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요약:
1. 편의점 현황:
- 한국 편의점 수 5만 5천개 돌파, 일본 추월
- 인구 천명당 1개꼴로 세계 최고 밀도
- 2024년 편의점 매출이 처음으로 백화점 매출 추월
2. 성장 배경:
- 높은 외식 물가로 인한 도시락, 간편식 수요 증가
- 1인 가구 증가 (전체 가구의 43%)
- 50-60대 고령층의 편의점 이용 증가
- PB상품 및 트렌드 상품 신속 출시
3. 특징:
- 젊은 점주 비율 높음 (20-30대 점주 40%)
-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 (택배, 공과금 납부 등)
- 마트 기능 확대 (신선식품, 생필품 판매)
English Summary:
1. Convenience Store Status:
- Korea surpasses Japan with 55,000 stores
- Highest density globally: 1 store per 1,000 people
- Convenience store sales exceed department store sales for first time in 2024
2. Growth Factors:
- High restaurant prices driving demand for convenience store meals
- Increase in single-person households (43% of total)
- Growing usage by 50-60 age group
- Quick response to trends with private brand products
3. Characteristics:
- High proportion of young store owners (40% in 20-30s)
- Multiple additional services (delivery, bill payment, etc.)
- Expanding into traditional grocery store functions
CNN이 "편의점의 글로벌 왕(King)"이라고 칭한 한국의 편의점은 단순한 소매점을 넘어 한국의 독특한 라이프스타일과 문화를 대표하는 공간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일본을 추월한 대한민국 편의점 수, 5만 5000개 돌파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AxE2EWc6Cuo
Transcript:
(00:08) 두 번째 얘기는 우리 얘기 한번 해보겠습니다 역시 비슷한데 우리는 어떤 모습으로 등장했냐 바로 이렇게 등장했습니다 편의점 왕국 대한민국 얘기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대한민국은 농담이 아니라 글로벌 편의점 킹입니다 결론을 말씀드릴게요 컨비니언스 스토어 킹 외신이 인정했어 조금 이따 CNN 보여드릴게 킹 꼬레아를 공식 인정을 받았습니다 2025년 1월에 공식 인증을 받았어요 왜냐하면 결론부터 보여드릴까요? 뭐 이겁니다 편의점 왕국 일본 언제적 얘기예요 일본 이제는 한국이죠 한국의 대한민국의 편의점 숫자가 일본을 사뿐하게 제쳤습니다 아마 그랬을 거야 거의 붙었는데 지금쯤 제쳤지 왜냐 우린 늘어나고 얘네는 줄어들고 있거든 우리가 제쳤어요 55,000개래 야 이거 미친 거 아니야? 대한민국이 일본의 편의점 숫자를 제치는 게 말이 되나? 아니 이게 말이 안 되는 이유가 여러분들도 그렇게 생각하지만 일본 인구가 몇 명입니까? 1억 2천 4백만이요 우리나라 인구가 5천 2백만이 안 돼요 5천 170만 뭐 이렇잖아 인구가 2배가 넘어 2.5배야
(01:10) 근데 우리가 편의점이 더 많아 그럼 편의점 밀도는 이게 몇 배입니까? 2배가 넘죠 거의 뭐 2.2배 이 정도 나 그러니까 편의점 킹은 앞으로 에헤이 우리의 반도 안되는 편의점 밀도를 가지고 있어요 좀 반성 좀 하시고요 어 일본 들어가 집에 가 대만 좀 높은데 대만도 안되지 대만은 갖고 오지도 않았어 우리 만이도 들어가고 우리나라가 압도적인 편의점 왕국이 됐습니다 이 숫자가 5만 5천은 어떤 숫자냐면 인구 천 명당 편의점이 하나 있는 거예요 인구 천 명당 이게 뭐 잘 생각해보면 미친 숫자라는 걸 알 수 있어요 잘 생각해보면 대한민국의 편의점 숫자가 5만 5천 개 국내 커피숍 숫자가 한 10만 개 된대 커피숍의 반이야 치킨집은 숫자가 워낙 많이 변하는데 다 합치면 개별 치킨 파는 것 다 합치면 8만 개? 적게 보면 한 7만 개? 이 정도래요 그러니까 커피숍, 치킨집, 그리고 편의점입니다 잘 외워두세요 왜냐하면 나중에 여러분들이 직장 그만두고 자영업할 때 이 세 개 중에 하나에...
(02:09) 높은 확률입니다 제가 잘 알아요 왜냐하면 제 친구들과 형님들이 슬슬 그 나이거든요 슬슬 그 나이면은 보통 머릿속에 오는 게 저 세 개 중에 하나야 이거 외에 한식집이 우리나라에 제일 많아요 물론 한식집, 분식집 이거는 한식집은 수십만 개인데 20만 개, 30만 개인데 갑자기 직장인 그만두는데 내가 한식을 어떻게 해? 라면밖에 끓일 줄 아는 게 없는데 한식집 할 수 있어요? 못 하잖아 그건 좀 열심히 해야 되는 거고 대부분 커피숍, 치킨집, 편의점이 우리의 최종 루트가 되겠습니다 게다가 보면 엄청난 속도로 늘고 있어요 2016년에 3만 4천 개였대 근데 2024년이면 뭡니까? 8년 만에 얼마가 는 겁니까? 2만 개가 늘었어요 이게 뭐 3만 4천, 2년에 막 5천 개씩 늘어 그러다 보니까 대한민국 편의점이 엄청나게 늘고 있다는 거고요 그리고 작년에 우리나라 유통 역사상 최초로 발생한 일이 있습니다 그게 뭐냐? 편의점 매출이 최초로 백화점 매출을 제쳤습니다 이제 오프라인 유통의 킹은 누구냐? 백화점? 오 no, 옛날 얘기야 편의점이야 제쳤어
(03:11) 잘가라x2 백화점을 제쳤어요 공식값은 아닌데 제쳤을 겁니다 한 11월까지는 제쳤기 때문에 12월로 역전 안됐을 거예요 역사상 최초로 제쳤고 과거에는 대형마트가 킹이었습니다 원래 우리나라에서 아주 옛날 빼고 2010년대 이후로는 대형마트가 우리나라 오프라인 패권이었어요 근데 엄청난 경쟁자가 등장했죠 누구였습니까? 이커머스가 등장했어요 이게 파란색 온라인이에요 온라인이 등장하니까 누가 가장 큰 피해를 받냐 백화점, 편의점 아니에요 대형마트가 날라갔어요 대형마트 비중 줄어드는 거 보이시죠? 대형마트가 엄청난 피해를 보면서 대형마트가 반퉁으로 날아갔고요 그리고 편의점은 사실은 뭐 그냥 그랬어 쏘쏘 대형마트가 주니까 백화점이 1위로 올라섰는데 여기가 대고 이쯤에서 백이에요 백화점이 그 패권을 잡았어요 근데 요즘 경기가 안 좋으니까 백화점 매출이 줄죠 반대로 편의점 매출은 늘어나면서 이제는 대형마트, 백화점 드디어 편의점으로 대 백 편으로 패권이 이동하고 있는 게 우리나라입니다 특히 작년에 대형마트나 백화점 내수 부진 아무래도 비싼 가격 이런 게 부담이 되다 보니까
(04:15) 대형마트는 온라인에 밀렸고 백화점은 옛날에 사치품들, 명품들 이런 거 많이 팔았는데 그게 부진하다 보니까 또 별로 안 좋고 반면에 편의점이나 기업형 슈퍼마켓 SSM 같은 경우에는 매출이 늘어나면서 역전을 하는 그런 일이 있었습니다 자, 그러면 생각을 해 봐야죠 편의점 그러면 우리 기억에는 옛날에 가격도 비싸고 이렇게 막 할인마트 이런 개념이 아니잖아요? 정가로 팔아 그래서 가격도 비싸 그리고 급할 때나 가서 사는 거 아니면 여유가 있을 때는 대형마트나 아니면 동네 마트 가서 조금이라도 할인 받아 사지 누가 경기가 안 좋다며 왜 비싼 편의점 가서 사냐 도대체 왜 뭐가 대한민국을 편의점 킹 국가로 만들었냐 이게 오늘의 주제인데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여러분들은 편의점을 왜 가십니까? 왜 그렇게 5만 5천 곳이나 늘었을까? 여러가지 이유가 있죠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담배가게라고요? 옛날에 담배가게였죠 제가 생각하는 결론 몇 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외식 물가 상승이 컸어요 되게 컸습니다 외식 물가가 너무 비싸 냉면 16,000원이야
(05:14) 외식 물가가 높아지니까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점심을 대부분 나가 먹습니다 일본은 옛날에 보여드렸지만 주로 벤또라 그러죠 도시락을 먹어요 우리나라 직장인들은 물론 구내식당이 있으면 구내식당을 먹지만 하여튼 외식이야 구내식당도 앞에 있는 식당을 회사에서 나온 다음에 나와서 도시락 싸가는 사람 거의 없잖아요 그래서 2024년 4월 27일 날 슈카월드 주제가 그거였어요 이런 식으로 물가가 올라가면 일본인들은 점심 도시락을 먹는데 우리도 바뀌지 않을까 이런 얘기를 했어요 근데 잘 생각해보면 우리는 도시락으로 바뀌긴 어려웠어 집에서 싸가는 거 왜냐 저 뒤에 있는 결론을 먼저 보여드리면 우리는 1인 가구가 40% 2인 가구까지 치면 63%가 넘어요 도시락은 일본식 도시락을 싸기가 쉽지 않아 문화도 안 되고 이런 거를 혼자 사는데 이거 언제 싸 이거야 이게 가족이 있어야 뭐 그렇죠? 가족을 위해 싸주고 그러는 건데 혼자 살면서 누가 이딴 걸 싸 가 이게 잘 안 돼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외식 물가 상승이 팍 등장을 하고 점심값이 13,000원 요즘에 싼 게 12,000원
(06:16) 와 냉면은 16,000원 미쳤고 이러다 보니까 뭐를 대용으로 생각, 사람들이 대용을 찾잖아요 편의점이 발 빠르게 움직였습니다 그게 여러분들이 너무나 잘 아시는 요즘 편의점 가면은 도시락이 2천 원, 3천 원짜리 저렴한 도시락부터 한솥도시락 저 어렸을 때 그 있었고 지금도 있잖아요 한솥도시락 잘 되잖아요 약간 한솥도시락 같은 그런 도시락을 쫙 깔아놨어요 소불고기 도시락, 무슨 김치찌개 도시락, 도련님 장모님 뭐 옛날에 한솥 그런 거 깔았었는데 그것처럼 2천 원, 3천 원부터 만원 프리미엄까지 저걸 딱 깐 거예요 그러니까 많은 사람들이 나가서 외식을 점심을 먹다가 아니면 저녁도 마찬가지죠 편하게 그냥 저거 들고 가서 먹는 편의점에서 먹건 아니면 회사 들어가서 먹건 그런 한 끼를 해결하는 그런 곳으로 많이 발전을 했죠 그래서 어느덧 옛날에는 일본 보고 요고 요고 옛날 슈카월드에서 우리가 이거 처음 보여드렸을 때 모두가 와 그랬어요 이게 거의 6년, 7년 전에 슈카월드에 나왔던 그 편의점 모습입니다 일본 편의점 이걸 보여주면서 우리가 와 일본에서는 별걸 다 파네 그랬었어요
(07:12) 기억을 못하셔서 그렇지 우리도 그때 있었는데 이렇게 크지 않았다고 우리도 있긴 있었어요 그때 도시락도 있었고 무슨 뭐 김혜자 선생님의 도시락도 있었고 다른 분의 도시락도 있었고 그런 시절이긴 한데 이렇게 넓지 않았어요 근데 요즘에 우리나라 편의점도 서서히 이렇게 되고 있죠 더 커지고 그런 모습으로 가고 있고요 그래서 요즘에 편의점 매출액 증가를 보면 편의점 전체 매출액은 3.6%밖에 안 늘었는데 밥 대신 먹을 수 있는 대용식품은 17.6%가 늘었습니다 라면, 국, 도시락, 간식 이런 것들 20%가 늘었어요 도시락 20%, 국, 탕, 찌개 20% 라면 20% 이런 식으로 매출액이 늘었고요 한마디로 제가 생각하기에 이게 있습니다 외식 수요층이 편의점으로 많이 이동했다 그 말인즉슨 누가 어렵겠습니까? 외식 수요층을 흡수하던 외식 자영업이 어려워져요 또 이유가 있어 그래도 11,000원, 12,000원이라도 앞에 나가서 가게에서 먹어줬는데 14,000원 16,000원 해도 가서 안 먹을 순 없잖아 안 먹을 수 없으니까
(08:16) 구내식당 있지 않으면 어떻게든 먹었는데 집에서 도시락 귀찮아서 어떻게 싸요 좀 비싸도 먹었는데 이제는 안 된다는 거야 점점점점점 어떻게 보면 어느 정도 진행이 됐지만 앞으로 더 많이 진행되지 않을까라고 생각되는 변화입니다 외식 자영업이 어려워져요 한마디로 외식 자영업을 열 사람들이 편의점을 열어 옛날에는 외식 자영업을 열었겠지 저희같이 40대 중반, 50대 가면 안되겠다 야 뭐 식당이라도 해보자 뭐 하면서 뭐 분식집도 열고 김밥천국도 열고 뭐도 열고 했는데 이제는 그게 어려워지니까 편의점으로 가는 어떻게 보면 새로운 길을 찾은 거죠 외식 수요층이 이동을 하면서 편의점도 더 크게 늘어나는 외식의 흡수가 약간 펼쳐졌고 정답은 아니에요 제 생각엔 그렇다 또 2024년 현재 보면 우리나라 특징 1인 가구가 천만 세대를 돌파했죠 천만입니다 천만 1인 가구가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40%래 이거 미쳤나 봐 40%도 넘었어요 세대별 그거에 따르면 행정안정부 자료에 따르면 43%입니다, 43% 43%가 혼자 살아 2인 가구까지 치면 60%가 훌쩍이야
(09:16) 65% 이상이 훌쩍이기 때문에 3명 중에 2명은 혼자 또는 둘이에요 이런 상황에서 아까 말씀드렸지만 1인 가구가 대세니까 도시락은 쉽지 않았고 언제 싸? 이거 언제 싸? 그냥 사먹고 말지 근데 싼 거 그러다 보니까 편의점 도시락이 그것을 공략했다고 할 수 있고요 편의점은 옛날을 생각해보면 가격이 싼 곳이 아니잖아요 여기는 잘 마트하고 다르게 할인도 안 하고 싸지가 않아 하지만 기회가 오니까 어떻게 했습니까? 편의점들이 자체 브랜드 상품을 적극적으로 출시했지요 일본을 벤치마킹하기도 하고 자기들이 아이디어를 내기도 하면서 요즘에는 PB상품으로 덮고 있어요 혜자 선생님 도시락은 나온 지 오래됐고, 이건 나온 지 오래된 건데 요즘에 새로 버전업 해서 다시 나왔습니다 가성비의 대명사로 편의점이 불릴 날도 있구나 일반 상품은 아닌데 먹거리에 한해서는, 도시락에 한해서는 이런 가성비의 대명사, PB상품이 가격을 낮추면서 그런 모습을 보였고요 또 우리나라 1인 가구의 특징이 있습니다 숫자가 많다 말고도 어르신 가구가 많아요 이거 착각하는 분들 많던데
(10:14) 1인 가구 하면 청년들을 떠올리는 분이 많던데 착각이에요 청년도 1인 가구가 많지 하지만 절대 숫자 자체가 안 돼 여기 절대 숫자가 안 돼 고령화가 더 세 그래서 50대 이상 1인 가구가 엄청 많아요 거의 2030과 50대가 1인 가구 숫자가 똑같습니다 60대는 더 많아 게다가 이 나이가 든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40, 50, 60의 1인 가구 늘어나는 속도가 2030 1인 가구 늘어나는 속도보다 더 빠릅니다 절대 숫자가 더 많아 이쪽이 1인 가구는 청년들이라고 생각하면 안 돼요 가슴이 아픕니다 가슴이 아파 40, 50, 60 이렇게 좀 특히 5060 어르신들이 1인 가구가 많아요 근데 외식값이 비싸 이 나이 돼서 막 밥 혼자 챙겨 먹기 그게 어렵단 말이에요 그러다 보니까 최근에 나온 자료를 보면 놀라운 일이 펼쳐지는데 50대, 60대 어르신들의 편의점 매출액이 증가합니다 대한상공회의소 마켓링크의 자료인데 야 저 이거 보고 깜짝 놀랐어요 50대, 60대 어르신들이 그냥 일반 우리가 흔히 말하는 동네 마트나 아니면 대형마트 뭐 이렇게 가서 할인 뭐 이런 거 많이 받으실 것 같은데
(11:14) 1년 매출액이 증가했어 최근 2년간 여기가 이끌었어요 뭘로 이끌었겠습니까? 먹는 거 도시락 뭐 이런 PB상품들 이런 걸로 많이 이끌고 또 요즘 50대, 60대 어르신들은 요거 잘해요 스마트폰 이런 거 우리 때랑 달라 뭐 못하고 그럴 것 같죠? 앱도 이쪽이 다 씁니다 오히려 젊은 친구들이 야 그거 뭐 아껴 써서 뭐하니 아 그냥 두세요 여기 카드 없네요 할인카드 없어요 어르신들은 다 챙겨 그러다 보니까 편의점 매출이 굉장히 크게 어르신들이 많이 이끈 측면이 있고 되게 놀랍죠 그리고 어르신들은 집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는 편의점을 선호하죠 이제 나이 들면 먼 거리 잘 안 가 아유 힘들고 또 대형마트 가면 많이 사야 되잖아 난 많이 필요 없다니까 이만한 거 있으면 되는데 그거 언제 거기 가 또 배달해도 이만한 거 배달하면 3천 원이에요 배달비가 나 이만큼밖에 안 시켰는데 배달비 3천 원 하면 어떡해 그냥 앞에 가서 사 그러다보니까 편의점들이 그 수요를 눈치를 채요 그래서 야채, 반찬 요런 걸 줍니다 이걸 뭐라 그러냐면 편의점이 마트화 돼 동네 슈퍼마켓이 죽었죠
(12:12) 동네 슈퍼마켓 있었으면 그 역할을 했을 텐데 동네 슈퍼마켓이 다 죽어버린 다음에 하다 보니까 편의점들이 마트가 되면서 과일 있고 요즘 뭐 쌀 있고 심지어 뭐 야채 갖다 놓고 반찬 갖다 놓고 동네 마트가 되는 거죠 동네 마트 그런 역할까지도 많이 맡게 된다는 거죠 그리고 요즘에 뭐 딴 얘기긴 한데 요런 거 레스토랑 간편식 이건 뭐냐 거기서 먹다보니까 맨날 그래요 사람이 그렇다고 맨날 저렴한 거만 먹을 수 있냐 그러니까 좋은 것도 간편식으로 만들어 놨어 레스토랑 대체식 HMR은 홈 밀 대체식입니다 가정식 편하게 먹을 수 있는 거 이거는 아예 외식 대체식이야 프리미엄 상품 전국 맛집 흑백 요리사 누구 어디 셰프님의 떡갈비 이런 게 나와 전국에서 제일 잘 나가는 떡볶이 장인의 무슨 떡볶이 이런 게 등장을 하면서 레스토랑 이름을 따 심지어 뭐더라 미쉐린 2성급의 떡국 뭐 그런 게 등장을 하니까 이제는 편의점에서 그런 걸 먹는 시대가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저나 형님들이 하여튼 이런 생각하잖아요 편의점 그거 담배 사는 거 아닌가
(13:11) 옛날입니다 담배 판매가 편의점 매출의 50% 넘었을 때가 있었어요 요즘에 담배도 잘 안 피우고 담배는 이제 매출의 30% 중반까지 떨어졌습니다 3분의 2, 아직도 높긴 한데 점점점점 내려가고 있고 이제 아까 말한 먹거리들이 많이 차지하고 있죠 그러다 보니까 요즘 편의점은 또 약간 진화를 하는데 약간 요런 거 먹거리 유행이 딱 터져 그럼 제일 먼저 반응하는 데가 어디냐 대형마트? 아니 그런 데 아니에요 편의점이 제일 먼저 반응합니다 편의점이 어떤 유행을 테스트 베드 같은 곳이 되고 있어요 뭐가 빵 터지면 편의점에서 제일 먼저 등장을 해 예를 들면 2024년 하반기 대한민국 강타했던 흑백요리사 터지자마자 한 달도 안 돼서 밤 티라미수 컵 야 이 여기 셰프님하고 손잡고 요거 만들었죠 요즘엔 그래요 뭐 뜨면 바로바로야 도시락은 더 말할 필요 없어요 뭐 백종원 선생님, 김혜자 선생님 우리나라 웬만한 셰프들 다 있어 유튜버도 다 있어요 다 내 뭐 하나 있으면 심지어 저도 예전에 경제적인 도시락 어떠냐 농담 아닙니다x2 경제적인 도시락 내보는 게 어떠냐라는 제안을 받은 적이 있어요
(14:13) 그래서 저 음식 알못인데요 그랬더니 괜찮대 경제적으로 내면 된대 김혜자 선생님보다 한술 더 뜬 경제로 간다 가운데 새우 큰 거 하나 넣어주고 경제 도시락 어떠냐 뭐 이러길래 정말 감사한 제안이긴 했는데 야 경제 도시락 너무 싸게 만들었다가 새로운 단어로 슈카스럽다 뭐 이런 단어가 또 나오면 어떡하지 야 고민이 되는 거야 아 잠깐만 야 이거 슈카스럽다라는 단어가 또 대한민국 강타하면은 아 그래서 안타깝지만 안타깝지만 못한 적이 있었습니다 아 뭐 잘 만들면 되는데 잘 만들면 나중에 조금 여유가 되면은 아 경제 도시락 그쵸 이제 혜자 선생님의 혜자스럽다와 함께 정말 가성비 있다 슈카스럽다 좋네 혜자스럽다 옆에 붙이면 되겠네 비슷한 동의어로 가도록 한번 노력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바로바로 하여튼 출시가 돼요 게다가 최근 2년 편의점에서 제일 빵 터진 상품이 뭐냐? ㅎㅎㅎㅎ 연세대 대단한데? 자료 만드는 친구가 연세대 출시라서 그런가 조금 노린 게 있는 것 같긴 해요 연세 우유 생크림 빵이 출시 2년 만에 5천만 개가 팔렸다고? 연세유업
(15:19) 혹시나 찾아봤어요 연세유업은 연세대학교 산하 사업체가 맞구만 이름만 넣어서 이게 따온 게 아닙니다 산하 사업체였대요, 산하 사업체 오 빵 보소 역시 연세대는 빵이 아닌가 이쯤되면은 고대 형들도 뭐하나 만들어야 되는데 뭐할까 고대는 떡 할까? 빵 아니면 떡이죠? 피자? 피자 말고 뭐 없나 서울대는 뭐 하지 말고 서울대는 뭐 해봐야 뭐 그쵸? 우리는 뭐 뭉치면 안되더라고 우리는 뭐 그쵸, 축제한다 그러면 한 200명 오고 하지 말고 하여튼 뭐 가장 전설이 된 게 이 크림빵이라고 하고요 게다가 이 크림빵은 이번에 밤티라미수가 떴잖아요 바로 연세빵 밤티라미수 버전도 만들었습니다 빠르네 연세빵 밤티라미수는 뭐냐 아까 전에 이거 이게 떴다고 바로 밤티라미수를 갖고 와서 셰프님도 여기 계시네 셰프님과 함께 밤티라미수 생크림빵 이런 게 요즘 편의점입니다 뭐 하나 뜨면 가서 그걸 만들어서 그걸 저기다 넣어서 그걸 팔면 바로바로 돈이 돼 되게 유튜브하고 비슷해 느낌이 뭐 하나 뜨면 그걸로 썸네일 만들고 그걸 영상 만들어서 조회수 폭발시키잖아요
(16:23) 막 돌리는 거 옛날에 가짜사나이 뜰 때 막 천만 조회 막 이렇게 돌리잖아 요즘 비슷하게 뭐 하나 뜨면 편의점에서 그걸로 막 돌려 농담 아닙니다 그걸로 막 바이럴하고 마케팅하고 막 돌려요 그냥 빵빵빵빵빵 팔아 그게 요즘 편의점이에요 오... 그러면은 사실 제가 연세빵 잘 몰랐는데 이번에 보니까 오 얘네 뭐야 장난 아니던데 한라봉 연세빵 뭐냐, 한라봉 황치즈 생크림빵, 말차 생크림빵 하여튼 그런 게 있다고 합니다 많아 하나만 더 보여드리면 2024년 6월 갑자기 우리나라를 강타했던 초콜릿이 하나 있습니다 그게 뭡니까? 작년 하반기부터 강타했죠 두바이 초콜릿 아니 이게 뭔가 했어요 애들이 하도 두바이 초콜릿x2 해서 뭐 누가 떼어주더라고 먹어 보라고 그래서 뭐야 했더니 이거 귀한 거를 그렇게 한다고 나한테 뭐라고 그러던데 아니 이게 뭐냐 두바이 현지 디저트 업체 제품이래요 온라인 주문을 했는데 떴어 갑자기 왜 떴는지도 모르겠습니다 탕후루 탕후루 후루루루루 뜨는 것처럼 두바이 두바이 하면서 뭔가 떴어 SNS 통해서 빠르게 확산됐대 이걸 막 두바이 초콜릿 먹고 가서 사고 뭐 그런 게 붐이었는데
(17:21) 한 달도 안 돼서 뭐가 떴습니까? 편의점에? 두바이 스타일 초콜릿 이게 제 뇌피셜인데 저 스타일이라는 걸 넣은 거는 약간 회피 기동 그쵸? 전투기가 날아가다가 뭐가 오면은 어 이렇게 회피 기동을 하죠 롤로 치면 점멸 어 이게 회피 기동을 했는데 신속한 회피 기동이었을 수 있다는 약간 뇌피셜이 드는데 아닐 수도 있고요 이게 상표권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네 두바일 스타일 초콜릿을 CU가 중소기업하고 잽싸게 정말 한 달 만에 만들어 갖고 두바일 초콜릿 먹고 싶으면은 이제 CU하고 가서 국내 중소기업 했다 그러니까 중소기업을 응원하기 위해서 가서 먹어줘야죠 한 번쯤 먹어줄만하지 않나 생각하고 요게 있답니다 바로바로 등장을 했다고 하죠 몇 년 된 거지만 요즘에 추세 보여드리면 이런 거 배틀그라운드 하다 보면 치킨 먹죠 오늘 저녁은 이기면 나와 치킨이다 하면서 이기면 1위 하면 치킨 나오는데 그 치킨 나오니까 GS25가 갖고 왔어 배틀그라운드 PUBG의 배그를 갖고 치킨 할인 행사도 하고 이런 게 요즘 편의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외국인이 놀라는 거
(18:26) 대한민국 편의점은 물류, 택배, 우편, 호출, 충전, 미아 보호 심지어 미아보호 뭐냐 요즘에 그것도 있던데 청소년 여성 안심 중간에 쉬는 거 안심 스톱 하는데 뭐가 불안하면 편의점으로 들어오라는 거지 파출소처럼 뭐 그런 것도 하고 애견 보험 판매 뭡니까 개인적으로 부동산 라이센스 따서 부동산도 같이 거기서 하시면 편하시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하여튼 이런 지역 거점까지 될 정도로 유통 기능이 확산된다고 합니다 재밌는 거 하나 보여드리면 GS25가 요즘 많이 하는 거 스포츠 특화 매장도 있다는데 요즘에 특화 매장 이런 것도 한대요 편의점들이 개인적으로는 야구입니다 프로야구 특화 매장인데 홈런볼은 기가 막히게 팔리겠네 홈런볼? 아님 뭐 빠따 뭐 이런거 뭐 빠따 뭐가 있지? 글러브 관련 이런 거 많이 팔릴 것 같은데 이런 매장도 있는게 요즘이라고 합니다 다만 제가 생각하기에 편의점이 약간 아쉬운 거는 개인적인 생각에 일반 제품들의 가격 경쟁은 약해요 아직도 약해 지금까지 싸다고 얘기를 한 거는 PB상품, 먹거리, 도시락 뭐 이런 것들
(19:26) 이런 것들을 갖다 놓는 거는 서로 PB상품 같은 거 저가 아니면 안 사니까 근데 아직도 편의점은 정가라는 인식 때문에 일반 상품들이 비싸 옛날 대형마트나 아니면 동네 마트는 약간 깎아주는 맛이 있었거든요 뭉탱이도 있고 근데 이 편의점은 그렇게는 안 하죠 가격 경쟁을 잘 안 해 결론적으로 말하면 가격 경쟁 다 똑같아 여기 편의점도 저기 편의점도 가격이 똑같아 써 있는 거 똑같기 때문에 가격 경쟁까지 하는 날이 올지 모르겠습니다 할지 모르겠는데 과점 형태다 보니까 쉽지 않은데 물가를 낮추는 그런 역할도 좀 해주기를 기원 한번 해보고요 CNN에 기사가 떴어요 한국 편의점 자, 이게 그겁니다 한국은 편의점의 글로벌 왕이 됐다 아까 보여드렸죠? 5만 5천 개 택배 받고 지하철 카드를 충전하고 점심을 먹고 현금을 인출하고 그런 일들을 한국에서는 모두 한 곳에서 할 수 있다 너희들 우체국 가야지, 지하철 가야지, 식당 가야지 은행 가야 돼 에헤이 한국에서는 한 곳에서만 할 수 있습니다 심지어 가끔 파출소 역할처럼 위험하면 들어가 뭐 그런 것도 돼요
(20:25) CCTV도 있어요 다 찍어주니까 이게 대한민국의 편의점이 됐고요 분명 과거에는 우리나라 편의점들이 일본 편의점들의 전략을 모방했지만 이제는 오히려 혁신적인 전략 이제 모방 안 해요 우리가 1등인데 누굴 모방해 옛날 얘기지 우리가 오히려 혁신적인 전략으로 승부하고 있고 밀도도 더더욱 높아지고 있고 제 개인적인 생각엔 유럽 가면은 많은 분들이 좋아하는 문화 있죠 이거 길거리에서 오 샹젤리제 딱 커피 한잔 하면서 마시면서 이태리나 프랑스 가면 낮에 마시면서 서로 얘기하고 2시간, 3시간 음식 먹고 이런 문화가 있는데 우리도 있습니다 우리는 뭐가 있냐? 밤에 저기서 놔두고 우리도 이거 깔고 녹색 플라스틱 의자에서 외국인들이 보면 깜짝 놀래 저건 뭐냐고 이 밤에 위험하지 않게 이게 우리 문화야 캔맥주 하나 뜯으면 기가 막힌다 여기 안주 바로바로 나와요 바로바로 데워줘 바로바로 데워주기 때문에 이 기가 막힌 이런 문화 이것도 이제 우리나라 편의점 문화가 아닌가 꼭 샹젤리제 할 필요 있나 이거 좀 멋지게 꾸며놓으면 되죠 밖에 이런 문화도 대한민국도 있다고 하고요
(21:29) CNN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한류를 맞이해서 한국은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다 그래서 외국인들한테 한국 편의점도 인기가 있다 아 나도 한국 편의점 가고 싶다 약간 어폐가 있긴 한데 대충 알아들으십시오 그래서 유튜브에 보면은 한국 편의점 레시피 한국 편의점에 오면 꼭 먹어야 될 제품 이런 것들 꽤 있습니다 검색해보세요 영어로 있어요 진짜로 제가 검색해봤어 실제로 있어 꼭 먹어야 될 제품, 뭐 꼭 해봐야 될 거 예를 들면 외국인들이 놀라는 거 편의점에서 라면 끓여 먹는 거 한강에 한번 데려가세요 외국인 친구 있으면 한강 데려가서 이 라면 한번 끓여주면 쓰러진다 진짜 농담 아니에요 해봤어 쓰러져 와 이거 너무 맛있고 왜냐면 배고프거든 춥게 만든 다음에 그냥 가면 안 되고 한 바퀴 돌아 애가 힘들어 그럼 추워 밤이 되면 춥습니다 여름에도 추워요 가을쯤에 가면 추워 그럴 때 이 라면 하나 주면 애가 거의 감동의 도가니탕에 눈물을 쫙쫙 흘리고 한국에 대한 사랑이 막 물씬물씬 나면서 그런 게 있기 때문에 K-문화를 익혀주려면 엄한데 가지 말고 엄한데 다른 데 말고
(22:31) 이런 거 하다가 어 안 되겠다 힘들 때 이런 데 한번 앉혀주면 너무 좋아해 여행이 별거니? 뭐 이렇게 멋지고 삐까번쩍하고 서양 거 따라 한 데 가봐야 지네 나라 따라 한 거 가봐야 감흥이 없어 이런 거 하나 여기 앉아가지고 호호 불면서 이거 먹으면 감동이 막 와 이것이 한국이구나 한국의 문화를 온몸으로 농담이 아니야 진짜 그렇게 느껴요 해보시면 압니다 해보시면 자, 요거를 이제 관광 상품으로 하나 밀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고 다 끝났으니까 마지막으로 한국 편의점 외국인들 최고 존엄 상품은 여러분 다 아시는 거 하나 있습니다 수년간 1등을 놓치지 않는데 가끔 놓치기도 하는데 바로 그거 바나나맛 우유 유행에 따라 가끔 1위를 놓치긴 해 하지만 꾸준하게 1, 2위를 왔다갔다 하는 게 요 바나나맛 우유라고 합니다 이유는 모르겠어요 뭐 그렇대 하여튼 그렇구요 게다가 이걸로 외국에서는 얼음컵에 바나나 우유에 커피를 제조하는 메뉴가 SNS 유행을 타기도 했대 그게 뭐냐고 봤더니 저도 이번에 처음 봤어요 한국 편의점에 와서 이거 얼음컵 팔죠? 얼음컵 산 다음에 여기 커피도 팔잖아
(23:30) 아무거나 커피 한잔 집어 넣고 넣어 그에 바나나 우유를 부어 이게 코리안 레시피야 하면서 한국 편의점에 가서 반드시 먹어야 될 상품 뭐 이런다는데 야 우리 그렇게 안 먹어 나 처음 봤는데? 나 오리지널 꼬레안인데 이거 처음 봤는데 그렇게 먹어요? 오 내가 늙었나? 젊은 친구들은 그렇게 먹을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처음 봤는데 그렇다고 합니다 그래서 약간 다른 점 하나 말씀드리면 마지막의 마지막이네 옆나라 일본 편의점은 점주들의 평균 연령이 50대래요 50대 이상이 60% 이상 평균 연령이 53.2세 근데 우리나라는 놀랍게도 그렇다 해서 그런지 몰라도 2030 점주의 비중이 되게 높대요 저 이 기사 보고 깜짝 놀랐는데 40%랍니다 그러니까 20대 점주들이 많이 한대요 요즘에 그런 걸 눈치채고 뭔가 트렌디하게 도전을 한다는 거죠 창업 아이템이 됐다고 하는데 그래서 이거 드라마도 있대 히트쳤다는데? 편의점 뚝딱이? 편의점 뚝딱이 20대 초보 점주, 못 봤는데 재밌다고 합니다 이거 인기를 많이 끌었대요 아무래도 감정이입이 되잖아 물론 편의점을 하는 이유는 당연하겠지만
(24:31) 창업 비용이 낮아요 좀 싸죠 평균 한 1억 1,800만 원 피자, 버거, 한식, 커피집 이런 것보다 인테리어가 싸고 거기서 다 와서 해주니까 특별한 기술이 없어도 되고 창업 비용이 싸고 한데 하지만 편의점 쉽지 않습니다 특히 요즘 더 좋아졌다고 하지만 경쟁이 워낙 많아지니까 경쟁이 더 심해지고 제 친구가 편의점을 한 번에 4개인가 냈다가 지금 하나 하고 있습니다 하여튼 쉽지는 않지만 젊은 친구들이 많이 도전하고 있다고 하고요 정말 화이팅이고 그리고 이건 있습니다 일본 편의점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노동력 부족이에요 편의점 24시간 하다 보니까 자기 혼자 안 되잖아 가족 단위로 밖에 못 하는데 아니면은 알바 써야 되는데 알바가 너무 힘들대 일본에서 그래서 일본에서는 이렇게 외국인 노동자분들이 많이 하시는데 우리도 아마 비슷한 전철을 겪을 가능성이 있어서 창업 도전하는 건 너무 좋지만 꼭 여러 가지 어려움을 같이 잘 고려하셔 갖고 성공적인 사업 하시기를 기원하겠습니다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국내여행? 뭐 볼거있나? (1) | 2025.02.01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트럼프 2기 시작합니다 ㅋㅋ (0) | 2025.01.31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중국시장은 힘들어. (2) | 2025.01.29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암울한 성장률.. (0) | 2025.01.28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보험은 빨리드는게 장땡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