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요약
터키(튀르키예)에서는 현재 대규모 민주주의 시위가 진행 중입니다. 시위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그의 최대 정적이자 이스탄불 시장인 이마모올루를 부패 혐의로 체포하면서 촉발됐습니다. 현재까지 2,000명 이상이 체포되었고, 경찰은 최루탄을 사용하며 강경 진압 중입니다.
에르도안 대통령은 현재 22년째 집권 중이며, 2023년 대선에서 이번이 마지막이라고 했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가 2028년 헌법 개정을 통해 재출마를 시도할 것이라고 의심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차기 유력 대선 후보인 이마모올루를 제거하려는 정치적 의도가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터키는 최근 군사 및 방위산업 강국으로 부상했습니다. 특히 군용 드론 시장에서 세계 1위 수출국이 되었으며, 바이카르사(바이락타르 드론 제조사)는 글로벌 군용 드론 시장의 6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회사의 CEO인 셀주크 바이락타르는 에르도안 대통령의 사위로, 터키의 "일론 머스크"라 불리며 후계자로도 거론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유럽과 미국은 터키의 민주주의 탄압에 대해 과거보다 약한 비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터키가 우크라이나 전쟁, 난민 문제, 그리고 무기 공급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으로, 서방 국가들이 터키의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인권과 민주주의 문제에 강하게 대응하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English Summary
Turkey (Türkiye) is currently experiencing large-scale pro-democracy protests. The demonstrations were triggered after President Erdogan arrested his main political rival and Istanbul Mayor Imamoglu on corruption charges. So far, over 2,000 people have been arrested, and police are using tear gas and pepper spray to disperse protesters.
President Erdogan has been in power for 22 years. Although he claimed that the 2023 election would be his last, many suspect he might attempt to change the constitution to run again in 2028. Critics believe the arrest of Imamoglu, a likely presidential candidate, is politically motivated to eliminate a strong opponent.
Meanwhile, Turkey has emerged as a major military and defense industry power. It has become the world's leading exporter of military drones, with Baykar (manufacturer of Bayraktar drones) controlling 60% of the global military drone market. The company's CEO, Selcuk Bayraktar, is Erdogan's son-in-law, nicknamed "Turkey's Elon Musk," and is considered a potential successor.
In this context,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have shown milder criticism of Turkey's democratic backsliding compared to the past. This is because Turkey plays a crucial role in the Ukraine war, refugee issues, and weapons supply. Western countries are unable to strongly respond to human rights and democracy concerns due to Turkey's strategic importance in the current geopolitical landscape.
23년째 장기집권 중인 에르도안, 정적(政敵) 전격 체포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3ZoQuqWwBU8
Transcript:
(00:08) 터키 쿠데타...! 아, 터키 쿠데타 아, 제목을? 깜짝아 잠깐만요 제목이 언제 이거였지? 죄송합니다 터키에도 쿠데타가 났다는 거죠 터키 얘기입니다 터키 얘기, 깜짝 놀랐네 제목이 이거였구나 왜 안 바꿨지 바꾼다고 생각했는데 머릿속으로만 생각하고 미처 바꾸지 못했는데 터키 얘기를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터키 얘기 왜 터키라고 부르냐 튀르키예 아니냐 나는 불편하다 라고 생각하시는 분 계실 텐데 튀르키예라고 해도 되고 터키라고 해도 된대요 왜냐하면 교수님이 말씀해 주셨는데 그럼 독일은 독일이냐 절머니지 그렇죠? 아무도 독일이라고 안 부르죠 불란서는 불란서냐 프랑스지 뭐 그런 거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중국, 차이나 이것도 마찬가지고 우리식으로 부르는 이름이기 때문에 사실 상관없다 예를 들면 영어권 언론들은 여전히 터키라고 부른다고 합니다 물론 본인들은 터키가 칠면조 비슷한 멍청한 이런 뜻이 있으니까 튀르키예라고 바꿔달라고 했는데 그런 어감이,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는 나라에서는 튀르키예라고 바꿔주면 되지만
(01:13) 우리나라는 터키라고 했을 때 전혀 부정적인 이미지가 없기 때문에 터키라고 해도 되고 그렇죠? 튀르키예라고 해도 되고 뭐 다 상관이 없다 워낙에 터키가 많이 알려져 있으니까 이 영상에서는 터키라고 부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면 터키 아이스크림 튀르키예 아이스크림이라고 요즘 잘 안 하죠 이렇게 줬다 빼앗았다 하는 거 터키 케밥 튀르키예 케밥이라고 잘 안 하기 때문에 워낙 오래 사용해 와서 일단 이 영상에서는 터키라고 갖도록 하겠습니다 자 좋습니다 현재 터키는 어떤 모습이냐 현재 터키는 대규모 민주주의 시위로 난리가 난 모습입니다 와 가서 보세요 정말 수십만 명이 도로를 쫙 점거하고 막 깃발 흔들고 우리 옛날에 봤던 막 최루탄 날리고 그런 모습이 현재 터키에서 벌어지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공식적인 체포자가 2천 명을 넘어가고 있는 거의 비상사태급의 대규모 민주주의 시위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보시면 제가 사진 몇 개 보여드릴 텐데 이래요 와 이게 뭐 많이 보던 모습 깃발 좀 막 휘둘리고 왜 이런 일이 일어났냐? 바로 야당의 야권의 가장 유력한 정치인이
(02:17) 지금 터키에서 체포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왜 체포되었는지는 뒤에서 보여드리겠습니다 터키하면 자신들을 붉은 악마라고 부르죠 우리도 우리를 붉은 악마라고 부르고 그러다 보니까 빨간색이 도시를 덮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일단 터키 당국은 어떻게 하고 있냐? 안타깝게도 강경 대응하고 있어요 2천 명을 체포하고 뿌리는 게 최루액입니다 최루액 발사하고 후춧가루, 스프레이라고 그러죠 막 뿌리면서 모여있는 시민들을 해산시키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그러다 보니까 이번에 정말 유명한 사진들이 많이 나왔어요 언론에서 우리나라에서는 많이 퍼지지 않았지만 유럽 언론이나 미국 언론 보면 특히 왼쪽에 있는 이 사진 아마 어디서 보셨을 겁니다 시민들이 자꾸 최루탄을 쏘니까 방독면을 쓰고 나왔어 방독면을 경찰이 거기다 대고 에라이하고 방독면 얼굴에 뿌리는 이 장면 시민들의 저항이 후추 스프레이라고 하던데 저거를 최루탄이에요 최루탄 최루탄 같은 걸 쫙 뿌리는 이 장면이 명장면으로 꼽히면서 AP 뉴스 대문만하게 뜨고 CNN도 뜨고 하면서 터키의 민주주의를 위한 지금 열망이 세계를 강타하고
(03:19)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러면 아까 말씀드렸지만 이들은 왜 거리로 나왔냐 바로 현직 이스탄불 시장이자 야당의 대표주자라고 불리는 이마모올루라는 아저씨예요 3월 19일날 현직 터키 대통령 에르도안이 자신의 최대의 정적이자 차기 대선 유력 후보 그리고 현직 이스탄불 시장을 체포했습니다 전격 체포하는 일이 있었어요 이 이마모울로 시장은 방금 말씀드렸지만 현 에르도안 대통령의 최대 정적입니다 또 국민적 인기가 아주 높은 지도자예요 사실상 정상적으로 가면 다음번 터키 대통령 선거에 승리자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라고 생각하는 인물인데 갑자기 터키 사법당국이 부패 혐의로 투옥을 시켜버린 겁니다 그러다 보니까 지지하는 반대편 이마모올루 시장을 지지하는 그런 유권자들이 국민들이 일어났다는 건데 참고로 터키 상황을 여러분 다 아시지만 에르도안 대통령은 54년생이거든요 현재 22년째 집권 중입니다 1994년 이스탄불 시장이었고요 2003년에 총리가 되고 그 다음에 대통령으로 와서
(04:21) 22년째 대통령을 하고 있어요 하지만 아무 걱정 없죠 왜냐하면 에르도안 대통령이 뭐라고 얘기했었냐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지난번 대통령 선거 이후에 나는 마지막입니다 2023년에 터키 대선이 있었어요 그때 나는 이번이 마지막이야 이제 은퇴할 거니까 요번만 뽑아주세요 해서 됐거든요 그러니까 2028년이 끝이야 나 정계 은퇴할 거야 그러면 야당 지도자들을 탄압할 필요가 없잖아요 자기 다음 번에 나올 것도 아닌데 근데 왜 탄압하냐? 글쎄요 저도 잘 모르겠는데 많은 언론들에서 내미는 의심은 이겁니다 옛날 에르도안 옛날 총리 총리 시절에 그때는 총리가 실권자였습니다 터키에 근데 갑자기 총리 3선인가를 막았기 때문에 3선을 막았나? 4선을 막았나? 그때 막았어요 헌법 개정을 했어 그러더니 대통령제로 돌아갔습니다 그러더니 다시 대통령을 했죠 그리고 이번에는 2023년 이번에는 이제 대통령 임기가 마지막이야 더는 대선 출마가 안 돼요 그러니까 2028년 대선 출마가 터키 헌법상 안 되는 거야 그러면 끝이지만 한 번 해봤던 헌법 개정을
(05:24) 두 번은 못하겠냐 왠지 느낌에 아직 멀었죠 2028년이 멀었기 때문에 왠지 군부를 떼는 모습이 베이비 원 모어 타임을 외치면서 헌법 개정을 한 번 더 해서 이건 몇 번 개정하는 겁니까 도대체? 다시 한 번 출마를 할 것 같다라는 분위기가 몽글몽글 나오고 있다는 거죠 게다가 출마를 했을 때 에르도안 대통령이 압도적인 인기로 이기면 모르겠는데 지난번 대선에서도 질 뻔했거든요 44.8 대 49.5가 나왔어 지난번에도 아슬아슬해서 결선 투표까지 갔어요 52%를 얻어서 간식이 됐는데 이번에 만약에 2028년에 다시 한 번 헌법 개정을 해서 나온다고 하면 이기겠냐 많은 언론들에서는 이번엔 질 거다라고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터키가 그만큼 경제 상황이 좋지가 않거든요 좋지가 않기 때문에 2028년에는 에르도안이 차기 대선에서 아마 질 거다라고 예상을 하고 있고 많은 음모론자들과 언론에서는 이렇게 얘기하죠 그래서 미리 싹을 밟아놓은 게 아니냐 라는 혹시, 혹시나 그래서 그런 게 아니냐 물론 뭐 부패 때문에
(06:28) 아무런 그런 정치적 그런 거 없이 부패 때문에 잡아놓을 수도 있지만 지금 분위기를 보니까 최대 정적을 긴급 체포한 다음에 여기는 대선 출마 자격이 대학 학위예요 대학 학위를 박탈하겠대 그래도 되나? 그게 되나? 하여튼 모르겠지만 그 박탈을 해서 차기 대선 출마 자격을 없애고자 하는 게 아니냐라고 얘기를 한다는 거죠 물론 이런 몹쓸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터키 정부에서는 이런 루머를 일축했습니다 에헤이 우리는 독립적이며 정치적 간섭을 전혀 받지 않고 야당 지도자를 체포했을 뿐이다 라고 이제 주장하면서 오직 부패 때문에 이 정치적 부패는 막아야 되지 않겠습니까? 그렇기 때문에 체포했을 뿐이다 라고 얘기를 했죠 다만 지금 현재 시위대는 믿을 리가 없고요 묘한 타이밍에 묘한 이유로 묘하게 잡아갔기 때문에 이렇게 얘기하는 거죠 이스탄불 시장의 긴급체포는 쿠데타다 예전에는 군인들이 쿠데타를 일으켰는데 요새는 정치인들이 쿠데타를 벌인다 그래요? 그런가? 어디서 많이 본 듯한 그런 단어네
(07:32) 터키 얘기입니다 터키 얘기 그래요? 요새는 그래? 터키에서 그랬구나 터키에서 그런 일이 있었다는 거고요 그래서 이마모올루가 속해 있는 정당에서도 이번 사태를 쿠데타라고 규정하고 쿠데타에 반대하기 위한 시민들이 벌인다 시위를 벌이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가서 보면 이마모올루가 옥중서신을 보냈대요 이것도 군사정권 시절에 보던 건데 군사정권 시절에 그쵸 무슨 옥중서신이 있었는데 이렇게 적었답니다 정부는 나를 투옥하고 나를 함부로 다룰 수 있지만 나는 두렵지 않고 끝까지 저항할 것이다 정의는 승리하리라 라고 보내고 이것도 시위대가 흥분하고 그런 상황이라고 할 수 있고 터키가 어떤 상황인지 충분히 알 수 있죠 에르도안 대통령은 강경진압을 선언했습니다 이번 시위는 쇼다 시위를 하는 사람은 법적 처벌을 경고했고 야권에는 국민들을 선동하지 말라라고 또 얘기를 했죠 그런데 이렇다 보니까 터키 경제가 터키가 옛날에 환율 때문에 우리나라 많은 기업들이 터키에 들어왔다 어려움을 겪었다로 얘기한 게 여기 언저리인데
(08:34) 더 가고 있죠? 더 가는데 위로 갈수록 약해지는 겁니다 우리나라 원 달러로 치면 한 4천도 더 갔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저 야당 지도자 체포한 다음에 환율을 막아야 되잖아요 환율 방어를 위해서 보유하는 외환 보유고의 27%가 현재 날아갔다고 합니다 환율 붕괴를 막기 위해서 계속 외환 방어를 하다 보니까 외환 보유고가 날아가고 있고 그리고 환율이 저렇게 날아가면 당연히 인플레이션은 엄청 높습니다 우리나라면 원 달러 환율 4천 원이라고 생각해보면 물가가 얼마일지 상상하면 엄청나죠 터키 인플레이션은 현재 많이 내려와서 38% 무시무시한 나라입니다 무시무시한 나라 어머 많이 내려와서 38% 매년 물가가 40%씩 올라 한때는 70%였습니다 물가가 이때 왜 이렇게 떴냐? 물론 많은 이유가 있었는데 그때 당시 터키 정부가 뭐라고 했었냐면 이런 얘기를 했습니다 고금리가 고물가를 유발한다 그래서 저금리로 만들어야 된다 옛날에 축하할 때 나왔었죠 아주 옛날에 금리를 내려서 나는 물가를 잡겠다 이런 말을 했어요 에르도안 대통령이 당시 중앙은행 총장은 뭔 소리야?
(09:35) 그때 잘랐습니다 뭔 소리야 잘랐죠 자르고 금리 인하 막 하고 통화를 막 풀면서 물가를 잡아보겠다 그랬다가 78% 빔을 맞았는데 그때 에르도안 대통령이 신의 의지로 인플레이션은 곧 떨어지기 시작할 거다 라고 시작을 했죠 그다음에 기도가 신실하지 않으셔서 신이 약간 격노해서 잠깐 올라갔는데 결론적으로 70% 물가상승 빔을 맞고 금리 인하는 포기했죠 포기했죠 좀 내려보다가 어? 어? 어? 이렇게 올라가서 저 요만큼 내렸는데 한 10% 내렸는데 얼마를 올렸냐 위로 30% 포인트니까 와씨 7-8% 하던 기준금리를 47% 위로 올렸습니다 기준금리를 거의 50%로 올렸어요 결국에 그쵸? 경제학자들이 맨날 틀리긴 하는데 가끔 맞는 것도 있어요 가끔 맞는 것도 요즘 뭐 관세 봐도 그렇고 경제학자들의 말을 안 믿어 물론 보통 틀려 경제학 왜냐면 주가 맞추기 자꾸 이런 거 시키니까 그런 거 틀리던데 이런 거는 아니 근데 이런 건 경제학도 아니잖아 이건 초등학교 뭐 그런 거지 사실 그런 상황이죠 게다가 터키 화폐 통화가치가 날아가다 보니까
(10:39) 옛날에 보여드렸지만 통화가치 하락이 되니까 경제가 어려워도 주가지수가 올라갑니다 물가가 40%인데 주가지수가 안 올라갈 리가 없지 여러분들 우리나라 물가가 40%면 코스피 안 사겠어요? 돈을 갖고 있으면 1년에 40%씩 내 돈이 줄어 100만 원이 60만 원데 당연히 뭐라도 사야지 빈 병이라도 사야지 당연히 터키 주가지수가 올랐는데 요즘에는 오르지 않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왜 그럴까요? 이제는 진짜 무섭거든 지금까지는 통화가치 문제였는데 여기서부터는 가나? 잠깐만 가니? 가면 안 돼 그냥 통화가치만 하락해야지 가면은 가는 거지 가면은 가는 거예요 그래서 심박수를 좀 확인하고 들어가야 돼 또 맥을 잡은 다음에 뛰냐? 잠깐만 여기 잡고 여기 잡고 뛰냐 해야 돼 뛰어야 이제 가는 겁니다 뛰어야 그래서 약간 갈팡질팡하고 있어 자기들도 어렵겠지 금융 위기 이후 지금 터키 주가지수가 최대 폭으로 급락했는데 통화가 날아가는 걸 보면 위일 것 같은데 심박수를 보면 아래일 것 같고 약간 그런 상황이죠 갈팡질팡하는
(11:43)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자 그런데 이거는 터키 상황인데 터키에 이렇게 막 민주주의주의가 발생되고 되게 시끄러운데 좀 조용하죠 사실은 유럽 언론도 좀 조용하고 미국 언론도 좀 조용해요 굉장히 조용합니다 오늘은 이게 주제입니다 왜 조용할까 자 왜 조용할까 옛날 같으면 절대 이렇게 안 조용했어요 근데 왜 되게 조용하잖아 일단 미국은 조용할 것 같아요 미국은 조용할 것 같아 터키 정치 혼란에 대해서 물어보니까 트럼프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터키는 good place 좋은 곳이고 에르도안 good leader 푸틴도 good leader 김정은 good leader 에르도안 good leader 하는 분이기 때문에 자기도 good leader 되고 싶죠 그래서 3선 이런 얘기를 하던데 3선 얘기를 하시더라고요 트럼프 대통령이 농담이 아니라고 하던데 다음 시간에 한번 가져와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의 3선이 안 되는데 헌법 개정하면 되니까 미국도 굿 리더이기 때문에 미국은 조용히 있을 수 있죠 미국의 침묵은 충분히 이해가 되는데 우리가 이해가 안 되는 건
(12:42) 유럽이 조용해요 물론 일부 국가에서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있어요 EU도 정말 심심한 우려를 표명하는데 옛날 같으면 이 정도 민주주의 시위가 발생하면 터키 비난하고 터키 제재하고 난리 난리였거든요 비판이 상대적으로 약해요 과거를 조금 되돌아보면 반민주주의, 반도덕적 이런 상황에 대해서는 유럽은 이게 또 있잖아 어깨에 딱 올라오는 게 있단 말이에요 올바른 파트너, 도덕적 우월 이게 있기 때문에 이 큰 목소리를 내줬단 말이야 뭔가 잘못되고 민주주의 잘못되고 이번에는 목소리를 내긴 냈는데 심심한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요즘 많이 보는 단어네요 심심한 우려를 표현 어
(13:25) ... 튀르키예는 터키는 EU 가입 후보국으로 EU가 추구하는 민주주의 가치를 지켜야 된다 잘하자 잘할 수 있지? 그래 지켜 화이팅! 어... 하고 있고요 너무 말이 짧은 거 아닙니까? 아아 미안해 미안해 그러면 우려의 눈으로 지켜보고 있다 음... 우리 우려했어 우려의 눈으로 보고 있어 형 보고 있다 아빠 앉아 보고 있겠다 Great concern 하기 때문에 너희가 민주주의 가치를 우선하길 바란다 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래서 요즘에 터키 시위대에 말하는 걸 보면 화내고 있어요 아니 왜 조용한 거야? 유럽이 그동안 뭔 일 있으면 떼찌 떼찌하고 독자자 모함은 떼찌떼찌 하고 금지하고 수출 규제하고 가끔은 하늘에서 뭐가 왔다 갔다 하고 그랬는데 유럽 정부 특히 EU 대표들은 얘기를 하는데 각국 정부는 목소리가 안 나와 각국 정부는 왜 안 나올까? 사실 우리는 되게 쉽게 알 수 있는데 왜 안 나올까? 왜 EU는 더 조용히 있을까? 음 아 그거 음 왜냐하면 간단합니다 터키가 옛날 터키가 아니어서 그래요 제 생각에 옛날 터키가 아니야
(14:28) 그냥 경고만 하지만 그게 무슨 말이냐 최근에 터키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습니다 아주 꽤 많이 왜냐 하나하나 보여드릴 텐데 일단 첫 번째 이민 국방 분야라고 적었는데 이민 분야는 이거는 이미 한 10년 됐으니까 말할 필요 없죠 저쪽에서 중동에서 무슨 일이 터져 아프리카에서 무슨 일이 터져 그럼 난민이 오거든요 대부분 터키 통해서 옵니다 중동에서 무슨 일이 터지면 이리로 와 그런데 여기가 터키가 방파제입니다 난민들을 대신 받아주고 이후로부터 지원금을 받아요 그러니까 터키가 퉤 하고 이리로 보내면 문제가 상당히 심각해질 수 있죠 가장 대표적인 건 예를 들면 시리아 난민이 터키에 300만 명 있습니다 독일이 시리아 난민 많이 받아줬죠 60만 명 받았어요 터키가 나 안 받겠다 국경 미드 오픈한다 미드 오픈 우물가에 있을게요 미드 오픈 이러면 게임이 터져 게임이 터져 그건 안 되지 미안해 내가 잘못했어 우리 열심히 하자 우리 열심히 해
(15:30) 우리 할 수 있어 킬데스가 좀 밀릴 수 있지만 지금부터 한 타 잘하면 되는 거 아니야 달라야 되는 상황이고요 또 우크라이나 전쟁도 한몫했습니다 왜냐하면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할 때 항상 보면 흑해 흑해를 평화롭게 만드네 둘이 싸우게 하네, 마네 또 둘이 모여서 회담할 때 어디서 해요? 터키에 가서 합니다 흑해를 둘러싸고 있는 사실상 세계의 가장 큰 나라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전쟁 다음에도 터키 입지가 커졌죠 하지만 이거는 누구나 다 아는 얘기고 이것 때문에 얘기하려고 그랬는데 아니죠 오늘의 메인 주제는 이겁니다 왜 요즘에 터키의 입김이 세지고 있냐? 바로 터키가 군사 대국이기 때문에 그랬습니다 한마디로 트럼프가 등장한 다음에 터키의 입장이 완전히 바뀌었다 터키는 이제 나토에서 미국을 제외하면 제2의 군사대국입니다 아니 프랑스도 있고 독일도 있고 아니 뭐 영국도 있고 아 걔네들 군축하다 갔어 60% 군축, 무슨 50% 군축 뭐 이런 거 하다 갔어 없어 그러니까 맨날 트럼프가 삿대질을 하잖아 야 너 안 싸우냐? 군대가 없어 없는데 뭘 싸워
(16:30) 뭐 한 300명 보내고 심심한 유감을 그러니까 밴스가 와서 2만 명밖에 군대도 없는 것들이 경험도 없고 삿대질을 하니까 발끈했지만 틀린 말은 아니고 그렇게 됐지만 그런 사이 물론 터키도 많이 감축을 했지만 그래도 다른 나라들에 비해서는 훨씬 낫다는 거고요 그리고 그냥 군대만 쓰면 터키 군대 쓰자는 거냐 아니죠 이겁니다 바로 터키가 유럽에서 사실상 최대급의 방위산업 국가예요 왜 터키가 그렇게 됐어요? 왜긴? 유럽이 다 없앴잖아 유럽은 그동안 없앴어요 그런데 터키는 없애고 싶어도 뭔가 분쟁이 많아 그렇죠 크루드족도 있고 아래에서도 싸우고 옆에서도 싸우고 위에서도 싸우니까 줄이고 싶어도 잘 못 줄였어요 놀랍게도 동방이 어느 나라고 똑같이 그런 옛날 재래식 군사무기를 아직도 돌려 재래식 탱크를 막 찍어 재래식포를 막 만들어 아직도 업그레이드를 하고 있는 몇 안 되는 나라예요 동방이 한 나라가 있는데 유럽에도 한 나라가 있어 동방의 나라는 북쪽에 있는 친구들이
(17:33) 거시기 거시기 해서 줄일 수 없었는데 터키는 터키도 똑같아요 주변에 분쟁이 하도 많았기 때문에 아직도 대규모 방위산업체를 운영하는 몇 개 안 되는 나라입니다 미친 속도로 무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 나라다 그래서 유럽에서 우리는 K-방산이죠 터키 방산 산업이 엄청나게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만들 수 있는 나라가 없어요 우리에서 맨날 우리 거 가져가는데 터키가 그나마 많은 양의 무기를 해준다는 거고 자 그리고 보면, 왜 터키가 그랬냐 방금 전 다 말씀드렸지만 터키는 그동안 미국의 제재를 많이 받았어요 주변 지역과 분쟁도 있고 그래서 미국과 독일 이런 나라들이 그러니까 미국하고 EU가 터키가 무기 수입한다고 그러면 막아 야 니들 크루드족 가서 뭐 하려는 거 아니냐 야 니들 아래 누구 가서 뭐 하려는 거 아니냐 무기 수입을막아 그래서 그동안 직접 만들어 왔어 그랬더니 여기도 안 만들었잖아 유럽은 미국은 만들었지만 그러니까 유럽은 안 만들고 미국은 믿고 있었는데 미국이 야야야 알아서 해라 그러니까 어 어 어 만드는 곳이 없어졌다는 게 한마디로 멸망한 유럽 방위산업체의
(18:33) 한줄기 빛과 같은 나라가 터키가 됐다는 이게 믿거나 말거나 뭐 이런 얘기가 됐다는 거고요 지금 보면 터키산 무기가 유럽에서 굉장히 각광을 받고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하고 똑같이 빨리 만들고 싸게 만든다 유럽 입장에서 유럽 입장에서 빨리 만들고 싸게 만들고 달라고 그러면 빨리빨리 해주고 그래서 제 개인 생각이긴 한데 트럼프 시대에 어떻게 보면 미국의 반유럽 스탠스 반EU 스탠스의 최대 수입국 중 하나가 터키가 되고 있습니다 옛날에는 안 껴줬어 유럽에도 안 껴주려고 그러고 뭐 안 껴주려고 그랬는데 요즘에 미국이 자기를 안 껴주잖아 이유가 어? 나랑 껴줘 그동안 안 껴주던 애들에게 관심이 안 갈 수가 없는 유럽에서 터키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 정말 희한한 일이 펼쳐지고 있죠 그리고 약간 딴 얘기지만 미국은 시그널 게이트라고 보셨을 거예요 자기들 미국 행정부 멤버들이 모여서 단체 채팅방을 열었죠 그래서 뭐라고 했는지 유출이 됐는데 JD 밴스 부통령이 이렇게 얘기했죠 나는 그저 유럽을 다시 구해주기 싫을 뿐이다
(19:37) 자기들끼리 단톡방 만들었다가 유출됐습니다 난 유럽을 구해주기 싫어 그랬더니 국방부 장관 문신 있는 아저씨 국방부 장관이 이랬죠 맞습니다 유럽의 무임 승차 너무 혐오가 있네요 당신의 혐오감에 공감합니다 라고 말해서 유럽을 혐오한다는 이런 게 또 널리 퍼지다 보니까 지금 유럽 국가들이 방위력을 빨리 늘려야 되고 당연히 터키가 유럽 국방의 핵심적인 군사 파트너로 떠오를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인 거죠 그리고 당연하겠지만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도 압니다 이런 사람을 모를 리가 없지 자기 입지가 어떻다는 걸 알아 그러니까 어떤 강한 모습을 보여도 강하게 진압한다든지 아니면 내가 또 한 번 한다고 해도 옛날 같으면 유럽에서 난리를 치겠지만 이번에는 안 그럴 수 있겠구나 서방의 분위기를 읽고 뭔가 하는 게 아니냐라는 이런 내용들이 많이 나오고 있죠 그러면 터키 방산을 보여드릴 텐데 터키가 뭘 만든다고 그렇게 많이 만들어요 딱 보면 터키 방산은 K-방산과 비슷하게 방산 수출이 매년 자체 신기록을 세우고 있는데요 보시면 차트를 몇 개 보여드리겠습니다
(20:41) 2020년 대비해서 얼마가 뛰었냐? 3배 이상 쪘습니다 쫙! 2200 정도 하던 게 7100으로 쪘으니까 앞으로 더 올라가겠죠 지금 분위기로는 쫙 올라가는 분위기고 글로벌 방위산업 시장에서 한국이 10위 터키가 11위래 물론 우리나라는 좀 올라갔습니다 이것저것 거래하면서 10위 내로 쭉 들어가는 분위기고 바로 뒤에 있는 게 터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오늘의 또 다른 주제이기도 한데요 터키에 뭐가 그렇게 잘 팔릴까? 우리나라 보기에는 자주포, 그쵸? 탱크 뭐 이런 거 잘 팔리잖아요 총알 뭐 이런 거 터키는 뭐가 잘 팔릴까요? 바로 세계 군용 드론 시장 수출 1위 국가가 놀랍게도 터키입니다 중국 아닌가요? 아 중국은 군용 드론을 수출을 잘 안 해 당연히 아는데 자기들이 써서 그런가? 수출을 잘 안 하고 가장 수출을 많이 하는 국가가 터키산 드론인데 예를 들면 이거 보신 분도 있을 텐데 바이카르라고 이 기업 있죠? 왼쪽 아래에 있는 바이카르라는 터키의 군수산업 기업인데 이 기업 하나가 60%입니다
(21:45) 세계 군용 드론 수출 시장의 60%를 혼자 차지하고 있어요 군사용 드론 수출 시장의 절대 강자예요 제품의 90% 이상을 전 세계 35개국에 수출합니다 물론 군사용 드론 시장이라는 게 생긴 지가 얼마 안 됐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로 커지고 있기 때문에 일단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기업이 바로 이 바이카르라는 기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터키 방산의 아이콘과 같은 존재고요 현재 일본 포함 31개국에 수출하고 있고 혹시라도 궁금하실까봐 바이락타르라는 시리즈가 있대요 여기에 보이는 바이락타르 뭐 어쩌고 바이락타르 어쩌고 1위 이스라엘 이스라엘 이스라엘 5위 또 바이락타르 쭉 가면 여기 또 뭔지 모르겠다 뭐라고 읽는지 한마디로 34개국에 수출하는 글로벌 1위 드론 생산업체라고 할 수 있고 터키와 이스라엘 두 국가가 현재 군사용 드론 시장을 나눠 갖는다라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게다가 앞으로 저 시장이 얼마나 커질지를 생각을 해본다면 바이카르라는 기업이 터키에서 차지한 위상이 얼마나 클지 알 수 있죠 그리고 저 드론이 어디서 쓰이냐면
(22:48) 현재 우크라이나에서 아주 활동적으로 움직이고 있는 드론들 그게 터키에서 많이 만들었습니다 러시아 탱크 날리고 위에서 떨구고 가는 드론들 있죠? 그거 대부분 터키에서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아요 또 멀리 가서 요즘에 우크라이나가 러시아 몇 백 킬로 떨어진 데 가서 드론 공습하잖아요 다 대부분 터키 드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오죽하면 우크라이나에서 몇 년 전에 저 바이락타르라고 불리는 드론 찬양 군가도 만들었어 칭송하는 군대가요 우리로 치면 뭐라 그러지? 진짜 사나이 같이 진짜 드론, 진짜 바이락타르 이런 거 만들어서 군가도 만들어요 너무 좋으니까 우크라이나 공군 중단이 이렇게 얘기했다고 합니다 바이락타르가 우리 군인들을 살리고 있다 라고 얘기하고 지금 유럽에서는 터키 군용 드론이 너무 독주하니까 우리 견제해야 되는 거 아니냐는 얘기가 나올 정도의 상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여기서 얘기를 조금 더 확장해보면 그러면 이 엄청난 제품을 만든 기업 바이카르는 누가 운영하고 있냐? 바이칼의 설립자는 아버지가 계셨어 돌아가셨어
(23:51) 돌아가시고 그 아들인 셀주크 바이락타르라는 이 사람입니다 아들이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저 바이락타르가 자기 가문 이름이야 자기 이름을 따서 김똘똘이면 똘똘 드론을 만든 겁니다 가문의 2대 리더가 셀주크라는 이 분인데 셀주크가 현재 터키에서는 제2의 일론 머스크라고 불릴 정도로 아주 높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사람이라고 해요 가서 보니까 직접 드론을 개발했고 전 세계적으로 대박을 쳤고 머스크하고 대학 동문이래 펜실베니아 대학에서 공부도 같이 했어 그래서 셀주크가 터키의 머스크 제2의 머스크로 불리는 인물인데 이 인물을 왜 갖고 왔냐? 제2의 일론 머스크여서 갖고 왔냐? 제2의 일론 머스크라고 불리는 또 다른 이유가 하나 있습니다 그게 뭐냐면 에르도안의 사위 에르도안의 사위야 야 세겠다 세겠다 야 터키에서는 거의 무소불위겠구만 아아 왜 일론 머스크냐 그게 그 여기서 많이 본 듯한 그 느낌 어 터키의 머스크와 대통령 미국의 머스크와 대통령
(24:53) 그리고 약간 그 뭔가 비슷.. 어딘가 좀 그쵸? 콧날이나 이마가 약간 닮은 듯한 그 느낌 군수 드론 군수는 아니지만 어쨌건 군수에 쓰이는? 스타링크 이 조합이 그럼 어쩌다가 에르도안의 사위가 됐냐 셀주크 아저씨는 그거는 자기 아버지가 아버지가 그렇대요 아버지가 어린 시절 에르도안의 고향 친구래 그런데 솔직히 저는 이걸 보면서 그 생각을 했어 아마 예를 들면 1960년대 같이 부산에 살았다 그럼 고향 친구고 강릉에 살았다 우리로 치면 그러면 고향 친구고 그렇죠 우리나라 주식 오르는 거 보니까 유력 대선주자 고향이 같으면 주가가 오르던데? 고향 친구라고? 근데 우리가 흔히 말하는 친구였겠냐라는 생각은 좀 들지만 어쨌건 뭐 비슷한 데 살았으면 아이가 같이 대구 살았으면 대구 사람이고 대구 살았으면 대구 사람이지 뭐 그건 약간 비슷한 느낌이 있죠 터키 최고 지도자와 터키 최고 방사수출기업 간에 혼인을 맺어갖고 지금은 사위가 아니라 후계자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25:56) 장인의 상속자다 만약에 2028년에 대선에 못 나와! 그러면? 그럼 아까 전에 자기의 정적 이마모올루 이 아저씨를 감옥에 넣었잖아요 그럼 두 개 중에 하나일 수 있는 겁니다 자기가 나오거나 아니면 사위가 너를 위해 이렇게 했을 수도 있는 그런 몹쓸 생각이 몹쓸 상상력이 좀 뭐 든다 뭐 그렇게 보시면 될 것 같고요 물론 요즘 분위기로는 그 터키의 머스크는 그럴 가능성이 있는데 제 생각에 미국의 머스크는 힘들 것 같아요 다음 대선은 아마 힘들지 않을까 라고 생각이 되죠 그리고 에르도안에게 아들들이 있는데 아들들이 다 별로야 장남은 아예 사고 쳐서 교통사고 치고 그래서 아예 잠수 타고 있고 차남은 이름이 바이랄이라고 그러는데 바이랄에게 설명하듯이 말해라 라는 말이 유명할 정도로 무능하대요 이게 뭐야 자기 이름이 특정 단어가 됐을 정도로 무능의 아이콘이란 거죠
(27:01) 그렇죠 혜자 선생님 같이 이름이 그렇게 될 수 있는 거지 바이랄에게 설명하듯이 말해라 라고 얘기할 정도로 무능의 아이콘이라고 하고 아들들이 이르기 때문에 본인의 사위 셀주크 그리고 본인도 장인이 자신에게 정기지출을 요청한다면 크게 거부하지 않을 것이다 이 정도면은 진짜 정계 진출할 수도 있을 것 같고 그리고 유럽 입장으로 다시 돌아와 보면 에르도안을 건드릴 수 있겠냐 지금 상황에서 함부로 막 세게 말할 수가 있겠냐 물론 EU 전체 EU 집행위원장 이런 사람은 할 수 있겠지만 국가 단위로 옆에 있는 폴란드, 우크라이나 아니면 동유럽쪽 국가들이 터키에 대해서 함부로 막 말하기가 옛날처럼 쉽지 않다는 거죠 들수입도 막힐 수도 있고 한마디로 일론 머스크가 스타링크 가지고 떼찌 떼찌하고 끊어버린다 안 끊어버린다 끊어버린다 안 끊어버린다 끊 안 끊 안 끊 난 하고 있는데 비슷하게 드론과 군수 물자로 비슷한 어떤 상황을 터키가 겪고 있다고 볼 수 있고 그리고 이 드론 전쟁
(28:04) 셀주크는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이제부터 모든 전투기는 무인으로 개발될 것이다 지금 현재 나오고 있는 유인 전투기는 최후의 유인 전투기가 될 거야 앞으로는 아마 앞으로 우리 시대가 열릴 것이다 라고 기염을 토하고 있습니다 물론 미국은 아직 아닌 것 같아요 왜냐하면 얼마 전에 트럼프가 보잉과 협력해서 제6세대 전투기 F-47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200억 달러 우리나라는 한 28조 넣었죠 6세대 전투기를 만들겠다 그동안 일론 머스크도 그렇고 드론만 만들 줄 알았더니 새로운 뒤에 있는 거 보이죠 뭔지 몰라도 F-47 개발 계획을 밝혔어요 여기서 드는 궁금증이 있죠 F가 좀 숫자가 많이 올라간 것 같다 갑자기 왜 드론만 만들고 잠깐만 왜 47로 올라갔지? 제 기억에 있는 것만 해도 F10 몇? 뭐 그쵸? 18 그러다가 갑자기 47로 확 떠서 이거 뭐야? 47은 뭐야? 그래서 트럼프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F 뒤에 왜 47을 붙였습니까? 아 그거 내가 시킨 거 아니에요 우리 아래 장군들이 오더니 정말 뷰티풀한 넘버라고 있죠? 뷰티풀 넘버가 47이기 때문에
(29:09) 아름다운 시작이기 때문에 붙였지 내가 47대 대통령이기 때문에 뭐 붙고 그런 거 아니에요 우리 아래에 있는 그 별 셋 넷 그런 애들이 와서 붙인 거지 이거 내가 한 거 아닙니다 라고 얘기를 했지만 갑자기 F-47로 등장을 해서 많은 분들이 야 그게 그거요? 라는 이런 썰이 지금 돌고 있죠 자 좋습니다 과연 유인 비행기 시대가 끝날지 모르겠지만 결론적으로 지금 터키에는 대규모 민주주의 시위가 펼쳐지고 있고 반면에 터키의 어떤 군사적 지위 방위사업체 지위 세계 글로벌 역학 트럼프가 나와서 막 이렇게 하니까 터키의 입지가 올라가면서 많은 나라들이 이슈에 대해서 안타깝죠 제대로 된 제대로 된 항의조차 못하는 그런 일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누구를 위한 상법개정인가 (1) | 2025.05.03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살은 못빼고 주가를 빼버렸네 (3) | 2025.05.02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이것을 부정하긴 힘들다 (0) | 2025.05.01 |
[요약리뷰] 슈카월드 - 내는만큼 받자 (2) | 2025.04.30 |
[요약리뷰] 슈카월드 - 꽉잡으세요 떨어집니다. (1)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