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요약:
미국이 글로벌 관세전쟁을 시작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에너지 부문 10% 관세를 부과했고, 이에 대해 양국은 보복관세를 발표했습니다. 미국 상무장관 후보자는 동맹국들이 "미국의 선량함을 이용해왔다"며 강경한 입장을 보였고, 반도체 보조금 지급 재검토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English Summary:
The US has initiated a global trade war, imposing 25% tariffs on Canada and Mexico (10% on energy sector). Both countries announced retaliatory tariffs. The US Commerce Secretary nominee claimed allies have "taken advantage of American goodwill" and suggested possible review of semiconductor subsidies. This signals a shift toward aggressive trade policies under potential Trump administration.
캐나다 25%, 멕시코 25%, 한국은 기다려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573jUYQIhZo
Transcript:
(00:08) 요거는 많이 했던 얘기니까 조금 짧게 넘어갈게요 왜냐하면 얼마 전에 미국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그리고 덧붙여서 드디어 관세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이 되고 있죠 자, 그 얘기를 한번 해보겠습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관세전쟁을 시작하고 있다 자, 일단 연준 의장 파월이 기준금리 동결을 발표했습니다 연준의 기준금리는 4.25에서 4.5%로 동결된다 만장일치 동결이었어요 시장의 예상도 동결이었고 당연히 동결인데 왜 뉴스가 되냐? 뉴스가 되는 이유가 있죠 일단 내용을 좀 보면 지난 작년 9월 이후에 미국도 나름 빠르게 금리를 내렸습니다 50bp, 25bp, 25bp 100bp를 내렸기 때문에 4% 초반에서는 조금 천천히 봐야 되는 거 아니냐? 라는 게 어떻게 보면 당연한 컨센인데 왜 뉴스가 되냐? 당연히 트럼프 대통령이 당선 이후에 연준한테 이렇게 얘기했거든요 나는 금리를 결정하는 연준의 사람들보다 내가 금리에 대해서 더 잘 안다고 생각한다 내가 더 잘해 파월보다 내가 더 잘하는데 내가 보기에 지금은 금리를 인하해야 될 때야
(01:07) 니들이 자체적으로 생각해서 동결하지 마 내가 더 잘한다니까 내가 보기엔 금리를 아주 큰 폭으로 내려야 될 때다 나는 큰 폭의 인하를 원한다 노골적으로 얘기했어요 연준은 당장 금리를 내려라 심지어 그냥 이렇게 기사로만 얘기한 게 아니라 트럼프가 당시 뭐라고 얘기했었냐면 나는 이제 곧 조만간 파월과 대화를 나눌 것이다 파월 들어와 봐 들어오면은 백악관에 들어오면은 거기 앉아봐 내가 너보다 잘 알아요 내가 너보다 그 금리인하 해라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잘 해라라고 불러서 얘기를 나눌 것이다 라고 공언을 했어요 그럼 얼마나 내려야 되냐 트럼프는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아주 크게x2 25bp가 아닐 것 같은데 한 50bp, 50bp 두 번 정도 내려야 아마 만족하실 것 같은데 아주 크게 내려야 된다 그리고 만약에 중앙은행이 이에 따르지 않고 금리를 크게 안 내리면 어떻게 하겠다? 내가 알게 해주겠다 뭐를 알게 해준다는 거지? 저도 모르겠어요 뭐를 알게 해주는지 모르겠는데 네가 안 내리면 내가 알게 해줄게 라고 얘기를 했었죠
(02:10) 그래서 이번 금리 다 동결이라고 생각하는데 혹시 파월이 백악관에 한번 들어갔다 나온 다음에 생각이 바뀌었나 이것 때문에 사람들이 모두 쳐다봤는데 파월은 이렇게 했습니다 아 됐고 내가 안 하면 안 하지 여기서 인하를 해봐 아마 역사에 이름이 남을걸 트럼프가 불러서 떼찌 떼찌 했더니 인하를 했던 심약한 중앙은행 총재가 있었다 파월 이렇게 역사책에 남을 거 아니야 지금은 할 수 없지 하더라도 다음 달에 해야지 야 지금 하면은 내가 그래도 사회적 지위에 체면이 있지 거기서 들어가자마자 홀랑 나와서 안 되죠 지금 안 되기 때문에 당연히 동결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하는데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우리는 금리 정책을 조정하기 위해 서두를 필요가 없다 시간이 필요하다 트럼프 행정부가 하는 꼴을 보고 해야 된다 그리고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연준은 지금 새로운 미국 정부가 어떤 정책을 내놓을지 매우 기다리고 있다 최소한 그걸 보고는 해야지 물가가 오를지 관세도 있고 이민도 있고 세금도 있고 그런데 물가 오르면 어떡할 거야 지금 막 내릴 수는 없어 일단 보고해야 되지 않냐
(03:09) 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 숫자를 봐야 돼 그것도 연속된 숫자 계속 연속된 숫자를 봐야지 아니 뭐 한 번 숫자 좋다고 지금 할 수 있는 그런 상황은 아니다 라고 당당히 얘기를 했죠 그랬더니 이 못된 기자 놈들이 기자회견 때 질문을 하는데 이렇게 질문을 했습니다 어 그 말은 트럼프가 못하고 있다는 건가요? 어 잘하고 있다는 건가요? 무슨 말입니까? 그랬더니 정책을 보고 금리를 결정한다고 했지 정책이 잘 되거나 못 되거나 했다는 얘기는 아닙니다 우리가 비판하거나 칭찬한다는 얘기는 아니에요 나도 모르지 나는 그 결과를 보고 숫자를 보고 한다니까 또 기자가 그래요? 그러면 대통령은 차입 비용 낮춰달라고 하던데? 크게? a lot? 그랬더니 그런 질문에는 어떠한 답변도 논평도 하지 않겠습니다 행정부에 가서 물어봐 나 기준금리 결정하는 중앙은행에 와서 그걸 물어보고 있어 대통령한테 물어보세요 라고 했는데 이 질문이 진짜 셌는데 전 이걸 물어볼 줄 몰랐는데 역시 미국이죠?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님보다 금리 잘 안다고 하던데 그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04:10) 어 야 우리나라에서 이런 거 물어봤으면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노코멘트 하겠습니다 야 씨 그 진짜 질문 꼬라지라고 안 할 수가 없는데 야 그걸 물어보면 어떡해 야 그럼 트럼프가 나보다 잘하겠냐? 라고 할 수는 없잖아 그렇다고 나보다 못한다고 하면 안 되고 그렇다고 나보다 잘한다고 하면 내가 평생 그거만 했는데 그렇죠? 그럴 수도 없으니까 어쩔 수 없이 노코멘트 하면서 기자회견이 끝났습니다 기자회견이 끝나고 트럼프는 바로 반응을 했죠 이렇게 반응을 했습니다 파월과 연준은 끔찍하다 중앙은행은 끔찍한 일을 저질렀다 자기들이 인플레이션 다 만들었는데 트럼프는 그렇게 얘기해요 중앙은행이 인플레이션을 만들어놓고 자기들이 결자해지한 게 아니야 어쩔 수 없이 중앙은행이 안 하니까 내가 미국 국민과 기업을 위해서 대출을 활성화시키겠다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제이 파월과 연준은 그들이 만들어낸 인플레이션을 막는 데 실패했다 그 똥 내가 치우겠다 나는 미국의 에너지 생산을 촉진하고 국제 무역 균형을 조정하고 미국 제조업을 재점화함으로써 인플레이션을 막을 텐데
(05:06) 어떻게 똥을 치우실지 자세히 얘기는 안 했어요 하여튼 뭔가 하겠다라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리고 방금 얘기했던 인플레이션은 연준 탓이다 왜냐? 연준이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젠더 이데올로기, 친환경 가짜 기후 변화 이런 것 따위에 시간을 쓰면서 금리를 움직이니까 인플레이션이 오는 거야 그런 거 아니었으면 인플레이션은 결코 발생하지 않았을 거야 이번에 미국에서 정말 안타까운 비행기하고 헬리콥터 충돌하는 일 있었잖아요 많은 분이 돌아가신 트럼프가 그렇게 얘기했죠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 이런 이데올로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못한 사람들이 일을 맡음으로써 사고가 났다 기자가 말이 됩니까? 했더니 트럼프가 거기다 대응하고 이런 일이 있었는데 인플레이션도 똑같다 연준이 최적의 결정을 내렸어야지 이데올로기적인 생각을 하고 따라가니까 인플레이션을 못 잡은 거 아니냐라고 일갈을 날렸죠 그래서 결론적으로 트럼프는 인하를 바랐지만 미국은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 그런데 연준이 금리를 동결해서 일단 개인적인 생각엔 우리는 내려줬으면 따라 내리고 싶었지
(06:09) 그런데 연준이 안 내렸네? 우리는 사실상 다음번에 내린다는 게 최소 1분기에는 무조건 내려야 될 것 같은 분위기잖아요 지금 경기 상황만 보면 내려야 되지만 지난번에 이렇게 얘기했단 말이야 그런데 미국이 내려줬으면 차라리 따라 내릴 수 있었는데 파월이 저렇게 각을 세우면서 안 내리고 있으니까 또 매파적 분위기잖아요 약간 아... 내리긴 내려야 될 것 같은데 내리긴 내려야 될 것 같은데 일단 어려움에 빠져있다라고 할 수 있고 그리고 우리나라하고 비슷한데 다른 입장도 있습니다 우리 옆나라 일본은 되게 웃긴 게 이 나라는 인상을 결정했어요 희한한 나라죠 진짜 희한한 나라입니다 다른 나라들 금리 물가 때문에 다 올릴 때 일본은 금리를 인하했었거든요 기억나시죠? 0퍼센트 만들고 무제한 양적완화 남들이 이제 물가 내려갔다고 금리를 내리고 있으니까 이 나라는 어? 물가 올라가네 하고 금리를 올리고 있어요 뭐 이런 나라가 아니 청개구리도 아니고 뭐 이래 하여튼 일본은 지금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했습니다 1월 24일 8대1로 기준금리를 0.5%로 인상을 했는데요
(07:08) 별로 안 높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일본 입장에서는 지금 30년 내 최고치입니다 기준금리가 0.5%를 찍은 것도 2008년 이때예요 여기가 0.5x2 17년 만에 0.5%인데 지금 일본 은행의 스탠스는 올해 한두 번 더 올릴 수 있다는 스탠스거든요 한두 번을 더 올리면 30년 만에 0.5보다 높은 0.75건, 1%건 그런 금리를 경험하는 겁니다 그러니까 일본인들은 거의 한 세대에 한 번 경험하는 금리를 경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실제 일본 은행은 이렇게 얘기하고 있습니다 현재 추세대로 경제가 진행이 될 경우에 또 인상을 할 것이다 한 번 또는 두 번 왜냐하면 자기들이 보기에 일본의 물가가 3%를 찍었거든 자기들은 2% 정도면 되는데 3을 찍었으니까 물가가 높고 그리고 일본이 최근에 여러분들 잘 아시지만 임금 상승 추세도 이어지고 있어요 정부가 뭐 이렇게 푸시를 하건 뭐가 됐건 어쨌건 임금을 무조건 올려야 된다 이게 국가의 어젠다로 들어가면서 대기업들 위주로 임금을 많이 올리고 있어요 4%, 5% 오르니까 임금도 오르고 물가도 오르니까
(08:08) 이제는 금리를 올려도 되는 게 아니냐 물가가 3% 정도면 이제 디플레이션은 아닐 것 같다 소득과 지출이 경제 성장과 함께 계속 증가하지 않겠냐 라고 경제에 자신감을 보이는 거죠 자기들이 원하는 대로 임금이 올라가고 물가가 올라가고 뭐가 돌아갈 것 같으니까 디플레이션 아니고 그럼 우리는 금리를 올릴 수 있다 라고 얘기를 하는 건데 개인적으로는 일본의 금리를 보면서 느끼는 거 첫 번째가 일본의 금리가 중국보다 지금 높게 생겼어요 지금으로 가면 중국 10년물이 1.674야 일본 10년물이 1.227입니다 이게 맞나 이대로 가면 중국 금리는 계속 내려가고 일본 금리는 계속 올라가거든요 역전될 것 같아x2 야 이게 일본의 금리가 더 높은 게 참 말이 되나라는 생각과 일본은 금리를 인상하고 한국은 현재 인하를 하고 있죠 저렴한 일본 여행의 시대는 우리가 이제 금리를 인하할 것 같으니까 안 하면 모르겠는데 여기서 인하를 하고 일본도 한두 번 더 인상한다 그러면은 어
(09:07) ... 지나갔을 수도 있다 그동안 좋았던 오랫동안 즐거웠던 나의 친구여 이제 지나갈 수도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약간 하는데 우리가 얼마나 금리를 인하는지 한번 봐야겠죠 이거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입장을 봤고 일본 입장에서 한국도 마찬가지인데 걱정은 있습니다 걱정은 뭐가 있을까요? 지금 일본은 21세기 이후 3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금리를 올린다고 공언을 하고 있어요 0.5%입니다 1%까지 올린다고 공언을 하고 있어요 그러려면 경기가 돌아가야 돼 경기가 안 돌아가면 금리를 견딜 수가 없겠죠 금리를 못 올리거나 금리를 이만큼 올렸는데 경기가 안 좋으면 어떡해 일본 입장에선 최고의 리스크가 우리도 그렇지만 당연히 트럼프의 경제 정책입니다 특히 관세 같은 거 게다가 우리나라도 그렇지만 일본은 최근에 대미 무역 흑자가 어마어마해 여기도 엔저예요 우리나라만 원저 아니잖아 우리나라만 원달러 환율이 올라간 게 아니고 일본도 엔저가 세기 때문에 일본 기업들의 수출 실적이 좋아 대미 무역 흑자가 엄청나요 도요타 이런 거 잘 팔리잖아 그런데 트럼프는 대미 무역 흑자국을 싫어해
(10:04) 대놓고 관세전쟁 지금 하고 있잖아요 그러니까 일본 입장에서는 당연히 트럼프의 손가락이 두려워질 수밖에 없는데 자, 이 얘기를 왜 하냐? 이런 상황에서 얼마 전에 미국의 상무장관 후보자 하워드 러트닉이라는 사람의 인사 청문회가 열렸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이 뭐라고 그랬냐? 여기서부터 한국과 일본의 입장이 비슷하게 가는데 이렇게 얘기했어요 우리의 동맹국들인 한국과 일본이 미국의 선량함을 그동안 이용해왔다 미국에 신나게 수출하고 있는 일본의 철강이나 한국의 가전제품들을 봐라 이 나라들은 동맹국임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선량함을 이용해온 거야 단지 우리를 이용해온 거야 뭐라고 얘기했냐?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한국과 일본은 즉시 공장을 미국으로 가져와야 된다 우리는 우리의 동맹국들과 얘기해서 미국의 제조업 생산성을 높여야 된다 근데 이건 맨날 하는 얘기니까 여기까지는 그래 뭐 상무부 장관 후보자니까 그럴 수 있지라고 생각했는데 그 다음부터가 우리나라에 대서특필됐습니다 그게 뭐냐? 상원의원이 물어봤어요 미국에 공장 지으면 일정 보조금을 주는 반도체법이 있었죠
(11:00) Chips act 우리나라 그래서 반도체 기업들이 미국에 가서 공장 많이 지었잖아요 몇 조 지원 받는다 몇 억 달러 지원 받는다 7억 달러 받는다, 5억 달러 받는다 보조금 주는 건데 그 반도체법 보조금 줄거니냐라고 물어봤습니다 상무부 장관 후보자한테 뭐라고 얘기했냐 반도체 프로그램은 중요하다 하지만 약속할 수 없다 내가 검토하지 않은 계약을 약속할 수 없다 아니 근데 자기가 검토하지 않으면 미국 정부가 계약을 맺고 도장 찍고 사인까지 했거든요 바이든 정부이긴 하지만 주기로 한 돈을 안 줄 수도 있나? 공장 부지 사고 거기 뚫고 있는데? 땅 파고 뭐 짓고 있잖아요 미국 의회에서 통과된 법으로 기업들은 이미 미국 정부와 확정적으로 서명하고 계약하고 사진 찍고 이거 했어요 이것도 하고 근데 안 줄 수 있냐? 미국 상무부 장관 지명자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법적 계약을 이행하는 것을 연구하겠다 하지만 이행 보장은 못하겠다 내가 살펴봐야 된다 아직은 확정적으로 얘기할 수 없다 무슨 계약서를 썼는데 계약서를 썼는데 이거를 이거를 캔슬할 수 있냐?
(12:00) 없을 것 같은데 당연히 없는데 상대는 슈퍼 파워 미국이다 보니까 뭐라도 할까 봐 게다가 미국 상무부 장관이라는 자리가 반도체법을 감독하는 미국의 최종 기관입니다 반도체법 프로그램 자체를 관리 감독하는 최종 기관x2 그럼 여기서 만약에 물린다? 안 될 것 같긴 한데 일단 그걸 주장하고 있는 거고 그럼 왜 미국 상무부 장관 후보자가 저런 얘기를 하냐? 당연히 트럼프가 그런 얘기를 하기 때문이죠 트럼프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우리는 반도체 기업들이 돌아오길 바란다 하지만 바이든이 만든 이 말도 안 되는 법처럼 동아시아에 있는 기업들에게 수십억 달러를 주고 싶지 않다 아니, 그거 안 오면 누가 너희 가서 공장을 만들어? 그렇게 안 해도 와서 만들 거야 왜? 어떻게 하면 돼? 보조금을 주기보다 관세로 위협해서 불러들였어야지 왜 당근을 주고 들어오라 그래? 채찍질하면 들어올 텐데 싫으면 채찍질하면 되는 건데 아니 이걸로 하면 되는 건데 왜 수십억 달러를 주는 거지? 나는 이해할 수가 없네 아, 바이든 참 답답하네 관세로 위협을 해요 보조금을 주기보다
(13:04) 20%, 25% 때리면 알아서 들어와 아니, 싫으면 50% 때리던가 그렇게 하면 들어올 텐데 왜 우리가 돈을 줘야 되냐? 게다가 실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우리가 보조금을 주는 기업들은 가진 게 돈밖에 없는 기업들이야 수십억 달러를 가지고 있어 그들한테 우리가 뭐 하려고 돈을 줘? 오히려 받아야죠 걔들이 어디에 팔어? 미국에 팔죠 그러면 당연히 우리가 뭘 받아야지 왜 주는 거야? 라고 얘기를 하는 거예요 파나마 운하하고 똑같죠 옛날에 파나마 운하를 미국이 만들어서 파나마에 줬어 하지만 지금은 받아올 수 있죠 반도체 처음 만든 게 누굽니까? 미국이잖아 미국의 양보로 동맹들이 미국을 이용해서 반도체를 지금 만들고 있지만 미국의 선량함을 이용해서 하지만 이제는 다시 가지고 미국으로 들어와야 되는 때다 라고 주장을 하고 있죠 그래서 이게 우리나라하고 일본에 지금 대서특필이 됐는데 아유 주겠지? 설마 그거 떼어먹으면 앞으로 주지마 앞으로 앞으로 우리 말고 딴 기업들 계약한 건 줘야지 장난하나 지금 상도의가 있지, 상도의가 물론 뭐 슈퍼 파워가 상도의 따지기는 좀 그렇긴 한데
(14:08) 자, 그리고 이 러트닉한테 이것도 물어봤습니다 중국 관세는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그랬더니 이렇게 얘기했어요 중국 관세는 가장 높아야지 자기도 그렇게 생각하는데 한국, 일본, 유럽도 관세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나는 특정 제품보다 전체 국가에 적용되는 전반적인 관세를 선호한다 그러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그러면 관세 매기다가 물가 상승이 올 텐데요 감당할 수 있습니까? 그렇게 이 나라 저 나라 다 관세를 매기면? 그랬더니 러트닉이 이렇게 얘기했어요 관세가 물가를 유발한다는 주장은 넌센스다 관세는 물가를 유발하지 않아 왜냐하면 관세를 많이 부과하는 국가가 대표적으로 인도와 중국이 있어 하지만 이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이 없잖아라고 얘기를 했는데 그 국가와 미국이 같냐라는 생각 야 거기는 경기 침체에다가 지금 1인당 GDP도 내려가고 지금 애들 헬레헬레 해갖고 누워있는 데고 너희들은 제일 잘 나가는 국가인데 그거 선후 관계가 맞지 않는 것 같은데 하여튼 그렇게 얘기했고요 실제로 러트닉에게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관세가 물가를 올린다는 말은 헛소리다
(15:05) 말도 안 되는 소리야 특정 물건의 가격은 오를 수 있지 하지만 광범위한 인플레이션을 가져오는 건 아니야 그런 건 아니니까 헛소리고요 됐고요 관세 올려도 되고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렇게 기염을 토했습니다 앞으로 미국은 좀 더 공정한 무역을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Let America make it more fair 미국이 좀 더 공정한 무역을 만듭시다 여러분 왜냐하면 미국은 글로벌 환경에서 끔찍한 대우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 동맹이건 뭐건 우리를 형편없이, 미국을 형편없이 대우해 우리는 좀 더 나은 대우를 받아야 돼 우리는 나은 대우를 받기 위해서 관세를 사용할 수 있다 무슨 형편없는 대우를 받았는데요 미국의 농부나 목장주, 어부들은 전 세계적으로 대단히 무례한 대우를 받고 있다 어떤 나라들이 미국 소고기 수입을 안 해요 아니 어떤 나라들이 미국 콘 이런 거에 관세를 매겨 쌀에 장벽을 매기고 말이야 밀에 장벽을 매기고 그런 나라들이 있어요 이런 무례함을 끝장내야 된다라고 얘기를 했다 아 그쵸 먹거리나 농수산물에 대해서는 장벽 치잖아요
(16:06) 장벽 많이 치는데 미국에 대단히 무례한 대우라고 할 수 있고 이거를 끝장내야 되고 그러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아까 얘기했던 거 우리의 동맹들은 우리를 이용하고 우리를 무시해왔습니다 나는 이것이 끝나기를 원합니다 반도체도 그렇고 농산물, 수산물도 그렇고 뭐도 그렇고 EU도 한국도 일본도 캐나다도 멕시코도 다 우리 동맹들이었지만 우리 동맹들은 우리를 이용해왔고 그동안 우리를 무시해온 행동을 했기 때문에 나는 이것이 끝나기를 원합니다 라고 하면서 인사 청문회를 마쳤는데 그리고 인사 청문회가 끝나자마자 실제로 무례함을 끝장내기 위한 액션이 발표가 됐죠 2월 1일부터 트럼프가 약속된 관세 부과를 시작합니다 이미 지났죠? 캐나다 멕시코의 25% 전면 관세 에너지는 10% 관세 동맹의 무례함을 끝내겠다고 그랬잖아요 그래서인지 몰라도 동맹이 더 높아 야 이게 말이 되나? 숫자가 바뀐 거 아니여? 중국이 25%고 캐나다, 멕시코가 10%여야지 야 무슨 캐나다, 멕시코 동맹이 더 높아 참 관세를 매기는 것도 어떻게 저렇게 매길 수 있나 라는 생각을 했는데
(17:09) 이걸 듣자마자 현재 캐나다는 즉시 보복관세를 발표했습니다 캐나다는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25% 보복관세로 대응할 것이다 이거를 좌시하지 않겠다 멕시코도 즉시 보복관세를 발표했습니다 여기는 구체적인 숫자는 안 나왔어요 우리는 대화를 시도했지만 미국이 대화를 들어주지 않았다 이제 우리도 어쩔 수 없이 보복으로 대응하겠다 관세와 비관세 조치를 포함한 모든 대책을 강구할 것이다 라고 현재 발표를 했습니다 참고로 EU도 현재 집단 경제력 발동을 고민 중입니다 이렇게 얘기했어요 유럽 국가들은 필요하다면 미국에 맞서 집단 경제력을 사용해야 된다 집단 경제력이라는 말이 결국 뭉쳐서 관세가 됐건 비관세가 됐건 뭔가를 하겠다는 거잖아요 유럽은 경제적으로 크고 아주 중요한 지정학적 파트너이기 때문에 우리도 이를 이용해야 된다 미국만 이용하나 우리도 이용해야 된다 그리고 가장, 아직 안 움직이고 있는데 제가 보기엔 가장 중요한 나라죠 중국도 현재는 WTO 재소 관세 보복을 다짐 이런 게 나오고 있는데 아직 액션은 없어 제가 보기에 그러니까 센 액션은 아직 없어요
(18:10) 지난번 1차 무역전쟁 때 트럼프 1기 때는 중국하고 미국이 진짜 세게 부딪히면서 서로 난리를 쳤는데 지금 중국이 보기에 제 생각에 현재는 조금 정중동 하는 것 같아 중국이 아마 어떤 액션을 할까가 아마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되고 그리고 한마디로 2월 1일이 되면서 드디어 25% 관세를 진짜 말로만 했는데 캐나다, 멕시코 25% 관세 중국 10% 관세를 딱 매기고 유럽도 움직일 준비를 하고 있고 드디어 관세전쟁이 사실상 시작된 거 아니냐라는 평가가 많이 나오고 있죠 그리고 얘기는 거의 다 끝났는데 한 나라만 더 보여드리면 이 와중에 에피소드가 하나 있었습니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이 자기 SNS에다가 미국 군용기에 불법이민자를 태워서 남미로 보내는 사진을 업로드했습니다 제가 보여드렸죠? 이거 지금 불법이민자들한테 수갑 채워갖고 군용기에 넣어서 이들을 싣고 그대로 남미를 보냈어요 꼭 범죄자같이 끌려오잖아요 안에서도 고개 숙이고 있고 정말 비참한 모습으로 보여줬습니다 그랬더니 저 불법이민자들을 받아야 되는 남미 나라 중에서
(19:11) 콜롬비아 대통령이 발끈했죠 그들이 범죄자냐 왜 우리 국민들을 수갑을 채우고 마치 범죄자처럼 줄로 주렁주렁 엮어갖고 군용 비행기를 태워서 콜롬비아로 보내냐 미국은 그들을 범죄자처럼 대하지 말고 민간 비행기로 예우를 갖춰서 보내라 존엄성과 존중을 바탕으로 귀국시켜라 라고 하면서 미국 군용기 2대의 착륙을 거부했습니다 콜롬비아 대통령이 근데 제 생각엔 타이밍이 왜냐하면 지금 많은 나라들이 다 보복x3 하면서 미국이 뭘 하는데 반기를 드는 분위기거든요 미국 입장에서는 이렇게 얘기했어요 캐나다가 보복 관세를 매기면 더욱 센 관세를 가겠다 멕시코가 보복을 하면 더 큰 보복을 하겠다 지금 이런 스탠스였는데 그래도 캐나다, 멕시코, 중국은 좀 세단 말이야 그래도 자기들하고 뭔가를 많이 하고 근데, 야 근데 별 그것도 없는 나라가 지금 거부하고 지금 안 그래도 누군가 하나 주먹 휘둘러서 뭐 하나 보여줘야겠다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오케이 콜 잘 걸렸죠? 아유, 그렇지 잘 걸렸어 안 그래도 내가 뭐 하고 싶었는데 야, 딴 애들을 때리면 무섭잖아
(20:14) 딴 애들은 때리면 뭔가 상황이 커질 수 있지만 뭐 콜럼 뭐? 아, 알겠어 오케이 콜 오케이 콜 바로 그날로 긴급하고 단호한 보복 조치를 발표합니다 콜롬비아에 즉시 25%의 긴급 관세를 물리겠다 콜롬비아가 저 의견, 군용기를 받는다는 의견을 굽히지 않을 경우에 다음 주의 관세율은 50%로 올라간다 ㅎㅎㅎㅎ 만만돌이죠? 만만돌인데 너희들이 계속 안 굽히면 아예 너희들을 100% 할 수도 있다, 100% 아예 그냥 끊을 수도 있다 딱 걸렸죠? 딱 걸렸기 때문에 본보기예요 본보기 그러면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콜롬비아 관련자들의 미국 비자를 모두 금지한다 콜롬비아 정부 관리 콜롬비아 동맹국 콜롬비아를 지지하는 놈들 미국 비자를 즉시 취소시키겠다 미국을 나가라는 거야 그리고 이 조치들은 시작에 불과할 것이다 보여주는 거죠x2 걸린 게 콜롬비아 물론 그랬더니 처음에 콜롬비아 대통령 페트로가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너의 봉쇄 보복은 두렵지 않다 콜롬비아는 그 아름다운 국가야 그리고 세계의 심장 우리도 보복관세 50% 할 수 있다
(21:19) 전 세계 사람들이여, 도와주세요 우리 아름다운 국가, 하트 오브 더 월드죠 도와주세요라고 얘기를 했는데 그 다음으로 나온 인터뷰들을 보니까 트럼프 행정부 관계자가 CNN 인터뷰에서 이렇게 얘기했습니다 콜롬비아가 그런 식으로 공개적으로 우리를 무시할 수는 없다 우리는 전 세계에 콜롬비아가 그런 기만적인 행동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겠다 한 번 우리가 보여줄게 본보기를 보여주겠다 라고 인터뷰를 했거든요 그리고 제 생각에 그래 요번은 아니었던 것 같아 콜롬비아가 못했다는 게 아니라 타이밍이 아니야 지금은 아닌 것 같아 지금은 그 9.
(22:01) 11 테러 때 북한도 그 심심한 그쵸 애도 발표했거든요 우리 아니라 그러고 타이밍이라는 게 있는 거지 지금 딱 맨 앞에 있는 놈 제일 세게 쥐어 패고 싶은데 거기 맨 앞에 나와서 나부터 패세요 하는 건 아닌 것 같으니까 다음 주에 50% 오를 걸 좀 생각을 하니까 게다가 콜롬비아는 그럼 또 안 되는 게 콜롬비아의 최대 교역국이 미국입니다 콜롬비아 수출의 27%가 미국으로 가요 콜롬비아 수입의 25%가 미국에서 옵니다 ㅎㅎㅎㅎ 27%야 나머지는 쩌리고 최대 수출국, 최대 수입국이야 근데 개기면 50% 관세래 이 상황에서 콜롬비아가 약간 고민을 하고 있었는데 눈치 없는 주 콜롬비아 중국대사 주진양이라는 사람이 SNS를 업로드합니다 뭐라고 업로드하냐 중국과 콜롬비아의 관계가 45년 수교 이래 가장 좋은 순간을 맞이하고 있다 옛날에 자기가 한 말인데 다시 올렸어요 차이나와 콜롬비아가 베스트 모먼트에 있습니다 여러분 역시 콜롬비아예요 역시 우리하고 사이가 그렇게 좋은 나라지 웰컴 웰컴 진정한 친구 트루 프렌드x2 외치니까 그걸 왜 지금 외치냐? 야, 지금 가만있어봐
(23:04) 지금 불난 집인데 이것들이 거기서 불질을 어... 게다가 저걸 가만히 보고 있던 트럼프가 아, 이게 하이라이트인데 자기 SNS에다가 사진을 하나 올렸습니다 이렇게 올렸어요 FAFO FAFO가 뭐냐면 Fxxx Around and Find Out의 약자래요 저도 이번에 알았어요 F-A-F-O 그게 뭐냐? F... X같은 행동에는 그 결과가 따른다 게다가 딱 그 모자 쓰고 촤악 그쵸? 이렇게 하면서 가리키는 거잖아요 이거 너희가 그런 X같은 행동을 하면 X같은 결과가 올 것이다라고 얘기를 하니까 와아 세다, 세x3 어 F행동에는 F결과가 따른다 그래서 그 콜롬비아 대통령이 그렇다고 내가 기어들어갈 순 없잖아 지금 생각하니까 내가 잘못한 것 같아요 라고 얘기할 순 없으니까 이상하게 똥은 대통령이 쌌는데 그렇죠? 그런 거니까 일본도 중앙은행장이 얘기한 다음에 해명은 부행장이 하더만 외무장관이, 콜럼비아 외무장관이 다시 생각해보니까 우리나라 국민들을 우리나라가 받는 건 당연한 일 아닐까요?
(24:11) 우리는 콜롬비아인들을 수용할 것입니다 콜롬비아 국적자잖아 안 받을 수 없죠 법에 그렇게 써있어 미국이 위협해서가 아니라 콜롬비아인이니까 콜롬비아가 받는 게 당연한 게 맞네 받겠습니다 무서워서가 아니라 우리나라 국민들이니까 안 받을 수 없잖아 어쩔 수 없이 받겠다라고 얘기를 했죠 그랬더니 듣고 있던 백악관이 공식 성명을 냈습니다 이렇게 얘기했어요 봤냐? 제가 보기엔 이 공식 성명에 딱 한 줄이 이거예요 봤냐? 전 세계여 봤냐? 이번 사건은 미국이 다시 존중받고 있음을 세계에 분명히 보여줬다 봤지? 일주일도 안 걸렸어 한 번 때리니까 갔다, 얘들아 너 누운 거 봤지? 너희도 좋은 소식 전하러 올래? 좋은 말 할 때 해야지 트럼프 대통령은 앞으로도 미국의 주권을 강력하게 수용할 것이다 일론 머스크는 오늘도 등장하죠 일론 머스크는 자기 X에 이렇게 올렸습니다 굉장하다 와우 awesomex2 와 이건 뭐 전율적이야 캬 FAFO 올리면서 아이고 X같은 행동에는 X같은 결과가 있을 것이다라고 얘기하니까
(25:14) 오호호 야 쩌는데 이렇게 올린 거죠 요 쩌는데 이렇게 또 올리면서 오늘도 또 어김없이 등장을 하셨고요 아, 그래서 본격적으로 관세전쟁이 시작되고 있는 것 같은데 이게 전 세계를 향한 트럼프의 대답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잘 생각해라 FAFO다 잘 생각해라 행동에는 결과가 따른다 그렇죠? 콜롬비아 봤지? 잘해라 자, 잘해라 라고 하고 있습니다 뭘 그렇게 잘하라고 제 생각엔 앞에 한두 명이 싸울 때 일단 체력 좀 빼고 7라운드나 8라운드에 우리도 나중에 10라운드로 하자 10라운드에 둘 다 다운되어 있을 때 숟가락 이렇게 그래서 잘 생각해야 되는 때가 진짜 다가오고 있는 게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Youtuber_슈카월드 요약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약리뷰] 슈카월드 - 글로벌 허브도시 (1) | 2025.02.14 |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유튜브 전성시대 (1) | 2025.02.13 |
[요약리뷰] 슈카월드 - 6000억 달러가 한방에 날라간 사연 (0) | 2025.02.11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커피 가격이 계속 오르는 이유 (0) | 2025.02.10 |
[요약리뷰] 슈카월드 - 안돼!!!!!!!! (0) | 2025.02.09 |