수출하는 국가가 한두 국가가 아니에요 한두 국가가 대표적인 국가로 그 코레아, 재팬, EU 뭐 이런 나라들이 있어요 다 일로 이렇게 들어온단 말이야 일로x2 미국이 비싸잖아 인건비도 비싸고 뭐 비싸니까 저렇게 들어오니까 멕시코는 중국만 떼찌하면은 나머지는 봐달라 이제 그 얘기한 거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10:37) 중국만 관세 때리고 나머지는 그냥 좀 넘어가달라 이런 얘기를 한 거고 우리도 그렇게 하면 나쁘진 않을 수 있어요 나쁘지 않을 수가 있는 그런 상황이고 특히 이번에 트럼프가 멕시코나 특히 캐나다 멕시코한테 관세를 세게 매기잖아요 25% 지금 엄청나게 고민하고 있는 나라가 있습니다 그게 어디냐면 일본이에요 일본은 멕시코에 자동차 생산 공장을 엄청나게 지어놨습니다 우리보다 훨씬 많이 지어놨어요 우리도 기아 공장 있거든요 기아 멕시코 공장있는데 현대는 없습니다 현대차는 없는데 기아차가 멕시코 공장에 있어 우리도 타격인데 얘네들은 거기다가 180억 달러 넘게 투자해서 공장을 왕창 지어놨어 얼마나 지어놨냐면 현재 멕시코 최대 자동차 생산 국가가 일본입니다 2위가 미국이야 1위가 일본이고 미국보다 더 많이 지어놨어 거기다가 공장을 우리도 있긴 합니다, 이 아래 있긴 해요 우리 독일보다 좀 작아 독일이 3위고 그러니까 멕시코가 중국만 관세 때리고 우리가 미국하고 중국 관세를 맞추겠다고 45%, 55%는 매칭을 할 테니까 나머지 국가는 봐달라고 얘기했을 때
(11:35) 사실은 일본이나 독일이나 우리는 그쵸? 나쁘지 않을 수 있는데 인터레스팅 아이디어라고 했으니까 그렇게 될지는 모르겠고 또 웃긴 거는 2위가 미국이에요 그럼 저는 이걸 보면 잠깐 그 생각을 했습니다 미국 기업들도 관세를 매겨서 미국에 수출하겠죠? 미국 기업들이 멕시코에 공장이 있어 그런데 거기서 만들어서 미국으로 수출하거든? 자기네 나라로? 거기도 그럼 관세가 25%인가? 그러니까 이거 갖고 들어오라고 미국으로 미국 기업들도 그런 얘기를 하는 거죠 그런 얘기를 하는 거니까 관세가 심상치 않게 붙을 수 있다는 얘기고 그리고 또 있습니다 요즘에 미국 소매 시장을 흔들고 있는 뉴스 이건 지금 거시적으로 커다란 흐름에 관한 거고 그건 뭐냐? 여러분 너무나 잘 아시겠지만 얼마 전에 작년도 많이 나왔죠 중국발 C커머스, 차이나 커머스라고 그러잖아요 테무, 쉬인 이런 데가 미국에서 엄청나게 작년에 폭발적인 성장을 했습니다 2024년에 엄청나게 성장을 했어 그때 보여드렸잖아요 예전에 영상 보세요 테무 같은 거 가격이 엄청나게 싸니까 테무의 미국 매출이 59% 늘었어요
(12:37) 온라인 커머스 이커머스가 월마트보다 3배 이상 큽니다 이제 사실상 아마존 다음에 2위로 올라설 기세를 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베이보다 약간 밀리는데 이 기세로 가면 이베이보다 커지겠죠 아마존 다음에 넘버 2가 미국에서 테무가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마존이 요즘에 긴장한다는 말이 나와요 지금까지 수많은 기업들이 아마존과 싸우는데 아마존이 다 이겼는데 테무가 올라가잖아요 테무는 가격이 싸단 말이야 품질은 차이가 있더라도 그러면 저 가격 공세를 과연 아마존이 이길 수 있냐? 아마존의 가장 큰 도전 과제다 옛날에 보여드렸지만 가격을 보면 물론 아마존은 구독 서비스도 있고 영상도 있고 이것저것 다 있는데 다 떠나서 테무가 아마존보다 평균 40% 싸대 중국에서 보조금 받고 들어오니까 또 중국에서 인력 갈아서 만들다 보니까 이게 보통 43유로네요 43유로인데 27유로라 40% 싸요 쉬인도 싸고 테무 싸고 무조건 가격이잖아요 가격 이렇게 들어왔을 때 아마존이 과연 이길 수 있냐 특히 물론 품질은 아마존이 좋고 또 아마존은 구독 경제 같은 거에서 여러 개를 많이 붙여놨기 때문에
(13:40) 아마존이 버틸 수 있다 라고 얘기하는 사람도 있지만 싼 물건에 대해서는 테무에게 많이 밀릴 가능성이 있죠 그러다 보니까 작년 11월에 아마존이 뭘 만들었냐 보신 분 계시겠지만 아마존 하울이라는 서비스가 등장했습니다 하울이라는 웹스토어 이건 뭐냐 저도 이번에 봤는데 20달러 이하의 상품만 판매될 예정이다 온라인 다이소죠 얘는 다이소도 비싼 거 하는구만 28,000원 온라인 다이소 같은 하울을 만들었어요 누가 보더라도 테무하고 싸워보겠다 가격으로 싸우는 그런 스토어를 만들었는데 아마존 하울 이게 잘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2달러가 안 되는 아이폰 케이스 5달러가 안 되는 패니팩 이런 걸로 미친듯이 낮은 가격으로 테무하고 승부를 걸어보겠다 어려울 것 같은데 이거 어디서 만들지? 인도에서 만드나? 어디서 만드는지 모르겠는데 베트남? 하여튼 어지간한 나라에서 만들지 않으면 쉽지 않을 것 같죠 여러분이 생각하기에도 그래서 이게 이길 수 있냐 미국 내에서도 아마존이 월마트나 옛날에 이베이 이런 데하고 싸워서 타겟 이런 데하고 싸워서 이겼는데 가격 낮추고 서비스 확장하고 배송 속도 높이고 해서 이겼는데
(14:43) 테무하고 싸워서 이길 수 있냐? 이 상황에서 왜 이걸 길게 했냐? 바로 요즘 표현으로 정상화의 사나이가 있죠 누굽니까? 불공정한 무역을 바로잡기 위해 그가 나섰다 ㅎㅎㅎㅎ 이미 한 달된 뉴스이긴 한데 작년부터 꾸준히 나왔던 뉴스예요 무슨 트럼프가 뭐라고 얘기를 했냐 중국산 저가 상품이 미국으로 들어와서 미국 기업 아마존과 싸운다고? 아니 아마존이 피해를 보고 있네? 불공정한 무역이죠? 그래서 막아야 돼 그래서 뭘 막았냐?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미국으로 무관세로 들어오는 기존의 소액 면세 제도를 차단하겠다 이미 행정명령에 사인했어요 트럼프 썼어x2 이미 2월 4일날 발표를 했어요 2월 4일날 소액 면세 제도를 차단하겠다 그게 무슨 소리냐? 뭐 다 아시지만 테무가 미국 시장에서 엄청나게 가격이 싼 이유 미국은 소액을 수입할 때 면세가 되는데 그 기준이 800달러입니다 부자 나라답죠 엄청 높은 거예요 우리나라가 150달러죠 유럽 국가들도 대부분 150달러입니다 20만원 내외인데 얘는 100만원이야
(15:45) 800달러니까 800달러 이하로 사면 소액 면세 제도를 실시해요 근데 테무나 쉬인에서 100만 원 이상 살 사람은 잘 없잖아 그러다 보니까 이 차이나 커머스, 이커머스 기업들이 800달러 미만 제품을 중심으로 쫙 나열을 하고 관세나 세관 검수 없이 쫙 수입해 들어오니까 엄청나게 흥행을 했단 말이에요 방금 전에 보여드리면 이렇게 세계 각국의 소액 면세 규정을 보여주는데 대부분 선진국들이 100에서 200달러 사이입니다 10만 원, 20만 원 그런데 미국과 호주 이런 데만 좀 높은데 미국은 800달러예요 가장 높은 나라라고 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되냐? 트럼프가 이런 얘기를 하는 겁니다 이제 그 무관세 혜택은 끝났다 갑자기 작년 우리나라가 생각이 나는데 작년 우리나라에서 비슷한 얘기 했거든요 150달러짜리 소액 무관세 혜택 없앤다고 그랬더니 반발이 좀 있었는데 기억나십니까? 갑자기 옛날 얘기 좀 드리면 우리나라도 150달러 이하 소액 면세죠 그래서 작년에 쉬인, 테무 ,알리 우리나라에 들어오니까 역차별 문제 해소하겠다 해서
(16:47) 150달러 이하 소액 면세 제도 개편 여부를 검토 중이다 지금도 검토 중일걸요? 작년 여름에 검토 중이라고 해서 난리 났었는데 100달러 이하로 낮추든지 아니면 누적 상한을 만들어서 500달러 이상 누적으로 사면 세금 매기든지 이거 검토했던 때가 있었는데 미국은 검토 그런 거 없죠 트럼프는 바로 무관세 혜택을 없애버리겠다 근데 잠깐만 잠깐만 이거 무관세 혜택 없어지면 모든 물건에 대해서 테무 같은 경우에 예를 들면 45%잖아요 물론 품목마다 다르겠지만 낮은 것도 있고 높은 것도 있겠지만 이 분위기로 가면 45%잖아 더 높일 수도 있죠 60% 이렇게 갈 수 있잖아요 그러면 가격이 어떻게 될까? 실제로 트럼프가 저 소액 면세 제도 한도를 없애겠다 소액 면세를 없애겠다고 이런 소리를 한 다음에 이 차이나 커머스의 매출이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쫙 발표하자마자 줄어요 그런데 웃긴 건 아직 적용 안 됐거든요 아직 적용은 안 됐지만 발표하자마자 일주일간 매출이 지속적으로 감소했고 특히 작년 하반기에 감소했고
(17:50) 올 2월에 보더라도 벌써 쉬인의 미국 매출이 16~41% 감소했다 테무 역시 매출의 3분의 1이 이미 날아갔어요 방금 말씀드렸지만 저 아직 발효 안 됐거든요 면세안 철폐가 아직 발효가 안 됐는데 왜 주냐 1번 저런 뉴스가 나오니까 세금이 붙는지 알고 안 샀다 이게 1번 그리고 2번 지금 샀다가 나중에 연말정산처럼 추가 수수료 혹시 낼까 봐 소급 적용하고 이건 모르겠는데 나중에 세금 낼까 봐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대 아직 발효도 안 했는데 이미 3분의 1이 날아갔다고 하고요 이거 언제 발효되냐 미국은 이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수 백만 개의 제품들을 검사하고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적절한 시스템이 마련되면 바로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그러니까 다음 주에라도 만약 관세 시스템이 완성이 되면 앞으로 미국인들은 중국 차이나 커머스에서 소액 제품을 사더라도 관세를 그대로 다 내야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뉴스에 따르면 이미 그 영향력이 나오고 있는데 뉴욕 케네디 공항에 중국산 저가 상품 100만 개가 쌓여 있다 관세 받을까 봐x2
(18:56) 미리 사둔 사람들도 한가득이고 이거 잘못하면 관세 소급해서 받을까 봐 이거 뒤로 보내려는 사람도 한가득이고 100만 개 이렇게 쌓여있다고 하고요 물론 중국에서 크게 반발하고 있죠 이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자신들 전자상거래 업체들은 물론 대비를 하겠지만 관세는 결국 미국 소비자들이 부담하게 될 것이다 라고 얘기하면서 반발하고 있는데 그러다 보니까 다시 주가로 돌아오면 저게 다음 주란 말이에요 그럼 미국 소비가 어떻게 될 것이며 주가가 어떻게 될까? 별 영향이 없을 수도 있는데 불확실하잖아 어떻게 될지 일단은 봐야 되죠 일단은 불확실하기 때문에 제 생각에 저 관세 폭탄이 다음 주에 눈앞에 있는 상황에서 소액 판매까지 관련이 있으면 일단 뒤로 한 발 물러서는 그런 모습이 주식에 보이지 않나 라는 생각이 되고 여기까지 들었으면 여러분들 기억나는 사람 있죠 누굽니까? 아마존이죠 아마존 이 아마존은 대박났어 이 아마존은 안 그래도 하울 만들면서 가격 경쟁하느라고 허리가 휘고 있었는데 트럼프가 나서더니
(20:00) 트럼프가 나서 한 칼에 이걸 치니까 바로 쾌재죠, 쾌재 이제는 뭐 가격 경쟁을 지금처럼 열심히 할 필요는 없어졌고 그래서 이걸 보면서 여러분도 그렇게 생각하지만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아! 베조스의 선택은 다 이유가 있었다 대선 직전에 갑자기 방향을 오른쪽으로 잡았잖아요 원래 왼쪽이셨는데 갑자기 이렇게 우회전을 했단 말이에요 우회전을 아... 이게 다 큰 그림이 있었어 큰 그림이 면세안 철폐, 테무와 쉬인을 결정적으로 날려버리고 아마존 입장에서는 이거 완전히 너무 큰 거죠 너무 큰 혜택이 왔기 때문에 이게 다 이유가 있었구나 지금 보면 요즘에 베조스가 인수한 워싱턴 포스트지는 요즘 논조가 아예 이쪽으로 바뀌었습니다 옛날에는 이쪽의 대표주자였거든요 신문사가 이쪽의 대표 신문으로 바뀌었어 이게 이렇게 바뀌어도 되는구나 너무 180도 바뀐 거 아니야? 요즘에 보면 개인의 자유와 자유 시장을 더 옹호할 것을 열심히 하는, 뭐, 바뀌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방향을 이렇게 했다는데
(21:06) 사업적으로만 보면은x2 아주 훌륭한 생각이었지 않나 생각이 되고 다시 한번 보여드리면 그러면 이건 우리 어떻게 되는 거냐 150달러 이하 소액 면세 이거 우리나라도 있거든요 작년에 이것 때문에 아주 난리였는데 미국이 저러면 우리는 150달러잖아 미국은 800달러였고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아마 올해 이 얘기가 또 등장하지 않을까 생각이 되고 그래서 아마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중국 차이나 커머스 기업들도 불안하겠죠 그래서 손잡았나 그래서 보시면 신세계하고 G마켓 5대5 알리바바가 뭐 하는 동맹 소식이 나왔는데 그러면 미국에서도 우리 신세계처럼 아마존하고 같은 아 씨인데 알리바바하고 아마존하고 손잡고 뭘 만들 수도 진짜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들고 있습니다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논란의 국민연금 (0) | 2025.03.25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유럽의 반격 (1) | 2025.03.23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신흥 코인 도둑 (1) | 2025.03.19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냉혹한 국제정세 (0) | 2025.03.17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수산물 레츠고 (0) | 2025.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