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요약:
국내 여행과 해외 여행의 최근 동향을 다룬 내용입니다. 주요 내용은:
1. 2025년 설연휴 해외여행 급증
- 인천공항 일일 평균 이용객 21.4만 명 (2019년 대비 6% 증가)
- 10일간 총 214만 명 이용 예상
- 휴가 연계로 9-10일 연휴 가능
2. 국내여행 침체
- 제주도 내국인 관광객 2022년 대비 14% 감소
- 제주도 관광객 실질 소비 19.7% 감소
- 외국인(주로 중국인) 관광객 증가로 버티는 상황
3. 주요 원인 분석
- 국내여행과 해외여행이 보완관계에서 경쟁관계로 변화
- 비용 대비 만족도 측면에서 해외여행 선호
- SNS, 유튜브 등 정보 접근성 향상으로 해외여행 문턱 낮아짐
English Summary:
The content discusses recent trend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vel:
1. Surge in International Travel during 2025 Lunar New Year
- Incheon Airport daily average users: 214,000 (6% increase from 2019)
- Expected total users: 2.14 million over 10 days
- Extended holiday possible with vacation days
2. Decline in Domestic Tourism
- Jeju Island domestic tourists down 14% from 2022
- Real tourism consumption in Jeju decreased 19.7%
- Surviving on increased foreign tourists (mainly Chinese)
3. Key Analysis
-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vel shifted from complementary to competitive
- International travel preferred for value satisfaction
- Lower barriers to international travel due to improved information access through social media and YouTube
The content draws parallels between this trend and similar patterns in the Korean stock market, where domestic investment is increasingly being replaced by overseas investment.
외면 받는 국내 여행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lnCplufoCJM
Transcript:
(00:02) [음악] 첫 번째 주제는 바로 이걸로 가시죠 여러분들을 위해서 1월 27일 임시 공유일 지정 내일입니다 내일 내일 월요일 임시 공유일 그 소상공인 입장에서 좋아요 좋아요 중소기업 하고 있는 사람 입장에서 뭐 이런 걸 그 왜만 누나 아 참 그 아 저는 매일 공유를 해 드리고 싶은데 그 국가가 또 뭐 굳이 쉬지 말라는 날까지 이제 또 쉴 수 없으니까 뭐 어쩔 수 없는데 또 굳이 그걸 또 쉬게 하시네 아 자 저는 그래서 환영합니다 환영해요 뭐 마음속 깊은 곳에 뭐가 있더라도 환영하고요 그 1월 27일 월요일 날 어 저희 쉬기 때문에 안타깝게 그 주식은 지금 라이브는 없습니다 어 참 환영하지만 좀 그러네 뭐 그런 얘기죠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일단요 얘기를 하기 전에 임시 공유를 왜 지정을 했냐 지난 1월 23일 날 드디어 몇 번 축하서 얘기했었죠 한국은행에서 4분기 성장률 속보치를 발표했습니다
(01:06) 2024년 4분기 성장률을 발표했어요 얼마가 나왔냐 qq 전기 대비로 0.1% 성장했습니다 한 분기에 0.1% 성장하면 그죠 여러분들 월급도 이거보다 많이 오르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3개월에 0.1% 성장했다고 보면 됩니다 간단하 얘기하면 한 분기 3개월에 우리나라가 0.1% 성장을 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2% 뭐 이것보다는 분기 얼마 성장했나 보 절대값은 0.1% 보면 되고요 그 결과 2023년 성장률 속보치는 2.0입니다 원래 이게 2.2 있죠 근데 2.0으로 간신이 이자는 지켰다 우리가 11월 달에 한국은행에서 경제 성장률 예측했을 때 4분기 경제 성장률 얼마로 예측했었다 얼마 성장할 걸 예측했었다 거예요 그니까 11월에 예측을 했 니까 사실은 12월 한 달 차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한 달 사이에 우리가 얼마나 까먹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화끈하게 까먹었죠 10월 11월 12월 3개월 경제 성장일
(02:09) 전망치를 11월에 0.5를 했는데 아니 12월 딱 지나니까 0.1로 바뀐게 가슴이 아픕니다 뭐 이런 일이 있었고요 그 11월에는 2024년 경계 성장률도 2.2% 있는데 2.0으로 이렇게 줄어드는 일이 있었죠 그리고 지난번에 보여드렸던 거요 바닥을 기는 소비 심리 컬드 주제로도 나왔었는데 소비 심리를 좀 보면 다행히 1월은 91.2% 반등했지만 반등했다는 코 코 어 위에 좀 빨닥 조금 쓴 거 보이죠 요게 반등한 겁니다 렇게 이렇게 반등을 했기 때문에 막 떨어지진 않았다 12월에 박살이 난 다음에 1월에는 안정이 좀 되면서 안정이 되면서 아주 약간 반등이 했는데이 미약한 불꽃을 쫙쫙 쫙쫙 올려서 위로 쫙 올려야겠죠 자 그렇기 때문에이 미약한 불꽃을 더 산소를 투입해서 더 활활 타오르게 하려면 어떻게야 됩니까 바로 이렇게 해야 되는 겁니다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1월 27일을 임시 공유로 지정을 한다 설연휴를 맞이하여 국민 휴식을 지원하고 소비 활성화를 통한 내수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이 방송하는 기준 내일 내일 월요일을 임시 공유로
(03:12) 지정을 해서 쭉 긴 연으로 만들었다라는 거지요 그래서 여러분들 뭐 다 아시겠지만 달력을 딱 보면 여깁니다 지금 금요일 토요일 오늘은 여기죠 일요일이죠 토일 월화수목 금요일은 휴가 내면 금요일 휴가 내면 금토일 야 아 9일 9일 만약에 그 요쪽요 1월 24일 금요일이나 아니면은 2월 3일 월요일 날 금요일이나 월요일 하루 휴가를 더내면 무려 연휴가 며칠입니까 10일입니다 야 열흘쯤 쉬면 회사 가는 걸 까먹을 법해 열흘 쯤 쉬면 와 저는 이런 긴 연휴 때마다 유튜버는 별로 안 좋아요 유튜버 안 좋아 유튜버는 뭐 빨갛 타고 알고리즘이 봐주지 않죠이 잡이 없어요 알고리즘 놈이 양심이 없는게 설날이면 자기도 쳐야지 말이야 그 미국 알고리즘이라고 또 안 쉬요 안 쉬기 때문에 유튜브 입장에서 별로 뭐 그렇게 싹 남는 건 없지만 직장인 생활을 생각해 보면 엄청난 연이라고 할 수 있죠 최소 7일 잘만 연결하면 9일 어쩌면 10일까지 쉴 수 있는 그런 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04:14) 26일은 컬 시청일 이고요 27일이 임시 공로 신청을 하는 날이라고 할 수 있죠 자 그러면이 길 다른 연휴가서 연휴니까 여러분들은 다 뭐 하고 계시냐 당연히 일과 친척분들과 이제 부모님을 만난다는 기쁨에 지금 뭐 귀성 길 혼잡이 어마 무시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 라떼는 얘기를 조금만 해보면 서울에서 부산 15시간 어 이거는 저보다 조금 형님들 세대기 한데 15시간 걸리던 시절이 있어요 농담이 아니라 제가 12시간 정도까지는 눈으로 봤던 거 같아 15시간 20시간은 저보다 좀 형님들 50대 어르신들은 진짜 20시간 걸렸어 농담이 아니라 제가 경험해 봤던 건 강릉 갈 때 대관련 고개를 건너가야 되는데 지금은 여기 터널을 뚫어 왔습니다 그래서 그거랑 상관없이 뭐 금방 가죠 서울 강는 금방 가는데 옛날에 대관련 고개 있을 때는 그거 넘어가려고 올라갔다가 위에서 눈 오잖아요 어떻게 되냐 고립이 농담 아닙니다 대관령 가다가 눈이 와 그러면 고립이 여기가 다 얼었어 돌아가 그럼 못 내려가요 그럼 위에서 차에서 이루고 있는데 뭐 방법이 없어
(05:17) 안 움직이니까 그렇다고 뭐 휴계소에 가봐 휴계소는 이미 사람 엄청날 꽉 찼고 도로에서 모두가 이루고 있어 이루고 몇 시간 있어야 되냐 기약 없습니다 기약이 없어요 그 다음 날까지 있어야 돼 몇 시간 20시간 눈 안 오고 녹을 때까지 있 농담이 아니라 그래서 안전 요원들이 물 같은 거 걸어서 물 갖다 주고 그랬어요 차 똑똑똑똑 두드리고 어 왜요 그러면 괜찮으세요 하고 물하고 담겨 두고 막 이랬던 기억이 있는데 요즘은 그렇지 않죠 요즘에는 뭐 KTX 있고 아니면 터널이 있으니까 다 쭉쭉쭉쭉 가는데 옛날에 그런 시절이 있었습니다 화장실 없으면 와 이때는 뭐 야생의 시대니까 화장실 없으면 약깐 갔어 잠깐 가서 그때는 또이 핸드폰이 없었기 때문에 뭐 잠깐 내리고 하더라도 뭐 이거 찍는 놈들이 없었죠 그럼 양심 없는 사람들이 없었기 때문에이 과감하게 편하게이기 할 수 있는 시절이 옛날에 있었죠 자 그랬는데 얘기를 왜 하냐 이번에 임시 공유를 해서 연휴를 길게 늘리니까 어떤 일이 펼쳐졌 바로 이런 일이 펼쳐졌습니다 여러분도 다 보셨던 뉴스에 나왔던 바로 그 이야기
(06:17) 2025년 설연휴 기준으로 인천공항에 역대 최대 인파가 몰리고 있다고 합니다 아 부럽다 10일간 200만 명이 넘는 인파가 인천공항을 이용할 예정이에요 이 시간에 인천공항에 가지 않고 슈카 월드를 보고 있는 여러분들이 승리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가면 고생이야 사람 얼마나 많겠네 에이 저분들 다 고생하고 따듯한 방에서 이불 안에서 슈카월드 보고 계시는 여러분들이 그 승리자 할 수 있습니다 역대 최대 인파가 몰리고 있다 얼마나 인파가 많이 몰리냐 두시간 전에 가면 비행기를 못 할 수 있다이 뉴스에도 나오던데 세 시간 전에 갔는데도이 인파가 워낙 기니까 수속 마치고 모 넣고 뭐 넣고 하다가 5분 남기고 비행기를 탔다 두시간 전에 갔는데 못 탔다 뭐 이런 뉴스들이 쏟아지고 있고 아 고생이죠 고생 진짜 이거서 있어 보시면 하는데 출국 심사대가 뭐 붐비고 뭐 난리가 낫다라고 하고요 이번 연휴 때 인천공항의 하루 이용객수가 평균 얼마냐 21만 4천명 21만 4천명 잠실 경기장 뭐 이런 거 꽉 메우면 5만 명입니다 그죠 허다한 스포츠 경기장을 정말 꽉 매워야 4만 또는
(07:23) 5만이 21만이 그거 다섯 번 메우는 겁니다 엄청나게 큰 스타디움을 다섯 번을 매우는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는 거야 하루에 정공에 평균이 그 평균 계속 연휴 동안에 게다가 2019년 설연휴를 보면 그때는 한 20만 명 정도 됐어요 2019년이 언제냐면 우리나라 해외 여행객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던 해입니다 근데 2025년에는 2019년 값을 넘었습니다 코로나 이전에 해외 행을 가장 많이 가던 시기보다 설련은 지금이 순간 인천공항에 더 많은 해외 여행기 가고 있고요 한 6% 정도 늘었다고 하고 2024년 작년 대비로는 12.8% 늘었습니다 씨이 평균입니다 평균 연휴가 기니까 총수는 늘지 않냐 당연히 그렇긴 한데 하루 평균 이용객수가 작년 대비로도 10% 이상이 늘었어요 다들 돈도 많으시고 시간도 많으신가 어떻게 이렇게 많이 가지 어 저는 좋다고 생각합니다 쉴 때도 있어야지 회도 가서 놀고 호연지기를 피고 좋긴 한데 아 좋긴 한데 야 진짜 많이 가는구나 부럽습니다 일단 부럽고 그래서 2025년 기준으로 설 연휴에는 총
(08:28) 아까 말씀드렸죠 214만 명이 인천공항을 이용할거다 이거는 출국과 도착을 다 친 거예요 그래서 해외로 나가는 숫자만 치면 대충 반 나누면 100만 명 이상이 이번 서울 연휴에 해외로 나갈 걸로 추정이 됩니다 100만 명 씨 100만 명 장난 아니네 야 웬만한 시가 하나 나가는데 야 진 어마무시하구나 설연이 왜 시가 나가는구나 뭐 수원시 이런게 발사되는데 뭐 전주시 이런게 하나 해외로 발사됐다 다시 돌아왔네 야 정말 어마무시한 값이 나왔다 들어왔다고 할 수 있고요 특히 연휴가 길었기 때문에 이번에 최소 길명 9일에서 10일까지 연휴가 되잖아요 앞뒤를 쳐서 10일로 치면 2019년에서 연휴 때 인천공 이용한 숫자가 141만 명이었는데 이번 2025년에는 무려 214만 명 2019년 대비 연휴가 기니까 52% 증가 해외 여행 객수가 2024년 대비 125% 증가했습니다 왜 연휴가 길이가 두 배가 있어 임시 요일을 넣어서 중간에 휴가 하루 치고 임시공유일 하루 치고 앞뒤 금요일을 하니까 옛날에는 5일 10일 연휴로 치면서 120% 넘는
(09:32) 이제 그런 해외 여행객수 증가를 보였다는 거죠 물론 이렇게 생각할 수 있죠 아니 환률이 130원 있데 게다가 연휴 효과로 지금 한공기 표 가격이 미쳤습니다 가서 검색해 보세요 평상시에 두 배 이상이야 진짜 진짜 저도 검색해 봤는데 표값이 미쳤어 우리나라에서 시가로 파는데 욕 안 먹는게 몇 개 없거든요 그 중에 하나가 항공기 표값 시가요 그러면 대부분 욕을 먹어요 대부분 예를 들면은 대표적인 얘가 수산시장든 네 이거 얼마예요 그 시가요 그러면 뭐 뭐 시가야 이게 장난해 이것들이 그러는데 항공기 표는 시가다 놀랍게도 시가도 놀랍게도 시간인데 지금 두 배 가장 분비는 라인은 거의 네배가 올랐다 그러고 도쿄 항공권이나 오사카 항공권은 100만 원이래 왕복 기준 와 야 예전에 100만 원이면 어디까지 가는 거야 거의 뭐 100만 원 기준이면 광이나 하와이까지 갈 수 있는 비성수기에는 이제 그런 값으로 일본을 가야 되는 그 정도지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외 여행 객수는 오히려 크게 에 증가했다는 거죠 항공이 비싸건 환율이 높건 더 많이
(10:33) 갔다는 거고요 자 그러면 왜 이렇게 해외 형을 많이 갔냐 물론 해외 여행에 대한 여러분들의 사랑 그리고 열정 뭐 이게 있었지만 아까 말씀드렸지만 2019년의 연휴가 최대 7일 2014년 최대 5일이었는데 이번 설 연유는 임시 공유를 넣잖아요 그리고 중간에 금요일이 운좋게 딱 꼈어 가운데가 설이 아아 정말 휴가 사용을 하면 최대 9일에서 10일을 쉴 수 있으니까 연휴가 긴게 굉장히 긍정적인 연향을 미쳤죠 해외 여행으로는 그리고 이제 요런 분석도 있어요 정치가 불안하니까 국내를 피하려는 심리가 있었던 거 아니냐 아 떠나고 싶다 아 너무 안 좋은 뉴스만 들리고 막 혼잡 파고 그러니까 아우 그냥 확 그냥 해외 한번 가서 다 입고 상쾌하게 돌아가고 싶다 요런 이제 심리적 느낌 생각 그런 걸 했기 때문에 국내 여행보단 해외여행을 많이 간게 아니냐 이런 말들이 있죠 그래서 나쁘진 않은데 문제는 아까 전에 임시 공유의 지정한 목적을 보면 소비 활성화를 통한 내수 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 추진이 됐는데 분명 이 내수 회복인 내수는 국내 내수 아아 국내
(11:33) 안에 있는 회복 아니 임시 공 지장 하니까 내수가 아니라 다 나가네 다회 가잖아 어 야야야 이거 뭐 뭐 하려고 한 거냐라는 이런 쓸데없는 비판이 있다는 거죠 야 이거 뭐야 내수 회복 뭐 소상공인 뭐 증인 그죠 국민 뭐 이래 갖고 휴식 이래 갖고 했더니 소비 활성화가 되긴 했는데 어디서 소비를 활성화 있냐 소비가 활성화 되긴 됐어요 어디서 되냐면 이건 2014년 3분기 값이기 한데 시험 카드 포함해서 카드 해외 사용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3분기 값이 여기예요 4분기는 아마 좀 줄었을 겁니다 정치 혼란 있었으니까 근데 지금 꼴을 보니까이 꼴을 보니까 그래 소비가 진작이 되긴 했어 우리가 쓰긴 썼어 근데 문제는 그 쓰라는 데서 쓰진 않고 어 조금 다른 데서 썼다는 그 문제점이 있는 겁니다 뭐 문제라면 문제고 즐거움이라면 즐거움인데 이렇게 현재 2014년 3분기 카드 해외 사용 값이 분기 기중 사상 최대치 제 생각에는 4분기도 최대 칠일 수 있다 아 4분기 4분기 마지막 12월 때문에 좀 그렇긴 한데 4분기에도 최대 칠 수 있고 올 1분기에도 아마
(12:37) 최대 치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갈 가능성이 누가봐도 높은 이제 그런 상황이죠 자 그럼 돌아와서 그렇다면 아 하지만 주하님 생각을 해보면 연휴가 기니까 물론 해외로 나간 사람도 많지만 국내로 간 사람도 많지 않겠습니까 꼭 그렇게 편향되게 해외만 생각하면 되겠습니까 그렇다면 제주로 놀러간 사람은 얼마나 될까요 우리나라 대표 휴양지 아름다운 제주 따뜻한 섬 환상의섬 제 주로 올라간 우리 여행객들 연휴가 기니까 엄청 늘었지 않겠냐이 연합 뉴스에 떴는데요 아 제주도 관광 협회가 엿새간 설 연휴 평균적으로 작년보다 감소 왜 감소했지만 갔거든요 제주 좋아요 좋은데 그 맛있어 먹을 것도 맛있고 낚시하기 딱 좋고 여러 가지 그 박물관들도 아기가 막히게 있는데 또 9.
(13:27) 6이면 너무 많이 감소한 거 아니냐 왜 이렇게 많이 감 10% 가까이가 감소 했다 참고로 작년도 제주도 여행 객수는 좀 늘었어요 다만 내국인 관광객수는 오히려 감소했습니다 그니까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주도를 찾은 관광객수는 오히려 줄었어요 꽤 많이 줄었어요 80만이 나 줄었어 근데 외국인 관광객수가 크게 늘었습니다 70만 190만 전체 관광객수는 1378 한마을 기록해서 다행히 증가했는데 우리나라 내국인 관객수는 제주도로 가는 사람들이 오히려 줄었다는 거 연유를 길게 줬는데도 제주도로 안 가고 해외로 가더라 되다가 2024년에 지도를 찾은 내국인 관광객수는 좀 줄었다 그랬잖아요 얼마나 줄은 거냐 2016년이 여깁니다 2016년보다 적었어요 그러니까 이게 연도별 제주도에 들어간 내국인 관광객 수 추인 대부분요 1,300만 위에 있었죠 2022년에 고점을 찍고 2013년에 줄고 2014년에 또 줄면서 게다가 많이 줄었어요 202년 대비는 14% 줄었습니다 고점 대비 14% 감소하면서 2016년 값으로 돌아간 거죠 한마디로 현재 제주도 관광은 내국인은 감소하고 외국인의
(14:30) 증가로 버티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거 한국은행 자료인데 내국인은 2022년에 102로 보면은 지금 90일까지 거의 10% 이상 감소했고 반대로 외국인이 코로나 때에 못 들어왔다가 코로나 때문에 막 들어오잖아요 그래서 외국인이 굉장히 크게 늘었어요 이렇게 이렇게 늘었죠 대부분의 외국인은 누구냐 제주대 오는 외국인은 당연히 중국인입니다 중국인 비중이 75% 아지 올라가면서 중국인이 많이 오면서 그래도 제주도가 아직 제주도 관광이 버티고 있는데 내국인이 감소를 하는 거죠 그리고 이렇게 외국인이 많이 오는 제주도가 제주도 관광업에 별로 좋지가 않습니다 왜냐하면 돈을 많이 안 써요 생각보다 옛날에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돈 팡팡 쓰던 시기가 있었는데 최근에 많이 줄었어요 중국인들도 알뜰 여행을 해 특히 요즘 뭘로 많이 오냐 크루즈로 많이 옵니다 크루즈는 먹고 마시는 걸 크루즈에서 한 다음에 한 시간 다섯 시간 내려서 살짝 즐기고 살짝 그냥 가벼운 먹거리만 먹고가 버리잖아 자는 것도 크루즈에서 자고 비싸게 먹는 건 다 크루즈에서 하고 그렇기 때문에
(15:27) 중국인의 소비 능력이 옛날에 비에서 많이 내려갔다는 얘기를 많이 하고 특히 기본적으로 물론 중국분들 중에서 잘 사시는 분들이 많이 오시겠지만 우리나라 1인당 GDP 중국의 세 배입니다 세배 그니까 당연히 돈을 많이 쓰는 사람들은 내국인이 외국인보다 내국인이 많이 쓰는데 문제는 돈을 많이 쓰는 내국인의 비중은 줄고 크루즈 같은 걸 통해서 굉장히 값싼 여행을 즐기는이 외국인이 늘다 보니까 전체 사람만 줄어든게 아니라 제주도는 관광객 소비도 현재 굉장히 크게 감소했다고 지키고 있습니다 그 제주도에서이 관광객 대상으로 장사하시는 분들이 그렇게 좋지 않아 요즘 안 좋아요 보면은 도민들은 오히려 거기 사시는 분들은 소비가 많이 늘었어 근데 관광객들의 소비는 굉장히 크게 감소한 걸 볼 수 있습니다이 인플레이션을 감안했을 때 실질 소비가 - 19.
(16:12) 7% 줄었어요 그 거의 20% 날아갔다는 소리라고 할 수 있으니까 제주에는 엄청난 경제적 타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더 큰 문제는 바로 제주 여행에 대한 국내 관심도 여론 여론이 안 좋아요 이게 이게 큰 문제 중에 하나 데 이게 한국은행 자료인데 파란색이 제주대형 관심도 그니까 SNS 나 뭐 검색을 통한 그런 걸 했겠죠 제주대 관심도가 2022년 기점으로 급격하게 내려갔어요 파란색입니다 반면에 뭐가 올라가냐 제주도하면 영간 검색어가고 비용이라는 검색량이 급격하게 올라갑니다 물가 비싸지 않냐 특히 뭐면 바가지 아니면 요즘에 얼마 전에 나왔던 무슨 뭐 비계 삼겹살 뭐 어쩌고 뭐 등쳐 먹는다 이런 그것들이 바이럴이 많이 되다 보니까 비용 관련한 검색이 굉장히 크게 들어요 그 이미지가 안 좋아진 거예요 이미지가 관 도 내려가고 그러다 보니까 제주 여행 그러면 내국인들이 그 우리나라 사람들이 한국인들이 비용 쪽 부담을 느낀데 이것도 정말 황당한게 자료를 보면은 일본 여행이 싼 거 같습니까 제주도 여행이 싼 거 같습니까 한국인들은 많은 사람들이 비슷하다고
(17:17) 생각하세요 아니면 심지어 일본 여행이 더 싸다라고 생각한 사람들이 많아 많아 진짜 그래요 근데이 여기 있잖아 여기 보면은 실제로 비교해 보면 당연히 제주도가 보다 쌉니다 아 물론 그 그까 제가 말하면서도 뭐 저도 좀 뭔가 이상하긴 한다 숫자는 그래 우리가 한국인들이 제주도 놀러가고 일본 여행 놀러갔을 때 평균적으로 쓴 소비한 걸 보면 물론 일본 여행 가서 좀 많이 쓴게 있겠지 해외로 갔으니까 근데 제주도 좀 덜 써 그리고 국내 아아 아무래도 국내가데 절대값은 좀 작아 절대값은 제주가 조금 더 싸요 1일본 여행보다이 나온 숫자를 보면은 구체적인 숫자를 1인당 여행 경비 이런 걸 보면 제주도가 좀 싸 근데 문제는 인식은 완전히 반대입니다 요거 설문 조사한 걸 제가 갖고 오지 않는데 인식은 일본 여행이 싸다라고 생각하시는 한국인들의 인식이 거의 한 70% 이상에 찍혔어요 이게 몇 년 사이에 뒤바뀐 겁니다 몇 년 사이에 진짜 몇 년 사이에 뒤바뀐 거 옛날에 일본 여형 비쌌고 제주이 쌌는데 이게 완전 뒤바뀌면서 절대값은 아직도 일본보다 제주도가 싸긴 한데 우리가
(18:18) 돈을 쓰는 비용으로 치면은 근데 우리 인식은 완전히 바뀌었어요 그 왜 그러느냐 그 레포트의 결론이 이거였습니다 제주는 예를 들면 100 정도를 우리가 예상하고 가요 근데 비용이 얼 얼마가 나오냐 120에서 130이 들어 근데 일본은 100 정도를 예상하고 가요 만약 그냥 자기가 예상하기에 근데 막상 돈을 써 보면 70에서 80 밖에 안 쓴다는 거야 그러다 보니까 일본에서는 더 많이 써 오히려 그래서 경비 자체는 절대 경비는 일본이 높아 근데 사람들이 느끼는 거는 어 뭐야 나는 100이라고 생각했는데 제조 갔다니 120이 이러니까 비싸 생각하고 일본에서는 어 70 80이 이러니까 싸다고 생각한다고 합니다 그 결론이 그래요 아 가슴이 아픕니다 가슴이 아파 자 그러다 보니까 더 많이 쓰더라도 소비자 만족도가 높다는 거죠 더 많이 쓰더라도 내가 더 만족한다는 말과 똑같은 거예요 예를 들면 밥 먹으러 갔는데 여기 뭐 만원 금 12,000 원이라는 거고 일본은 7000원이라는 거고 일본 두끼를 먹던 세끼 먹던 부담이 없는 건데 많이 쓰더라도 제주는 이제 그렇지
(19:17) 못하다라는 말이고 또 한국은행 자료 이렇게 나옵니다 제주에 가격 많이 오른 거 아니냐 일본 여행도 47% 비용 상승이 있었다 이겁니다 원과으로 치면은 둘 다 와 근데 진짜 많이 올랐구나 이게 2019년 값이고 오른쪽이 2023년 값입니다 제주도가 2029년에 2023년 사이에 여행 경비가 얼마가 올랐냐 47% 올랐어요 물가가 그만큼 많이 올랐다는 거예요 사실은 4년 사이에 일본도 47% 올랐습니다으로 치면 근데 문제는 엔화가 약하잖아요 그래서 일본 여행은 28% 밖에 안 오르게 한국인들은 느끼는 거죠 상대적으로 더 싸졌다고 많이 느끼는 거고 반대로 얘기하면 제주 여행이 비용 경쟁에서 일본의 재 결론은 졌다 절대값은 더 싸더라도 소비자에게 주는 심리적 만족감 소비자가 백을 썼을 때 느끼는 그 만족감이 사실은 그게 비용 경쟁이 아아 절댓값이 얼마 보다 내가 느끼는 만족감에 일본 여행에 졌다 이게 오늘의 결론 중에 하나입니다 한국은행은 이렇게 얘기하고 있어 옛날과 달라졌다 뭐가 달라졌냐고 여행과 제주 여행은 과거에는 보완적 관계였다 이죠 상관 개스가 공통
(20:22) 요인들이 있는 보안관계 무슨 소리니까 제주 여행이 늘면 일본 여행도 늘고 제주여행이 줄면 일본 여행도 주는 그런 보완적 관계였다는 거예요 왜냐면 여행 전체가 늘어나면 일본 여행도 제주 여행도 같이 늘고 여행의 전체 모수가 줄어들면 일본 여행이나 제주도 같이 줄어드는 이런 보완적인 관계였는데 옛날이 옛날 lcc 등장하고 세계화 많이 되고 SS 이제 서로 많이 알게 되니까 이제는 뭐가 됩니까 대체관계 경쟁관계가 되었다는 거 일본이냐 제주가 대체 관계가 되었어요 그니까 제주는 그러면은 뭐 저는 그렇게 생각해 누구를 경쟁자로 생각해야 됩니까 일본 을 경력으로 생각해야 돼 사실은 그래서 경쟁력을 갖추려고 노력해야 되는데 그게 잘 됐냐 참 안타깝고 그래서 최근 몇 년 사에게 일어난 일들이죠 사실 그렇다 보니까 제주도만 아니라 국내 여행 전체가 크게 감소했습니다 팬데믹 이전 대비 출국 자수를 보면 2019년을 100으로 봤을 때 일본은 무려 115가 됐어요 2019년이 역대 우리나라 해외 행계 가장 많았을 텐데 그때보다도 상대적으로 15% 많이
(21:25) 갑니다 동남아는 102% 많이가 국내여행은 85가 됐어요 -1% 찍었다는 거예요 그니까 한마디로 국내 여행을 제주도 돈 뭐 아니면 강원도 돈 충청도 돈 뭐 경상도 돈 국내 여행을 가던 숫자들이 다 어디로 갔다 해외 여행으로 마치 가는 경쟁에서 밀렸다 보완을 하던 시기에서 대체재가 되면서 경기에서 밀리는 이제 그런 모습을 보였습니다 자 그러다 보니까 그러다 보니까 아 그런 말이 나오죠 임식 고교를 지정하면 뭐 하나 다 나가는데 야 연유 길어지고 오히려 해외로 나간다 내수를 위해서 연휴를 줄이는게 더 낫지 않냐라는 불만이 있다고 합니다 저는 절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야 뭔놈의 내수를 위해서 연휴를 줄여 누굴 위해서 줄이는 거야 이거는 말이 안 되는데 어 뭐 이렇게 생각하시는 분들 있죠 자영업자분들 야 임시공유일 하니까 이거 이거 이거 장기 연휴가 돼서 국내 자영업자도 왜 다 죽는 거 아니요 설연휴 하루 하루당 열흘 빠지니까 사람들이 없어 공치 날이 늘어나게 됐다 아니면은 영화비 단축하게 생산 일정이 빠듯해요 주식은 지금 월요일 날 쉬 슈카월드
(22:26) 코믹스 월요일 날 쉬죠 아 영상 하나 더 만들어서 매출을 올려야 될이 시기에 어 뭐 그렇게 생각하다는 사람도 있다는 건데 시 공유일은 내수 회복도 물론 있지만 가장 큰 목적은 여기 맨 앞에 있는 거 아까 읽어 드렸지만 뭡니까 국민 휴식을 지원하고 아니 이게 누구 꼭 돈 벌려고 가는게 아니라 국민의식을 1번 지원하고 하면서 내수의 보가 뒷받침되면 좋은 거죠 이거는 플러스 알파지 플러스 알파지 그래서 야 그 내수 회복 뒷 받치면 안 되니까 이제 임시 공유를 해 봐야 소용 없는 거 아니냐 다 회로 놀러가서 남 좋은 일이다 라는 얘기들이 조금 있긴 한데 아 뭐 그렇게 생각하면 안 되겠죠 그리고 하여튼 결론적으로 보면 2024년 해외 여행 객수는 역대 최대였던 2019년 기록 돌파가 가능할 것 같아요 12월 값을 봐야 돼 11월까지는 2019년 대비 98% 있습니다 아 근데 12월에 정치적 혼란이 있었고 그 참사도 있었고 이렇기 때문에 올해는 못 넘었을 것 같긴 해 12월만 분위기 좋았으면 역대 최대가 2024년이 될 뻔했습니다 특히 막판 부스터가
(23:29) 아니었어요 왜지 막판에 9월 10월 11월에 엄청나게 나갔어 2019년 대비 110% 이상씩 나갔기 때문에 역전할 번 했는데 이제 12월 값이 나와 봐야겠죠 12월 값이 나와 봐야 되는데 아마 못 넘었지 않냐 생각이 됩니다 그러면 제가 왜 이렇게 국내 여행 시장을 뭐 참 제주도 여행도 그렇고 일본 여행을 길게 얘기했냐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뭐하고들 보면서 정말 일본 여행하고 제주여 해외 여행을 보면서이 생각이 정말 많이 들었어요 똑같구나 뭐랑 대한민국 주식시장과 어쩜 그렇게 똑같니 야 대한민국 주식시장과 똑같아요 똑같아 아이고 그 국내 중시를 떠받치던게 동합 개미들이 있죠 우리들인데 옛날에는 보안 관계였어요 코스피 사는 사람들이 미국 샀습니다 코스피 사는 사람들이 니케이 사고 아 왜냐면 주식은 하는 사람과 안 하는 사람이 있었지 여행도 가는 사람과 안 가는 사람이 있었죠 늘어날 땐 다 같이 늘어났어요 국내여행도 들고 일본 여행도 들고 남 좋을 땐 같이 빠지고 주식도 그랬어요 좋을 땐 코스피 그 뭐 나스닥 SNP 투자가 같이 늘어납니다 국내로 만 치면 안 좋을
(24:32) 때 같이 빠지고 그 옛날 얘기에 이런 식의 사고를 하면 이젠 안 돼요 그 뭐가 됐습니까 대체 관계가 됐습니다 경쟁 관계가 됐다는 말과 똑같습니다 경쟁 관계가 된 다음에 어떻게 됐냐 뭐 다시은 얘기 잠깐 보여 드리면 이렇게 됐죠 코스피 거래 대금 중에 개인 투자자 비율 동합 개미 운동 우리가 한창 하면서 2020년 3,000 넘고 할 때 66% 여러분들이 올렸어요 거래 대금에 2분가 개인의 거래요 엄청 올렸어요 지금은 지금은 오 하더니 47% 됐습니다 47% 언제냐 동합 개미 운동 시작되기 전에 2019년 갑과 똑같아 였어 제 생각엔 더 내려갈 것 같아 아 저기 정말 무기라고 했던 그 박스피 시절에 30%대 기록했거나 그때로 내려갈 가능성이 굉장히 높다 지금으로 봐서 과거로 회개한 것과 똑같다 반면에 일본 유행 뭐 112% 같 때문에 국내 차자가 보유한 미국 주식 규모를 보면 19년 대비 12배가 늘었습니다 12배가 늘었어요 12배 아 이거는 주식 투자 역사상 뭐 여러분 너무 잘 아시지만 역사적인
(25:36) 변화다 역사적인 변화 얼마나 큰 경쟁자가 옆에 왔다는 걸 알아야 돼요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 국내에서 하던 사람들이 다 이거 하겠지 옛날 얘기지 제주도여행 갈 사람은 일본 여행도 갈 수 있어요 요즘에 코스피 사는 것과 미국 SNP 사는게 뭐가 달라 다르지 않아요 그냥 뭐 환전 정도 한 번 띡 더하는 그 정도 수수료 조금 비싼 거 있는데 수수료 조금 비싼 것 때문에 미국 주식할 사람이 코스피 하고 그렇지 않아요 요즘엔 또 SS 많이 발달하고 유튜브에서도 하도 이제 얘기를 하니까 익숙해졌어 어느 정도 익숙해져서 옛날과 다르다 보안 관계가 아니에요 경쟁관계 대체 관계 12배가 늘었다니 그러다 보니까 어떤 일이 펼쳐지 국내 증권사들이 해외 주식 특히 미국 주식 광고만 줄기차게 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전는 아주 잘 알아요 왜냐 광고를 봤는데 전부 다 미국 주식 얘기를 해 달래 예를 들면은 저 삼성자산 코덱스 SNP 500 SNP 500 TR 나스닥 TR 무슨 뭐 나스닥 AI 무슨 이거 그래서 어 국내 주식 없어요 그랬더니 어 괜찮아요 해외주식 해 주세요 계속
(26:36) 그래서 보면은 국내 증권사들의 위탁 매매 수수료 중에서 해외주식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 1분기에 이미 16% 넘었습니다 지금은 제 생각에 여기까지 갔을 거예요 20 몇 % 이상 특히이 시장은 성장하는 시장이죠 국내 주식 투자로 유탁 매매 수수료는 이미 뭐 내려가는 시장이기 때문에 당연히 성장하는 시장에 더 집중할 수밖에 없고요 그리고 여행하고 똑같이 환율이 1,450원 심지어 1,880원 미국을 사는 여러분들이 전는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 저 같은 쫄보는 못 사겠어 한율 50원에서 어떻게 미국 주식을 사는지 손이 떨리고 다리가 떨리고 야 저는 1,100원 1,200원 보던 사람인데 150억 와 이거 30% 너 비싸게 사니까 손이 안 나가는데 아 요즘 친구들은 그런게 없어요 장난합니까 형님 그걸 빼더라도 먹어야 주식이죠 먹어야 하면서 그거 밖에다가 뭐 많이 다 쓰다는 것보다 낫지 않습니까 뭐 이러면서 야수처럼 하는데 환율이 아무리 높아도 해외 행을 못 막고 회식 투자를 못 막는 거죠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이게 우리가 K
(27:35) 갈라파고스라고 생각해서이 안에서만 돌아가고이 안에서만 경기하 생각하 거 옛날 얘기다 보완재 생각하 옛날 얘기 이게 우리로 들어오는 걸 막는게 K 갈라파고스아요 근데 문제는 K 갈라파고스는 제가 보니까 나가는 걸 막는 건 잘 못하는 거 같아 나가는 거 미국 시장으로 내가 투자한다 설마 그걸 규제로 야 그걸 규제로 막을 수 있기도 하네 근데 그 기제로 막으면 폭동이 뭐 미국 주식 1인당 100만 원밖에 못 산다 뭐 그럴 수도 있겠죠 미국 주식 사면 세금이 15% 물론 그럴 수도 있는데 야 그거는 일본 여행 가면은 부가 가치세 뭐 20% 맥입니다 뭐 물론 그럴 수 있겠지만 그런 건 어렵기 때문에 오 들어오는 거는 k 갈라파고스가 잘 막는데 왜냐면요 안에서 돌려야 되니까 나가는 거는 막기 힘들어요 K 갈라파고스의 한계가 이렇게 나간다고 했을 때 이거를 못 막는 거기 때문에 바뀌었다는 걸 잘 생각을 해야 되고 그리고 왜 회의 행관 가고 왜 미국 주식만 투자 아니 아까 말씀드렸습니다 상대적으로 제주도가 싸도 일본은 만족도가 높게 나온대 만족도가 내
(28:35) 기대보다 싼 거야 일본은 제주돈 싸더라도 내 기대보다 높고 그니까이 이게 중요하잖아요이 신뢰이 만족도가 중요한데 어 해외 행도 그렇고 왜 미국 지수만 투자하나 어 이거는 만족도의 문제가 아닙니다 이거는 숫자의 문젠데 최근 5년 값이죠 최근 5년 코스피가 야 올랐어 올랐어 얘들아 안 오르지 않습니다 무려 12.94 올랐어요 최근 오네 다행이다 얼마 전까지 한 자리였는데 최근 반등을 해서 12.94 5년에 12.94 올랐으니까 1년에 2. 한 5% 오른 거죠 전기에 금보다 안 올랐죠 전기 금보다 안 올랐어 요즘에 전기 해금 들어가면 3점 몇 프데 반면에 뭐 미국 주식 들어간 사람들은 뭐 smp1 나스닥 이건 전부 다 5년에 100% 올랐기 때문에 당연히 뭐 말이 필요 없고요 국민연금 자산별 수익률 우리 친구가 이걸 조사해 왔더라고요 또 잔인하게 이런 걸 조세요네 2024년 1월에서 11월까지 값을 보면 국민연금이 12.
(29:29) 57% 수익률 했답니다 2014년에 1월에서 11월까지 12.57% 근데 국내 주식은 마이 나스야 해외 주식은 29.72 per 먹었어 야씨 킹민 연금이네 킹민 연금 오 30% 먹었어 물론 지수가 작년에 뭐 25% 이렇게 올랐기 했지만 미국 주식은 그 와중에 유일하게 빠진게 이제 국내 주식이었다 거고 그리고 이거는 이런 걸 왜 조사해서 우리 자료조사 친구가 굳이 어디 거죠 이거 어디 신문인 모르겠는데 제 거니까 이거 출처 일부러 표시 안 해 드렸습니다 이 친구가 이렇게 사왔어요 각종 뉴 미디어에서도 국내 정시를 비판하는 여론이 속출했다 뭔데 구독자 수 344만 명을 보유한 유튜버이자 경제 전문가인 코스피 씨가 코스피는 버려졌을 했어요 이런 몹쓸 방송이네요 아 그랬어요 코스피는 어 살짝 벌어졌는가 살짝 그죠 다시 돌아올 수 있겠지만 런 방송인데 이렇게 얘기했답니다 제가 기억이 안 나는데 한국은 주식에 대한 관심이 부동산에 10% 미치지 않아 제 구체적인 숫자를 얘기했다고 진짜로
(30:34) 코스피가 무너져도 대책이나 대응이 나오지 않는다 어 가짜 뉴스일 수도 있습니다 가짜 뉴스일 수도 그 친구는 여기서 얘기했다 그랬는데 제가 확인은 안 해봤어요 뭐 그랬다고 하고요 결론적으로이 이렇게 길게 얘기하는 이유가 뭐냐 통신의 발달 SNS 발달 유튜브 2014년 2012년 우리나라에서 1등한 다음에 바뀌었어요 뭐가 바뀌었습니까 글로벌 경쟁 문 나가는 문은 열렸어요 들어오는 문은 다쳤어 아직도 제가 생각하기에 많이 안 열렸어요 우리나라 쇄국 정책 유명하잖아요 콜라고 때문에 안 열렸는데 나가는 문은 열렸습니다 나가는 문은 글로벌 경쟁의 문이 열렸는데 아직도 잡아 놓은 물고기 만약 생각하니까이 어려움을 겪는게 아니냐고 생각을 합니다 개인적으로 제주도의 경쟁자는 일본이 될 수밖에 없고 사실 가깝잖아요 옆에가 코스피의 경쟁자는 SNP 나스다 게입니다지 딸깍 하나면 다 돼 근데 여기서만 문 닫고요 안에서 뭐 요걸 고치네 저걸 고치네 요만큼 고치는 것도 뭐 바들바들 떨고 요만큼 고치는 것도 아 그럼 이걸 안 하지 누가 합니까 이거 옆으로 가면 이건데 해서 참 그리고
(31:32) 제가 여러 번 얘기했는데 이게 가장 가슴 아픈 이유 중에 하나가 이게 옛날에 몇 년 전부터 얘기했는데 한번 외면 받으면 돌아오는데 오래 걸려요 일본 니케를 보세요 고점 찍은 다음에 빠진 다음에 20년간 개인이 안 돌아왔어요 우리나라 펀드 시장 옛날에 얘기했죠 리만 브라스 사태 때 개인들이 펀드에서 많이 손해를 봤어 펀드가 나쁜 상품이 아닌데 거기 손실을 본다면 아직도 개인들이 펀드 하기 굉장히 꺼려하는 분위기가 있어요 10년이 넘었는데 15 5년이 되는데 이게 트라우마 때문에 한번 외면 받으면 다시 찾아오기 힘들고 게다가 결정적인 문제가 우리나라 주식 투자자가 2020년 20121년 동합 게임 운동하면서 500만 하던게 1400만 명까지 늘었어요 1400만 명한테 트라우마를 주면 어떡할 것이냐 야야 이거 안 돌아오면 어떻게 되는 거냐 안 돌아오면 우리도 20년 걸려 20년 박스피 20년 갈 수 있기 때문에 굉장히 조심해야 되는게 아니냐라고 생각이 되고 아 그리고 이게 있죠 제주도도 코스피도 정답은 다 알고 있죠 니까 경제가 신뢰를
(32:30) 쌓고 그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 뭐 코스피 man 얘기를 되면 상장 누굴 위해 하는 거냐 뭐 이런 거 엑시트를 위해서 상장을 하고 뭐 쪼개기 뭐도 하고 뭐 하나 고쳐지는 거 없잖아요 그리고 갈라 하고 으니까 우리 안에 괜찮다고 생각되는게 언제까지 갈 거냐라는 생각을 하죠 자 그럼이 안 좋은 얘기를 하려고 이주자를 갖고 왔냐 아닙니다 여기까지는 빌드업이 있어요 좋은 얘기 하려고 갖고 온 겁니다 좋은 얘기 뭐냐 그래서 코스피에 대한 신뢰를 높여야겠다 밸류업 나온게 바로 이겁니다 아 힘들었다 이거 뭐냐면 금융위원회가 금융 감독원이 주식 시장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한 IPO 및 상장 폐지 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제도 개선 방안 IPO 상장하는 거 또는 상장 폐지 진입과 퇴출에 제도 개선을 하겠다 자꾸 슈카 그런 거 보니까이 글로벌 경쟁을 하겠다라는 걸 물 발표를 했는데 자세한 거는 제가 다음 주에 다시 한번 갖고오기 하고 내용이 기니까 짧게 보여드리면 이런 겁니다 밸류업 위해서 앞으로 주식 시장의 IPO 상장 폐지 제도를 개선하겠다
(33:27) 뭘 개선하 그동안 우리 주식 시장은 상담 기업 수나 시가 추행은 느는데 질적으로 발전을 안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래서 이것도 밸류 업이네 밸류업 중에 하나의 방안으로 과제로 IPO 상장 페이스를 바꾸 겠는데 또 이런 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 IPO 제가 한 얘기가 아니라 써 있는 거 갖고 온 거예요 먹고 튀 진짜 죄송합니다 가슴이 좀 아픈데 그 단기 차익 목적 투자가 줄을 이루며 상장한 다음에 먹은 다음에 나몰라라 한다는 거죠 시장 외곡이 나타난다 이건 제가 쓴게 아닙니다 중장기 투자자 역할을 기대되는 기관 투자자들도 배정받은 직후에 매도를 해서 다 같이 올린 다음에 다 같이 먹고 누가 먼저 빠져 나오냐 못 빠져 나오면 장기 투자적 야 이게 우리나라 아의 전정인 모습이잖아요 그래 나중에 이렇게 가는데 이런 걸 하고 있더라 이런 걸 먹고 튀고 있더라 주가 흐름도 상장일에 급등한 다음에 지속 하락하게 되는게 일반적인 모습이다 왜 그런 일이 있냐라고 금융 위원회나 감동원 생각해봤더니 이렇 대요 우리나라 주식 시장은 진입은 쉬운 반면 퇴출은
(34:26) 겁나기 어렵다 보면은 이게 6년 7을 갖고 왔는데 매년 100개 가까운 기업들이 진입을 합니다 코스피 건 코스닥 기건 90개에서 100개 99개 평균값이 여기 있네요 99개의 기업들이 들어오는데 나가는 기업은 불과 25개 밖에 안 된다 쫓겨나는 기업은 거의 없어요 좀비 기업이 됐건 뭐 거기에 널부러져 있건 뭐 관심이 없기 때문에 나가는 퇴출하는 걸 좀 더 쉽게 만들어야 된다라고 생각을 한다고 합니다 최근 년에 상장 회사 증가율로 보면 대한민국은 무려 상장 회사 증가율이 17.7% 찍었어요 엄청난 속도로 상장을 합니다 왜냐 이것도 가슴 아픈데 상장을 하면 끝이라고 생각을 해 그것도 웃겨요 상장을 하면 끝이면 어떡해 스타트업들도 그래 상장을 하면 나는 엑시트 그래 그러 그 기업을 보고 들어가는 사람들은 어떻해 그 엑시트로 생각하면 안 되지 거기서 시작하는데 상장이 최종 목표야 그러다 보니까 많은 기업들이 많은 스타트업들이 상장만 하면은 된다고 생각을 해서 상장에서 증가율이 17.
(35:24) 7% 그래요 미국은 3.55% 일본은 6.8% 대만은 8.7% 미국에 비해서 상장에서 증가율이 거의 다섯 배가 높은 시장이 됐고 반면에 퇴출이 잘 안 되잖아요 그러니까 어떤 일이 펼쳐졌 최근 5년 보면 주요 지수 시가 총액 상승률과 주가 지수 상승률 있니다 우리나라는 시가 총액은 35% 늘었어요 최근 5년 값이 이번에 발표된 겁니다 금융가 발표한 건데 주가 지수는 4% 올랐어 미국은 80% 시가 초액 오르고 주가 예수가 80% 올랐습니다 일본은 시가 초액 48% 밖에 안 올랐어요 근데 주가 지수 65% 올랐어 야 뭘 쫓아냈지만 비슷합니다 와 대만 최근 5년에 주가 지수가 100% 올랐네 그래서 어떤 분이 그러더라고요 그 비교를 미국하고 하면 어떡하냐 미국하고 하면 미국이 최근에 가장 뜨거운 시장인데 코스피가 가장 어려운 시장하고 싸우라는 거냐 미국이 뜨겁긴 한데 옆 나라도 일본도 65% 올랐습니다 대만도 110% 올랐어요 물론 유럽의 어떤 나라들은 안 좋지만 우리가 꼴지 국가들고 비교할 수 없잖아 자 그런 일이 있었다는 거죠 한마디로 그래서 내용이
(36:21) 긴데 나중에 다시 한번 정리해서 보여 드리도록 하고 주식시장 진입과 퇴출에 대한 제도 개선을 하겠다 상장 폐지 요건을 강화하겠다 절차는 효율 하겠다 좀비 기업들 이제 퇴출 시키겠다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또 이런 거는 나중에 보여 드릴게요 다시 한번 IPO 시장 진입할 때 개선 방안 세 가지 기간 투자자 더 오래 갖게 하겠다 수요 예측이나 주관사 역할 강화하겠다 상장 폐지하는 거 그동안 많이 봐줬는데 요건 강화하고 절차 빨리빨리 하게 해주고 투자자 보호를 보완해서 빨리빨리 퇴출되고 하겠다 그래서 지수를 좀 스피드 정상화 이제 경쟁을 생각해서 정상화를 시키겠다 라는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자 그래서 결론은 그 앞으로 앞으로 좋아지겠죠 앞으로 좋아질 것 같은 그 이미지를 갖고 오라고 얘기했는데 우리 친구들이 이런 이미지를 갖고 왔어요 야씨 저 울렸냐 야 잠깐만 웃는 이미지를 갖고 와야지 분명히 뒤에는 가격 오르게 해놓고 눈물 올리는 거 갖고 왔어 이게 아닙니다 잘못 갖고 온 거예요 연휴여서 제가 연락을 못 했는데 이렇게 방크 눈눈 앞으로 뭐 뭐요 뭐
(37:23) 뭐 장난하나 이런게 아니라 좋은 경쟁하는 이제 시작 글로벌로 같이 가는 경쟁 관계라 생각하고 대체관계 생각하는 그 시장이 오지 않을까 생각을 합니다 [음악]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나 지금.. 떨고있니? (0) | 2025.02.03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그래서... 합치면.. 뭐 돼? (2) | 2025.02.02 |
[요약리뷰] 슈카월드 - 트럼프 2기 시작합니다 ㅋㅋ (0) | 2025.01.31 |
[요약리뷰] 슈카월드 - 편의점 전성시대 (1) | 2025.01.30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중국시장은 힘들어. (2) | 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